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 큐레이션

한국학 관련 최신 동향, 뉴스, 공지사항 등을 볼 수 있습니다.

한국 경제성장의 발자취, 새마을운동 기록물
  • 등록인
  • 등록일 2025.01.15
  • 조회수 48

 한국 경제성장의 발자취, 새마을운동 기록물 25,805건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에서 공개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내 새마을운동아카이브 연계 서비스 시작

◇ 새마을운동 관련 25,805건의 자료,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에서 확인 가능

◇ 1972년 박정희 전 대통령 자필 연설문 초안 등 중요 기록물 공개

◇ 향후 타 기관과의 자료 연계 등을 통한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 확장 강화


  한국학중앙연구원(원장 김낙년)은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에서 새마을운동 관련 기록물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 연계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연계된 자료는 새마을운동중앙회에서 제공하는 새마을운동아카이브(archives.saemaul.or.kr) 자료 25,805건이다.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은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운영하는 한국학 자료 검색 포털 사이트로 지난 2023년 5월에 개설됐다. 


 이번 자료 연계 서비스를 통해 이용자들은 한국학자료플랫폼에서 새마을운동 기록물을 다양한 연관 자료와 함께 통합 검색할 수 있게 됐다.


 새마을운동 기록물은 세계 최빈국이었던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기록 자산으로, 2013년 6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됐다. 농촌 근대화의 종합 기록, 새마을운동을 이끈 지도자들의 사례, 새마을운동 관련 만화·영상·잡지, 각종 홍보자료 등 새마을운동에 관한 전반적인 자료들이 정리·탑재되어 있다.


 한국학자료통합플랫폼과 연계된 새마을운동 기록물 중에는 1972년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작성한 연설문 초안도 있다. “우리 민족은 과거 수많은 고난과 시련에도 굴하지 않고, 부지런히 일하면 가난을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하면서, “새마을운동은 시멘트와 철근으로 농로를 닦고 다리를 놓는 것. 쉽게 말하자면 잘 살기 운동이다. 잘 사는 것은 빈곤을 탈피하는 것이다.” 등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1970년대 초 취락구조 개선을 위해 하루 종일 작업하며 고생한 새마을운동 참여자들의 작업일지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마을의 소득원 마련을 위해 집단 재배 단지를 조성했다는 내용이 담긴 자료, 마을의 공동재산을 관리한 대장, 각종 결산보고 등의 자료에는 합리적이고 공정한 마을 운영을 위해 노력한 모습이 잘 드러나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관계자는 “새마을운동아카이브 자료를 통해 대한민국이 세계 10대 경제 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원동력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자료는 경제성장, 소득증대, 도농간 격차 해소, 지역 균형발전, 자본 형성 연구의 기반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마을운동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학중앙연구원은 연구자 및 일반인이 한국학 관련 자료를 한 곳에서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타 기관과 지속적인 자료 연계를 진행하고 있다. 향후에는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일본군위안부문제연구소 및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등의 연구기관과도 자료 연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아카이브

URL : https://www.saemaul.or.kr/home/?mode=main

 


 

△ 박정희 대통령 친필 연설문 초안(1)


<내용> 

우리 농민들이 우리도 한번 잘살아보겠다고 몸부림치는 그 모습을 보고 깊은 감명을 받았다. 확실히 이 운동은 우리 농촌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새바람이요. 서광이요 희망이라고 본다. 우리 역사상 과거에도 이런 일은 찾아볼 수 없던 일이다.


* 설명 : 이 기록물은 새마을운동에 대한 박정희 대통령이 직접 작성한 연설문 원고 초안이다. 1972년 4월 26일 당시 전라남도 광주에서 개최될 '새마을소득증대 촉진대회'를 격려하기 위해 구상한 메모 형식의 글로, 대통령비서실에서 사용하는 메모지에 대통령의 친필로 17쪽에 걸쳐 작성되어 있다.



 

△ 박정희 대통령 친필 연설문 초안(2)


<내용> 

3. 새마을 운동이란 뭐냐(의의, 개념) 

(1) 속담에 논어를 읽고도 논의 뜻을 모른다는 말이 있다.

(2) 시멘트와 철근 가지고 농로 닦고 다리놓는 것이다.

(3) 쉽게 말하면 잘 살기 운동이다. 

(4) 어떻게 사는 것이 잘 사는 거냐? 

  ○ 빈곤탈피 

  ○ 소득이 증대되어 농촌이 부유해지고 보다 더 여유 있고 품위 있고 문화적인 생활 

  ○ 이웃끼리 서로 사랑하고 상부상조하고 

  ○ 알뜰하고 아름답고 살기 좋은 내 마을 

  ◎ 당장 오늘의 우리가 잘살겠다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일을 위해서 우리의 사랑하는 후손들을 위해서 잘사는 내 고장을 만들겠다는 데 보다 더 큰 뜻이 있다. (새마을 운동에 대한 철학적인 의의 발견하자.)

※품위 – 금강산도 식후경이라 너무 가난하였다. 체면도 염치도 없어진다.




 

△ 순회출자, 절미(좀도리) 출자



 

△ 우리마을의 새마을 사업 실적 마을일지 1977-1980년 봉황리



 

△ 불모지(만화)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