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 김종서(金宗瑞) [등]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김용국, 김철수, 남만성, 안병주, 이강로김종서(金宗瑞) [등]홍이섭 김종서(金宗瑞) 등이 문종(文宗) 2년 임신(壬申) 2월 갑신(甲申)에 신찬(新撰)《고려사절요》의 진전(進箋)에서 기전체(紀傳體)의 《고려사(高麗史)》와 편년체(偏年體)의 《고려사절요》의 서로의 장단점을 말하며, 되도록 《고려사》의 사실을 밝히고자 하였음을 말하고 있다.》의 편찬을 명하였고, 태조(太祖) 4년에는 정도전(鄭道傳) 등이 《고려사》27권을 찬진(撰進)하였으나, 정도전의 곡필(曲筆)로 태종(太宗)과 세종(世宗)이 각기 《고려사》의 개수(이에 권제(權踶)ㆍ안지(安止)에 의한 《개수 고려사(改修高麗史)가 세종 28년에 주인(鑄印)되었으나, 수사(修史)에 불공(不公) 함이 있다 하여 반포를 정지하고 수사(修史)의 책임을없이 상호 보완의 자료로만 보는 데에 《고려사》연구에 아직 미흡함이 있는 것 같다.

  • 상위자료 소호당집(韶濩堂集)
    작성자 김택영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고려사서 〔新高麗史序 〕정석태, 남춘우, 김홍영김택영정인지(鄭麟趾)의 《고려사(高麗史)》를 군자들이 바른 역사가 아니라고 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 상위자료 자유신문 1948년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高麗史』 간행무 04면 10단KH.NIKH.npfp_1948자유신문 1948년21948-11-06text/xml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7-02-08 00:00:00.000국제신문사 『고려사

  • 상위자료 삼천리
    작성자 杭州 李有春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삼천리 제6권 제11호] 噫抗州高麗寺; -高麗寺는 中國絶勝杭州에 잇다-杭州 李有春삼천리사(三千里社)2023. 05. 24.噫抗州高麗寺, -高麗寺는 中國絶勝杭州에 잇다-杭州 李有春高麗寺題感睨觀高麗寺! 高麗寺는 과연 西湖의 特色이다. 참 그 光彩와 그 壯觀은 西湖의 美를 더욱 빈틈업게 하고 西湖의 名을 더욱 榮光스럽게 하얏다.또한 高麗寺가 新主를 맛난 첫 因緣이다. 氏가 「西湖志」中에서 高麗寺라는 記錄을 보고 즉시 探査을 始하얏다.法雲寺라는 假名 대신에 高麗寺라는 本名만 차지어 주엇다. 未久에 高麗寺는 主家의 조흔 消息을 듯고 因緣이 나어들가 하야 바라고 미덧섯다.「後에 漢人이 高麗寺廢像을 보고 알에와가튼 詩를 지엇거든 高麗人으로 高麗寺廢像을 對하면 그 늣김이 과연 어떠할가. 秋風蕭寺一經過, 牆角鍾懸老樹柯.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고려사 국립중앙박물관 구-5491 高麗史 문화예술-문헌-사서-기타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상위자료 삼척시립박물관 소장유물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고려사절요(22권) 삼척시립박물관 삼척시립-286 高麗史節要 기타 문화예술-문헌-사서-편년류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작성자 남권희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고려사절요(갑인자본) 고려사절요(갑인자본) 高麗史節要 남권희 고려사|세종|김종서|경기도박물관|보물 제905-7호 문헌그러나 『고려사』의 분량이 너무 방대하고 산만한 부분들이 많아 5개월 뒤인 1452년(문종 2) 2월에 『고려사』를 요약하여 35권 35책의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를 간행하게 되었다[내용]1452년(문종 2) 김종서가 편찬한 『고려사절요』는 『고려사』와 달리 편년체로 기록되었다.『고려사절요』는 『고려사』에 비해 내용이 풍부하지는 못하지만, 『고려사』에 없는 사실들을 많이 수록하고 있다.『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신편고려사절요』상·중·하(김종서 외, 민족문화추진회 역, 신서원, 2004)「규장각소장『고려사』·『고려사절요』고려시대문집」 (노명호, 『규장각』25, 2002

  • 작성자 김상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고려사경의연구 고려사경의연구 高麗寫經─硏究 김상현 미술사|고려사경 문헌 1986년 권희경이 고려후기의 사경을연구편은 총설과 작품론의 2편으로 되었다.제1편에는 ① 사경의 역사적 고찰, ② 고려사경의 역사적 배경, ③ 고려사경의 특징, ④ 고려 후기 사경 변상화의 도상학, ⑤ 고려 사경의충렬왕대의 사경, ⑤ 14세기 전기의 사경, ⑥ 16세기 후기의 사경, ⑦ 발원(發願)연대가 불확실한 사경, ⑧ 중요 조선 사경들 등으로 되어 있다.부록으로 붙인 참고자료는 ① 고려사경연표

  • 작성자 공성배(용인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高麗史高麗史節要 기록에 나타난 씨름의 특성Characteristics of Ssireum in records of 『Goryeosa(高麗史)』 and 『Goryeosajeolyo(高麗史節要)』高麗史高麗史節要 기록에 나타난 씨름의 특성공성배(용인대학교)한국코칭능력개발원코칭능력개발지, 25(4), , pp.3-11ART0029825991Y1229-65972765-3021Article본 연구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기록에 나타난 씨름의 특성을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첫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는 총 7개의 씨름기록이 있으며, 직접 씨름을 즐긴 임금은 충혜왕이고『고려사』의 씨름기록 3개는 『고려사절요』의 씨름기록 3개와 같은 내용이었다.셋째,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기록에 나타난 씨름 용어로는 각력희(角 力戲) 2개, 각저희(角觝戲) 3개, 각저희(角抵戲) 2개로 확인되었으며,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서 각력희

  • 작성자 김광철(동아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고려사』의 간행 유통과 동아대 소장 『고려사』 판본의 특징The Publication and Distribution of Koryo History(『高麗史』) and the Characteristics『고려사』의 반포는 상당 기간 유보되다가 성종 초에 을해자본 『고려사』가 간행되면서 비로소 반포되었다.조선 성종대 이후 『고려사』는 관료와 지식인 사회에 널리 유통되었다.지식인 사회에서 ‘『고려사』 읽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고려사』를 소장하는 등 민간에 유통되기 시작하였다.광해군 4년 경에는 목판본 『고려사』가 간행되어 지속적으로 인출됨으로써『고려사』 판본은 80여 종에 이른다.목판본 『고려사』에 오탈자가 많다 하더라도 그 수량은 『고려사』 전체 80여만 자 가운데 극히 일부일 것이고, 이것이 『고려사』 판본의 갖는 가치를 훼손하지는 않을 것이다.Koryo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