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
- 작성자 미상(未詳)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輿地圖書 解說미상(未詳)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2022. 12. 27解說輿地圖書는 朝鮮王朝 英祖朝에 各道 邑誌를 收聚, 改修하여 成冊한 것이다.미루어 보아 그 이후의 蒐藏本으로 생각된다.輿地圖書 編纂의 動機와 經緯輿地圖書 編纂의 動機와 經緯에 관하여 承政院日記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上命注書, 持入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命諸臣小退, 更爲入侍時, 以次進伏訖, 臣貞相, 進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命副提學, 讀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曰, 輿地圖書, 曾見有印本有寫本, 此是謄本乎, 命膺曰, 最初洪良漢, 爲玉堂時陳達, 八道邑誌, 一本分兒於李溵溵, 故臣得之矣, 上曰, 輿地圖書, 卿所名乎, 命膺曰, 然矣, 上命注書出問于弘文館, 輿地圖書一件, 在本館與否知入, 臣貞相奉命, 則只有邑誌, 而輿地圖書, 則不在本館之由그러므로 缺冊이 있는 本 輿地圖書는 內入된 輿地圖書는 아닌 것이다. 앞서 든 바 徐命膺의 輿地圖書編成의 설명을 다시 들어 보면 이에 대한 실마리가 풀릴 듯하다.
-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
- 작성자 미상(未詳)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輿地圖書 凡例미상(未詳)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2022. 12. 27凡例一.本書는 韓國敎會史硏究所 所長 崔奭佑神父의 所藏本인 輿地圖書를 底本으로 하고 闕佚部分은 奎章閣과 國立中央圖書館 所藏本으로 補完한 우리 나라 官衙別 邑誌이다.一.本書의 左右上段表題는 輿地圖書分은 左右에 道別 官衙別을 넣고, 補遺分은 道別 官衙別 밑에(補遺)로 表記했다.本書의 中間表紙는 道別을 나타낸 것인 바, 輿地圖書分은 輿地圖書製冊順에 의한 道別을 表示했고, 補遺分에서는 京官職官衙는 한데 묶어서 表示하고 나머지 官衙는 道別로 表示했다.단 輿地圖書分 중 江都府에 包含된 喬桐, 永宗은 京畿道에 넣어야 原則이지만 輿地圖書의 順序대로 두었다.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