-
- 작성자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정서(淨書)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정서(淨書) 고서/일기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왕실/고서/한국본 K2-72 MF35-1995~2000장서각 사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이왕직실록편찬실제1~539책은 ‘承政院日記’, 제540~543책은 ‘承宣院日記’, 제705~737책은 ‘奎章閣日記’이다.철종과 고종 대 『승정원일기』를 그대로 등사한 것으로 원본과 동일한 체제를 갖추었다. 이왕직 실록편찬용지를 사용하여 필사하였다.『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철종실록』 이왕무
-
- 작성자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정서(淨書)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 정서(淨書) 고서/일기 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왕실/고서/한국본 K2-71 장서각사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이왕직실록편찬실(李王職實錄編纂室)表紙書名은 ‘承政院日記’이나, 제3책만 ‘政院日記’라고 필사되어 있다. 版下口에 ‘李王職 實錄編纂用紙’라고 인쇄된 회색 원고지에 내용이 필사되어 있다.각 책의 제1장에는 ‘年月日 承政院日記 謄寫者’가 기록되어 있다. 제3책의 경우에는 ‘庚午十月 政院日記 紙數三百枚’로 등사자의 성명 대신 등사한 원고지의 분량이 기재되어 있다.영조 연간 『승정원일기』의 등사본이라는 가치와 일제강점기 조선왕조 사료의 수집과 편찬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오항녕
-
- 상위자료 사료 고종시대사5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고종, 『승정원일기』의 좀먹어 훼손된 부분을 모두 개장하라고 하교함1871년(고종 8년) 2월 28일KH.NIKH.sk_005사료 고종시대사521871-02-28L0text/xml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20-03-30 00:00:00.000以司謁口傳下敎曰, 政院日記多有蠧損, 竝爲改粧事, 分付戶曹.· 『승정원일기
-
- 상위자료 사료 고종시대사1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고종, 『승정원일기』에 누락된 것이 많으니 소상하게 하라고 명함1864년(고종 1년) 4월 24일KH.NIKH.sk_001사료 고종시대사121864-04-24L0text/xml1900凡於文蹟, 使閣吏自爲擧行, 時任承旨外, 毋得推治院吏之意, 著爲定式.· 『승정원일기』 고종 1년 4월 24일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승정원일기 국립중앙박물관 구-5136 承政院日記 문화예술-문헌-사서-편년류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도서자료 승정원일기와 진과 국립중앙박물관 건판-37771 합성수지 미디어-기록물-필름-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 상위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
- 작성자 성낙수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문헌 한문 한국 조선 성낙수 박종국[개설]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는 조선시대에 승정원에서 날마다 취급한 문서와 국왕을 수행하면서, 그 언행을 기록한 일기체 형식의 기록이다.『승정원일기』의 수난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승정원일기』 총 분량은 3,243책이지만, 책의 이름이 『승정원일기』인 것은 3,045책에 불과하다.그렇지만 이들은 모두 『승정원일기』의 기록 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전체의 이름을 『승정원일기』라고 해도 큰 무리는 없다.
-
- 상위자료 承政院日記. [마이크로 형태자료]
- 작성자 李王職實錄編纂會 編
-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承政院日記承政院日記.[마이크로 형태자료] / 李王職實錄編纂會 編서울: 國立中央圖書館, 1999마이크로필름 릴 개: 음화; 35 mm承政院日記는 線裝, 13冊으로 구성 요약: 承政院日記중 英祖 25(1749
-
- 작성자 김남일(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병자호란 시기 『승정원일기』의 전거 자료 『南漢日記』 연구 - 개수본 『승정원일기』와 『남한일기』・이도장의 『승정원일기』의 비교 -A Study on the Namhan Ilgi whichwas the Reference Data of Revised Seungjeong-won Ilgi during the Byeongja-horan병자호란 시기 『승정원일기』의 전거 자료『南漢日記』 연구 - 개수본 『승정원일기』와 『남한일기』・이도장의 『승정원일기』의 비교 -김남일(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학연구센터)한국사학사학회韓國史學史學報, 0(32), , pp또한 남한산성 피란기 주서에 있었던 이도장의 『승정원일기』, 『인조실록』과도 비교하여 각 사료간의 연관관계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저자를 밝히기 위해서 『승정원일기』의 좌목을 토대로 피란기 주서직(주서・가주서・사변가주서)에 있었던 사람들을 분석하였다.
-
- 작성자 조계영(서울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승정원일기』의 修納과 관리에 대한 고찰A Study on the Submission and Management of the Seungjeongwon IlgiFinal Legitimation그에 비해 『승정원일기』는 1부만 작성하여 승정원에 보관하여 제도나 고사 등 국정 운영에 관해 참고하는 기록물이었다.이와 같이 실록과 『승정원일기』는 서로 다른 용도에 따라 편찬 과정과 관리 체계가 현격하게 차별되었다.본 논문은 기록물의 편찬 과정과 관리 체계의 측면에서 『승정원일기』를 주목하였다. 2장에서는 주서의 업무가 『승정원일기』를 修正하여 納入하는 과정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고찰하였다.이를 통해 주서가 『승정원일기』의 납입 기일을 지키기 위해 다른 사람에게 쓰게 한 사례를 밝혔다. 3장에서는 『승정원일기』의 冊背에 기록된 房直의 업무를 고찰하여, 『승정원일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