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콘텐츠 서비스 제작 문의하기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KDP, Korean Studies Data Platform)은 데이터베이스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소규모 기관에서는 독립콘텐츠 서비스 제작을 문의해 주세요.

종합 족보

『만성보(萬姓譜)』

본 장서각 소장 『만성보(萬姓譜)』는 19세기에 편찬된 대표적인 종합보의 하나이다. 편자미상(編者未詳)이고, 필사는 고종년간(高宗:1864 - 1895)에 한 것으로 보이며, 책은 불분(分卷) 되지 않은 15책이다. 1책 왕실과 전주이씨, 2·3책 李, 4책 金, 5책 金·朴, 6책 趙, 7책 鄭·閔·吳·兪, 8책 尹·沈, 9책 徐·韓·任, 10책 洪·申, 11책 松·權, 12책 姜·黃·南, 13책 南·柳·成·蔡·安·具·崔·魚, 14책 元·張·林·曺·呂·嚴·白·許, 15책 丁·睦·愼·高·盧·卞·梁·羅·邊·蘇·文·河·慶·池·卞·玄·郭·孟·孔·禹·奇·張·裵·孫·全·楊·薛·康·田·劉·周·陳·房·皇甫·咸·於·貢 등이 각 성씨 안에 본관별로 수록되어 있다. 수록의 방식은 전주이씨 선원보략(璿源譜略)은 12단 위 제일 위단에 묘호를 기록하고, 그 아래에 대군과 부마의 봉작과 명을 기록하였다. 기타 일반 성씨들에 대해서는 그 시조부터 딸을 제외한 자손들을 견하(見下)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이어가며 수록하였다. 각 인물에 대한 전기사항은 관직 등만을 기록하는 등 소략하다. 그리고 중요 인물의 측면에는 ○○로 표기해 놓았다. 장서각 소장 『만성보(萬姓譜)』(k2-1740)의 형태사항은 線裝, 不分卷 15冊: 四周單邊, 半郭 30.2 × 19cm, 烏絲欄, 半葉12段, (族譜); 37.3 × 23.5cm이다.
 

5-1-1 만성보

5-1-2 만성보


『동국씨족보(東國氏族譜)』

『동국씨족보(東國氏族譜)』는 우리나라의 각 성관(姓貫)별 중요 인물들을 수록한 족보이다. 수록방식은 성관별로 편차하고, 그 성관에 해당하는 유명인의 부(父)의 명(名), 자(字), 호(號), 관직, 시호, 문집, 지역별 향사된 서원 등을 기록하였다. 6책으로 각책에 실려 있는 성씨 들은 다음과 같다. 1책 : 이(李). 2책 : 김(金)·박(朴). 3책 : 최(崔)·정(鄭)·윤(尹)·유(柳)·홍(洪)·신(申), 4책 : 권(權)·조(趙)·한(韓)·구(具)·강(姜)·안(安)·허(許)·장(張)·민(閔)·임(任)·남(南)·서(徐). 5책 : 성(成)·송(宋)·유(兪)·원(元)·황(黃)·임(林)·여(呂)·양(梁)·우(禹)·나(羅)·손(孫)·노(盧)·어(魚)·목(睦)·채(蔡)·신(辛)·정(丁)·배(裵)·맹(孟)·곽(郭)·변(邊)·변(卞)·신(愼)·백(白)·전(全)·엄(嚴)·고(高). 6책 전(田) 등(121성), 모두 합하여 169개 성씨가 수록되어 있다. 이처럼 각 성관별 유명인을 실었다는 점에서 본다면 일종의 인물사전이라 할 수 있다.
 

5-2-1 동국씨족고

5-2-2 동국씨족고


『당호비고만성씨보(堂號備攷萬姓氏譜)』

각성씨별 유명인의 당호(堂號)와 인적사항을 기록한 보(譜)이다. 장서각 소장본 『당호비고만성씨보(堂號備攷萬姓氏譜)』(k2-1732) 각 책에 실려 있는 성씨(본관) 및 본관은 아래와 같다. 1책 : 이(李:9), 독고(獨孤:南原), 김(金:13). 2책 김(金:32), 박(朴氏:20), 신(辛:2), 황(黃:2), 심(沈:3). 3책: 오(吳:7), 민(閔:驪興), 남(南:2), 안(安:4), 장(張:7), 황(黃:6), 유(兪:6), 서(徐:6). 4책: 이(李:40), 조(趙:2), 유(柳:5), 한(韓:4), 홍(洪:2), 길(吉:海平), 표(表:新昌), 전(全:2), 전( 田:潭陽), 탁(卓:光州), 채(蔡:2). 5책: 정(鄭:8), 윤(尹:2), 임(林:6), 조(曺:昌寧), 정(丁:3), 고(高:3), 려(呂:咸陽), 백(白:3), 양(梁:3), 신(愼:居昌), 노(盧:2), 맹(孟:新昌), 변(卞:草溪), 금(琴:奉化), 상(尙:木川), 배(裵:4), 차(車:延安), 소(蘇:晉州), 변(邊:2), 진(陳:驪陽), 강(康:信川), 염(廉:瑞原), 설(薛:慶州), 도(都:八君), 봉(奉:河陰), 선(宣:寶城), 손(孫:4), 기타 등이다.

수록된 각 인물에 대해서는 당호, 명(名), 자(字), 연원, 과환(科宦), 문집, 관직, 시호, 관련 중요사건 등을 기록하였다.
장서각 소장 K2-1732 본은 편자미상(編者未詳)이고, 사년미상(寫年未詳)이다. 형태사항은 線裝, 5卷 5冊: 無郭, 無版心, 無絲欄, 半葉行字數不定, 無魚尾; 31.9 × 20.2cm 이다.
 

5-3-1 당호비고만성씨보

5-3-2 당호비고만성씨보


『백씨통보(百氏通譜)』

『백씨통보 (百氏通譜)』 우리나라 각 성관(姓貫)의 개략적인 족보이다. 족보는 분권되지 않은 46책이다. 수록된 성씨(姓氏)는 전주이씨는 1책에서 8책까지 환조(桓祖)태조·정종·태종·세종·덕종·성종·중종·선조·원종·인조·장헌세자(莊獻世子)의 자손들을 파별로 방대하게 실었다. 9책 李(慶州), 10책 李(延安), 11책 李(德水), 12책 李(全義), 13책 李(韓山·廣州·龍仁·星州), 14책 李(驪州·公州·富平·遂安·靑海·水原·淸州), 15책 金(安東), 16책 김(光州·慶州), 17책 金(延安·淸風), 19책 金(江陵·金海·原州·安山·善山·靈光·海豊·水原·彦陽), 19책 鄭(東來·溫陽·慶州), 20책 鄭(草溪··海州·河東·晉州·光州·淸州·瑞山·慶州·奉化), 21책 鄭(筵日)·具(陵城),22책 尹(坡平), 23책 尹(海平·漆原·茂松·咸安·南原·海南), 24책 趙(豊壤·楊州·林川), 25책 趙(漢陽·平壤·咸安·白川·淳昌), 26책 朴(潘南·高靈), 27책 朴(密陽·竹山·務安), 28책 柳(文化·全州·豊山), 29책 柳(晉州·興陽), 30책 權(安東·醴泉), 31책 韓(淸州·平山·谷山), 32책 安(順興·竹山·廣州), 33책 洪(南陽·豊山), 34책 申(平山·高靈), 35책 沈(靑松·豊山·三陟), 36책 姜(晉州), 37책 南(宜寧·固城·英陽)·元(原州), 38책 任(豊川·谷城·長興)·嚴(寧越), 39책 兪(杞溪·昌原·仁同 附諸兪)·崔(全州·海州·慶州·朔寧)·高(濟州·長興), 40책 許(陽川·金海·河陽)·白(水原), 41책 黃 (昌原·長水·尙州·懷德·紓州·平海·黃州·善山)·林(羅州)·禹(丹梁), 42책 張(仁同·덕水附諸派)·成(昌寧)·曹(昌寧), 43책 閔(驪興)·呂(咸陽)·愼(居昌), 44책 魚(咸從)·睦(泗川)·康(信川)·辛(靈山·寧越)·文(南平), 45책 吳(海州·同福·寶城·羅州 附諸羅)·梁(南原 附諸梁)·丁(羅州)·蔡(平康·仁川)·卞(密陽), 46책 丁(羅州)·孫(平海·密陽)·方(溫陽)·朱(婺源)·田(潭陽)·慶(淸州)·庾(茂松)·景(海州)·皇甫(永川) 등 50개성에 160개 본관이 실려 있다. 이는 편찬자가 작성 당시 열람할 수 있었던 모든 족보를 반영한 듯 하다.

수록 방식은 각 성씨마다 12단(段)의 횡간(橫間)에 시조에서부터 내려적었고, 인물의 전기사항은 간단히 관직을 병기하는 정도이며, 여서(女壻)의 경우는 본관과 관직을 함께 기록하였다. 각 수록된 범위는 각 성씨별로 편차가 크다. 예컨대 전주이씨 같은 경우는 1책에서 8책에 걸쳐 방대하게 다룬 반면, 고령유씨(高靈兪氏) 같은 경우는 시조만을 단 한 줄로 기록하였다. 『백씨통보(百氏通譜)』는 근대에 들어와 편찬된 대표적인 종합보의 하나이다.
장서각소장 『백씨통보(百氏通譜)』(k2-1751)는 편자미상(編者未詳)이고, 사년미상(寫年未詳)이다. 형태사항은 線裝, 不分卷 46冊: 上下單邊, 半郭 29.5 × 20cm, 無絲欄, 半葉 12段(族譜), 無魚尾; 35.2 × 22.1cm 이다.
 

5-4-1 백씨통보

5-4-2 백씨통보


『동국세보(東國世譜)』

『동국세보(東國世譜)』는 조선후기 종합보의 하나이다. 편자미상(編者未詳)이고, 간행시기는 헌종(憲宗:1835)에서 철종(哲宗:1863)사이로 보인다. 장서각소장 『동국세보(東國世譜)』(k2-1735)는 불분권(不分卷) 3책이고, 각 책별 수록 성씨는 다음과 같다. 1책 韓·崔·任·林, 2책 羅·河·康·梁·楊·盧·高·邊·卞·慶·孫·全·田·吉·都·車·孟·夏·文·裵·奇·丘·蘇·琴·孔·咸·奉·池·玄·昔·石·玉·廉·周·朱·薛·偰·陳·秦·魏·劉·庾·房·方·潘·王·延·殷·馬·牟·余·卓·宣·尙·芮·表·于·卜·唐·韋·明·印·魯·邢·鞠·杜·邕·賓·太·蔣·門·龔·晋·仇·阿·陸·拓·於·龐·夜·智·夫·莊·甘·公·皮·胡·邵·史·思·貢·桓·狄·秋·陰·雙·彭·異·榮·天·(龍·鴌·乀·骨·乜·月·桂·葛·選·千·薦·昌·片·泰·堅·能·連·麻)·南宮·皇甫·鮮于·司空·東方·伊昕·獨孤, 3책 黃·張·元·具·魚·丁·蔡·白·辛·睦·禹·愼·嚴·郭 등 약 178개 성씨가 본관별로 수록되어 있다. 수록된 성씨들을 살펴보면 조선후기의 대성(大姓)은 대부분 수록되지 않았고, 대부분 희성(稀姓)으로 여겨지는 성씨이다. 이점에서 본다면 『동국세보』는 희성들의 종합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2책에 수록된 “龍·鴌·乀·骨·乜·月·桂·葛·選·千·薦·昌·片·泰·堅·能·連·麻” 성씨 들은 계보는 없고, 성씨만이 실려 있는 경우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씨들도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성씨인 것을 보면 편자가 족보를 열람할 수 없어 계보는 생략하고 성씨만 수록한 것으로 보인다.

수록의 방식은 극항을 두고 이곳에 성씨를 기록하고, 그 아래 10단에 시조로 아래로 내려 계보를 수록하는 방식을 택하였고, 견하(見下)를 이용하여 페이지를 이어 수록하였다.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측면에 ○○로 표시를 하였다. 수록된 개인의 전기사항으로는 간단한 관직을 기록하는 정도이다.
장서각 소장 『동국세보(東國世譜)』의 형태사항은 線裝, 不分卷 3冊: 四周單邊, 半郭 24.2 × 14.1cm, 無絲欄, 半葉行字數不定, 11段(族譜), 無魚尾; 26.7 × 16.6cm 이다.
 

5-5-1 동국세보

5-5-2 동국세보


『만가보(萬家譜)』

『만가보(萬家譜)』는 270여 가문의 계보를 각 성씨별로 분류하고, 각 성씨 내에서는 본관으로 분류하여 기록한 일종의 종합보이다. 『만가보』는 해남윤씨가문의 종택인 녹우당에 소장되어 있는 유일본이다. 이 보(譜)의 편자와 편찬시기는 족보에 서발문(序跋文)이 없어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다만 해남윤씨 종가에서 유일본으로 소장한 것으로 보아, 종가의 한사람이 편찬한 것으로 보인다. 편찬년은 해남윤씨를 비롯한 계보의 하한선이 조선말기인 점으로 보아 19세기 말경으로 보인다.

책은 14책에 70개 성씨를 다시 본관별로 계보를 기록하였다. 계보의 기록방식은 12단에 시조에서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수록하였다. 개인의 전기사항은 과환(科宦)과 관직을 기록하였고, 중요 인물에 대해서는 ○○로 표기하였다. 『만가보』는 백씨통보(百氏通譜)』 등과 유사한 형식의 종합보이다.
 

5-6-1 만가보

5-6-2 만가보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는 1924년 윤창현(尹昌鉉)이 편찬한 것이다. 목차는 「조선씨족통보서」, 「범례」, 「조선씨족통보목록색인」, 「해동성씨고」, 「부중국성씨고」, 「오행성하」로 되어 있다. 주된 내용인 해동성씨고는 각 성씨를 한자의 운자(韻字) 순으로 배열하였다. 그리고 각성에 대해서는 성씨의 유래, 그 성에 해당하는 각 본관의 시조의 관직과 이력, 그리고 그 성관에 해당하는 유명인물의 전기, 그 성관 인 들이 주로 많이 거주하는 지역 등을 기록하였다.

종합보 가운데에도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가 갖는 특징은 첫째로 역사상 모든 성씨를 망라하여 다른 어떤 종합보 보다도 많은 성씨를 수록하였다. 둘째로는 각 성관들이 거주하는 지역을 적고 있다. 셋째로는 다른 종합보에는 없는 중국성씨고가 비록 부록이지만 실려 있다는 점이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는 일제시대 간행된 신식활자본이다.
 

5-7-1 조선씨족통보

5-7-2 조선씨족통보


『씨족원류(氏族源流)』

『씨족원류(氏族源流)』는 조종운(趙從耘; 1607-1683)이 106개 성씨에 약540개 본관의 원류를 밝혀 놓은 족도 형식의 종합보이다. 본보에 실려 있는 성씨별 본관의 수는 아래와 같다.

이(李:66), 박(朴:25),신라박석김삼성세계, 백제, 김(金:56), 조(趙:12), 정(鄭:15), 송(宋:14), 안(安:7), 왕(王:1), 허(許:3), 남(南:3), 홍(洪:5), 윤(尹:14), 권(權:3), 민(閔:1), 한(韓:11), 강(姜:4), 성(成:1), 임(任:5), 노(盧:9), 장(張:17), 유(柳:10), 최(崔:22), 오(吳:6), 곽(郭:3), 신(愼:1), 신(申:8), 채(蔡:2), 원(元:1), 하(河:1), 양(梁:4), 황(黃:9), 백(白:5), 현(玄:3), 주(朱:2), 조(曹:1), 심(沈:4), 나(羅:3), 경(慶:1), 문(文:9), 양(楊:4), 엄(嚴:1), 유(兪:7), 손(孫:5), 구(具:1), 서(徐:6), 강(康:5), 신(辛:1), 전(全:6), 진(秦:2), 임(林:14), 변(邊:3), 기(奇:1), 고(高:10), 변(卞:2), 려(呂:1), 노(魯:1), 선(宣:1), 봉(奉:1), 방(房:1), 배(裵:3), 금(琴:1), 어(魚:1), 복(卜:1), 설(薛:2), 유(庾:2), 정(丁:3), 맹(孟:1), 소(蘇:1), 염(廉:1), 진(晉:1), 야(夜:1), 도(都:1), 여(余:1), 지(池:2), 표(表:1), 진(陳:7), 길(吉:1), 함(咸:2), 전(田:8), 목(睦:1), 상(尙:1), 마(馬:3), 설(偰:1), 연(延:1), 탁(卓:1), 명(明:1), 예(芮:1), 구(丘:1), 인(印:1), 공(孔:1), 방(方:1), 반(潘:2), 장(將:1), 지(智:1), 유(劉:4), 주(周:4), 어(於:1), 위(魏:1), 남궁(南宮 ), 황보(皇甫), 석림(石林), 사공(司空), 선우(鮮于), 차(車:2), 문(門:1), 우(于:1), 은(殷:1), 빈(賓:1) 등 109개의 성씨에 약 490개 본관이 실려 있다. 

본보의 작성시기는 편찬자의 생몰년으로 볼 때 17세기 후반에 작성된 것이다. 작성방식은 각개 성씨를 시조에서부터 17세기 까지 족도(族圖) 형식의 계보도를 작성하였다. 수록인물에 대하여서는 관직·자·처의본관·처부 등을 기록하였다. 자녀의 수록은 조선후기 족보가 선남후녀 형식으로 수록하였던데 반하여 출생순으로 수록하여, 17세기 사회적 모습을 방영하고 있다. 본 족보의 가장 큰 의의는 많은 성씨들을 시조에서부터 편찬시기까지 수록하였다는데 있다. 특히 작성자가 17세기 인물이라는 점에서 수록된 많은 성씨 들의 상계(上系)가 비교적 자세하다. 그래서 본보는 다른 족보들과 달리 고려시대에서 조선전기 인물이 대거 수록된 것도 특징이라 할 수 있다.
 

5-8-1 씨족원류

5-8-2 씨족원류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는 1931년에 간행된 종합보이다. 내용은 만성대동보서(萬姓大同譜序; 恩津 宋之憲서(書)), 목록(目錄), 계보 등으로 되어 있다. 본보에 실려 있는 성관은 다음과 같다. 전주이씨를 필두로 이(李:46), 김(金:56), 박(朴:15), 정(鄭:18), 윤(尹:9), 최(崔:19), 유(柳:8), 홍(洪:4), 신(申:4), 권(權:2), 조(趙:10), 한(韓:6), 오(吳:9), 강(姜:2), 심(沈:6), 안(安:4), 허(許:4), 장(張:14), 민(閔:1), 임(任:2), 남(南:3), 서(徐:7), 구(具:1), 성(成:1), 송(宋:8), 유(兪:6), 원(元:1), 황(黃:7), 조(曹:3), 임(林:7), 려(呂:2), 양(梁:4), 우(禹:1), 나(羅:3), 손(孫:3), 노(盧:6), 어(魚:2), 목(睦:1), 채(蔡:2), 신(辛:2), 정(丁:3), 배(裵:6), 맹(孟:1), 곽(郭:3), 변(卞:2), 변(邊:3), 경(慶:1), 백(白:2), 전(全:3), 강(康:2), 엄(嚴:1), 고(高:3), 현(玄:3), 문(文:3), 상(尙:1), 하(河:2), 소(蘇:1), 지(池:1), 기(奇:1), 유(庾:1), 금(琴:1), 길(吉:1), 연(延:1), 주(朱:3), 주(周:1), 공(孔:1), 왕(王:1), 진(秦:1), 탁(卓:1), 양(楊:3), 설(薛:1), 봉(奉:1), 마(馬:2), 여(余:1), 예(芮:1), 구(丘:1), 도(都:1), 장(蔣:1), 차(車:3), 남궁(南宮:1), 선우(鮮于:1) 등 81개성에 393개 성관이 수록되어 있다.

수록방식은 한쪽을 4단으로 나누고, 한단을 다시 4단으로 나눈 다음에 시조에서부터 아래로 4단씩으로 내려 가면서 이어서 계보를 기록하였다. 개인의 전기사항은 과방, 관직, 처부 등을 기록하였다. 장서각 소장 『만성대동보(萬姓大同譜)』는. 全2卷2冊, 尹稙求 編이다. 형태사항은 上下卷2冊; 26 × 18.5cm 이다.
 

5-9-1 만성대동보

5-9-2 만성대동보


『청구씨보(靑邱氏譜)』

『청구씨보(靑邱氏譜)』는 1925년 간인된 종합보이다. 내용은 완산(完山) 이명상(李明翔) 서(序), 풍산(豊山) 김세락(金世洛) 서(序), 한산(韓山) 이정규(李庭珪) 발(跋), 밀성(密城) 박해철(朴海徹) 발(跋), 청구씨보범례(靑邱氏譜凡例), 청구씨보목록(靑邱氏譜目錄), 계보(系譜) 등으로 되어 있다. 본보에 실려 있는 성관은 아래와 같다.

이(李:113), 김(金:112), 박(朴:48), 정(鄭:32), 윤(尹:22), 최(崔:37), 유(柳:14), 홍(洪:14), 신(申:5), 권(權:2), 조(趙:27), 한(韓:9), 오(吳:22), 강(姜:5), 심(沈:6), 안(安:6), 허(許:3), 장(張:10), 민(閔:1), 임(任:6), 남(南:3), 서(徐:15), 구(具:3), 성(成:1), 송(宋:26), 유(兪:7), 원(元:1), 황(黃:18), 임(林:18), 려(呂:2), 양(梁:8), 우(禹:1), 나(羅:4), 손(孫:7), 노(盧:17), 어(魚:2), 목(睦:1), 채(蔡:2), 신(辛:2), 배(裵:7), 곽(郭:5), 변(卞:2), 변(邊:2), 신(愼:1), 경(慶:1), 백(白:15), 전(全:16), 강(康:2), 엄(嚴:1), 고(高:8), 전(田:7), 현(玄:5), 문(文:5), 상(尙:1), 하(河:1), 소(蘇:1), 지(池:1), 기(奇:1), 진(陳:11), 유(庾:1), 금(琴:1), 길(吉:1), 연(延:1), 주(朱:6), 주(周:6), 공(孔:1), 맹(孟:1), 왕(王:1), 양(楊:4), 석(昔:1), 설(薛:1), 예(芮:1), 도(都:1), 장(蔣:1), 석(石:1), 옥(玉:1), 노(魯:1), 두(杜:1), 위(魏:1), 시(施:1), 하(夏:1), 반(潘:2), 염(廉:3), 방(房:2), 방(方:7), 설(偰:1), 유(劉:9), 진(秦:4), 탁(卓:1), 함(咸:2), 봉(奉:1), 태(太:1), 마(馬:2), 표(表:1), 은(殷:3), 여(余:1), 복(卜:1), 모(牟:1), 구(丘:1), 선(宣:2), 육(陸:1), 차(車:2), 형(邢:1), 위(韋:1), 당(唐:2), 구(仇), 명(明), 장(莊), 엽(葉), 피(皮), 감(甘), 옹(邕), 국(鞠), 승(承:2), 장(章), 공(公), 문(門), 매(梅), 강(江), 이(伊), 사(史), 궁(弓), 공(貢:2), 종(宗), 용(龍), 지(智), 이(異), 어(於), 우(于), 제(諸), 초(楚), 호(胡), 부(夫), 오(伍), 호(扈), 빈(賓), 순(荀), 인(印), 진(晉), 계(桂), 시(柴), 태(泰), 견(甄), 준(俊), 흔(昕), 원(袁), 만(萬), 단(段), 간(簡), 견(堅), 천(千), 천(天), 선(鮮), 요(姚), 화(和), 야(夜), 양(良), 팽(彭), 상(相), 정(程), 평(平), 영(榮), 경(卿), 경(景:2), 정(井), 형(刑), 승(僧), 추(秋), 우(牛), 수(守), 음(陰), 범(凡), 곡(曲), 을(乙), 골(骨), 척(拓), 국(國), 직(直), 풍(酆), 총(聰), 충(忠), 공(功), 공(恭), 농(濃), 지(遲), 위(位), 귀(歸), 위(尉), 쌍(雙), 이(離), 수(隨), 사(思), 거(巨), 어(御), 고(顧), 규(圭), 예(倪), 제(弟), 재(才), 애(哀), 왕(枉), 해(解), 대(大), 대(戴), 예(乂), 진(眞), 신(新), 인(仁), 진(珍), 윤(閏), 순(順), 은(隱), 훈(訓), 관(官), 관(寬), 만(漫), 산(山), 안(晏), 천(泉), 선(善), 현(縣), 언(彦), 견(見), 표(票), 교(佼), 효(孝), 도(刀), 추(鄒), 아(阿), 사(沙) 외 263개 성이 더 수록되어 있어 도합 1188개 성관이 수록되어 있다.

『청구씨보(靑邱氏譜)』에 수록된 1188개의 성관은 간행당시에 실재한 성관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역사상 등장하는 모든 성관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씨보』는 종합보 가운데서도 가장 많은 성관을 수록하고 있다. 복성(複姓)의 경우에도 32개의 성관를 수록하였다.

수록의 방식은 22단에 각 성관의 계보를 수록하였으며, 개인의 전기사항은 과방과 관직 정도만을 간략하게 기록하였다.
장서각소장 『청구씨보(靑邱氏譜)』(B10B 411)는 全20卷20冊, 宋啓承(朝鮮) 纂輯 ; 宋鎭燮 增補. 발행시기는 1925이다. 형태사항은 20卷20冊 : 四周單邊, 半郭27.5 × 18.8cm, 12行30字, 上下黑魚尾; 32.5 × 22.5㎝ 이다.
 

5-10-1 청구씨보

5-10-2 청구씨보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