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동학농민혁명사료총서 8권 : 蘭坡遺稿
    작성자 鄭錫珍(정석진)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馬村東麓甲坐之原長胤遇燦謁余而泣曰先人討匪 之功可以有辭於後而抱冤入地伸雪無梯不肖匪莪 之痛於是益切俯垂一言之惠庸表三尺之碣則其賜 當如何哉余愴然應之曰吾於子之先君相知殆三十 載未嘗見一毫不可於意者而智勇俱備戰勝功取今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작성자 성기열, 정기호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拙著 「韓國口碑傳承의 硏究」, p. 192, ‘술이 취하게 된 來歷’).(拙著 「韓國口碑傳承의 硏究」, p. 192, ‘술이 취하게 된 來歷’).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작성자 박계홍, 황인덕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분은 지난 번이나 지금이나 거의 고정돼 있었고 이분들은 거의 매일 밤마을도 나오고 있어, 낮이든 밤이든, 축소된 판이든 확장된 판에서든 판의 외형적 여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구비전승분은 지난 번이나 지금이나 거의 고정돼 있었고 이분들은 거의 매일 밤마을도 나오고 있어, 낮이든 밤이든, 축소된 판이든 확장된 판에서든 판의 외형적 여건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구비전승

  • 상위자료 디지털구리문화대전
    작성자 강현모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구비전승 구비전승 口碑傳承 Word of Mouth Transmission 강현모 구비전승|구비 문학|설화|민요|무가|판소리|[개설] 구비전승은 한국 문학에서는 구비 문학이라 하고, 민속학에서는 구비전승이나 민속 문학 등으로 불린다.[구비전승의 특징] 구비전승의 특징은 첫째, 말로 된 문학이다. 구비전승은 말로 존재하고, 말로 전달하며, 말로 전승한다. 따라서 공간과 시간이 제한된다.[구비전승의 범주] 구비전승은 말로 된 문학이기 때문에 문학이 아닌 것이나 말로 되지 않은 문학은 제외된다.[구리시의 구비전승] 경기도 구리시에 전승되는 구비전승에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이 대부분 전승되고 있다.

  • 상위자료 디지털안산문화대전
    작성자 김지욱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구비전승 구비전승 口碑傳承 Gubijeonseung(A Story that as Come down to us by Popular Tradition)[개설] 구비전승은 크게 문학적 성격을 지닌 구비문학과 비문학적 성격의 말로 된 생활 기술 지식을 총칭하는 말로 쓰인다.유동문학·적층문학·표박문학·민속문학 등 문자로 기록되지 않고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는 말로 된 문학을 구비문학이라고 정의한다면, 구비전승은 문학적 가치 기준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욕설속신어·욕설·은어·명명법·금기어 등은 문학적 성격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구비문학의 범주에서는 제외되나 구비전승 되는 것이다.구비문학 부분에는 설화, 옛노래, 속담과 수수께끼를 소분류로 하고 있는데 구비전승은 이보다 좀 더 광의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작성자 최원오(광주교육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구비전승의 현재와 미래The Present and Future of Oral Transmission구비전승의 현재와 미래최원오(광주교육대학교)한국문화인류학회한국문화인류학, 41(2)첫째, 구비전승의 범위, 둘째, 구비전승의 범주 중 이제까지 주로 다뤄진 것들, 그리고 그것들의 현재와 미래, 셋째, 구비전승의 범주 중 앞으로 다뤄져야 할 것들, 그리고 그것들의그 결과 필자는 ‘구비전승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구비전승은 항상 ‘현재’라는 시점과 맞물려 있다.구비전승물이 아무리 오래 전부터 전승되어 온 것이라도 ‘지금, 여기’라는 시점에서 구연되지 않는다면 그것은 구비전승물이라 할 수 없다.따라서 현재의 구비전승물이 갖는 특징, 예컨대, 커뮤니케이션 지향성의 강화(온라인에서건 오프라인에서건), 전통 구비전승물의 예술형태를 차용한 짤막하고 재치 있는 표현이나 이야기(소화

  • 작성자 유경자(부산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활용에 대해 살핀 것이다.먼저, 부산지역 구비전승의 형태는 설화ㆍ민요ㆍ무가ㆍ민속극 등 다양한데, 이 자료들은 모두 디지털화 되어 있다.이와 더불어 오늘날은 도시전설이나 민간의 일상생활사로까지 구비전승 조사의 영역을 확대해야 할 시점이라고 본다.다음으로, 부산지역 구비전승은 기층민들이 그들의 삶속에서 일구어낸 중요한이 구비전승물은 오늘날 지역 문화유산의 기초 자원이 되고 있으며, 지역민들이 문화행사라는 소통의 장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도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이러한 구비전승은 보존과 지원만큼이나 그 활용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연문화가 활성화 되어 있는 부산지역의 공연문화적 특성을 구비전승물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그렇게 되면 공연 장소나 공연의 기회가 부족한 구비전승물의 공연 주체에게는 공연현장의 범위를 확대시켜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람객과 관광객들에게는 부산 고유의 구비전승물을 볼거리로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