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
    작성자 미상(未詳)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輿地圖書 解說미상(未詳)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2022. 12. 27解說輿地圖書는 朝鮮王朝 英祖朝에 各道 邑誌를 收聚, 改修하여 成冊한 것이다.미루어 보아 그 이후의 蒐藏本으로 생각된다.輿地圖書 編纂의 動機와 經緯輿地圖書 編纂의 動機와 經緯에 관하여 承政院日記에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다.上命注書, 持入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命諸臣小退, 更爲入侍時, 以次進伏訖, 臣貞相, 進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命副提學, 讀東史補遺及輿地圖書, 上曰, 輿地圖書, 曾見有印本有寫本, 此是謄本乎, 命膺曰, 最初洪良漢, 爲玉堂時陳達, 八道邑誌, 一本分兒於李溵溵, 故臣得之矣, 上曰, 輿地圖書, 卿所名乎, 命膺曰, 然矣, 上命注書出問于弘文館, 輿地圖書一件, 在本館與否知入, 臣貞相奉命, 則只有邑誌, 而輿地圖書, 則不在本館之由그러므로 缺冊이 있는 本 輿地圖書는 內入된 輿地圖書는 아닌 것이다. 앞서 든 바 徐命膺의 輿地圖書編成의 설명을 다시 들어 보면 이에 대한 실마리가 풀릴 듯하다.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
    작성자 미상(未詳)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輿地圖書 凡例미상(未詳)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上]2022. 12. 27凡例一.本書는 韓國敎會史硏究所 所長 崔奭佑神父의 所藏本인 輿地圖書를 底本으로 하고 闕佚部分은 奎章閣과 國立中央圖書館 所藏本으로 補完한 우리 나라 官衙別 邑誌이다.一.本書의 左右上段表題는 輿地圖書分은 左右에 道別 官衙別을 넣고, 補遺分은 道別 官衙別 밑에(補遺)로 表記했다.本書의 中間表紙는 道別을 나타낸 것인 바, 輿地圖書分은 輿地圖書製冊順에 의한 道別을 表示했고, 補遺分에서는 京官職官衙는 한데 묶어서 表示하고 나머지 官衙는 道別로 表示했다.단 輿地圖書分 중 江都府에 包含된 喬桐, 永宗은 京畿道에 넣어야 原則이지만 輿地圖書의 順序대로 두었다.一.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작성자 황인덕, 김기옥, 서은경, 육은섭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진한모도는 이거 인자 내 생각이유 아 뭐 전해서 내려오는 얘기도 아니고 이 고마리라는 것은 이 저 역사상으로 오디 뭐 특별허게 나온디도 없구 아까 말씀드린데로 저기 여지도서가 마 아니고서여지도서, 여지도서 다음 충남 참, 저 충청읍지 충청읍지에 비로서 고마리라는게 나오거든요 @조사자:예 그래서 그 이전에는 고마리라는 것이 있었는지도 모르겠어요 근디 에 그 진한모도라는

  • 상위자료 디지털 철원문화대전
    작성자 나종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여지도서』 「철원도호부」 여지도서 철원도호부 輿地圖書鐵原都護府 Yeojidoseo Cheorwondohobu 나종현지리지|읍지|『여지도서|필사본|철원|『여지도서 철원도호부 문헌/전적 1757년부터 1765년 사이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수록된 강원도 철원 지역의 지리지.[개설]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8세기 중반 전국 각 고을에서 편찬한 읍지(邑誌)를 모아서 만든 지리지이다. 현재 한국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형태/서지] 『여지도서』는 총 55책의 필사본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에서 소장하고 있다.『여지도서(輿地圖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s://encykorea.aks.ac.kr)

  • 상위자료 디지털도봉문화대전
    작성자 이현욱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여지도서』「양주」 『여지도서』「양주」 輿地圖書楊州 『여지도서』|양주 읍지 역사/전통 시대 문헌/전적[개설] 『여지도서(輿地圖書)』는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41) 사이에 편찬된 전국 읍지이다.후대의 『경기지(京畿誌)』, 『경기 읍지(京畿邑誌)』 등에서도 『여지도서』의 기본적 체계를 바탕으로 편찬된 것을 통해서도 『여지도서』의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여지도서(輿地圖書)』「경기도」 『영조실록(英祖實錄)』 『경기지(京畿誌)』『경기 읍지(京畿邑誌)』 문용식 역주, 『국역 여지도서』2(디자인 흐름, 2009) 변주승, 「『여지도서』의 성격과

  • 작성자 미상
    분류 연구성과 기타

    여지도서(輿地圖書)미상2조선 후기 (미상)image/jpeg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09-06-11 00:00:00.000키워드: 여지도서, 輿地圖書, 채색필사본, 彩色筆寫本, 고지도대상시기 : 조선조선 후기미상

  • 작성자 徐鍾泰()
    분류 연구성과 기타

    輿地圖書』의 物産 조항 연구A Study of Product-Related Provisions in yoji doseo(輿地圖書)『輿地圖書』의 物産 조항 연구徐鍾泰()고려사학회韓國史學報, 0(25), , pp.573-609ART00102683812G704-000690.2006..25.020Y1229-62522713-7945Article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 수록되어전국적으로 볼 때, 여지도서 물산 조항의 토산물 76%가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토산물과 겹치지만, 그 가운데의 6%에는 당시 생산되지 않는다는 표기가 붙어 있고, 24%는 새로 추가된토산물의 산지 등의 표기에서도 여지도서 물산 조항은 신증동국여지승람과 적지 않은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그리고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에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없는 각종 해산물, 약재, 과일, 조류, 짐승, 야채 등의 새로운 토산물이 상당히 많이 수록되어 있다.또한 여지도서의 물산 조항은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