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초례청에서 여우를 퇴치한 강감찬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임재해, 한양명, 민경모, 김용진
조사장소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조사일시
1984.02.13
제보자
이실숙
조사지역
경상북도

음성자료


구연상황

앞의 제보자가 밤이 오래 됐으니, 이야기를 마치자고 제안했으나, 좌중의 할머니들은 아직 잘 때가 멀었다면서 이야기를 계속 하자고 맞섰다. 이 때 제보자가 자진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처음 부분이 녹음되지 않아서, “옛날에 강감찬이란 사람이요?”하면서 조사자의 말로 녹음을 시켰다. 제보자는 이 이야기를 시아버님한테서 들었다고 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북도/예천군/풍양면
    분류코드: [풍양면 설화 42] 
    테이프번호: T. 풍양 7 앞
    조사장소: 우망동 포내
    조사일: 1984.2.13.
    조사자: 임재해, 한양명, 민경모, 김용진
    제보자: 이실숙(여, 68세)
    초례청에서 여우를 퇴치한 강감찬
    * 앞의 제보자가 밤이 오래 됐으니, 이야기를 마치자고 제안했으나, 좌중의 할머니들은 아직 잘 때가 멀었다면서 이야기를 계속 하자고 맞섰다. 이 때 제보자가 자진해서 이야기를 시작했다. 처음 부분이 녹음되지 않아서, “옛날에 강감찬이란 사람이요?”하면서 조사자의 말로 녹음을 시켰다. 제보자는 이 이야기를 시아버님한테서 들었다고 했다. *

[조사자: 옛날에 강감찬이란 사람이요?] 예, 못났드랍니다. 빡빡 얽어가주 못났어. 아바이가 [청중: 강감찬?] 응. 아바이가 참 이― 아들이라 칼(할) 수가 없어, 하도 남사스러와서 못나가주. 그래 인제 이- 등넘에 인제 잔채를 가민성, 
“넌 오지 마라. 따라 오지 마라.”
“그래 안간다.”
그고 집에 있었는데, 빡빡 얽은 고동지라도 그기 이인이라. 그래 인제 갔거덩. 가이께네, 인제 옛날에는 산중으로 오만, 가마이 오만 뭐 뭐 예끼(여우)가 둔갑을 한다든지 뭐 이래가주고 고만 인제 신랑을 말에 묶어다가 저- 산골에 갖다 버리고 인제, 지가 둔갑을 해가주고 가마를 타고 오는 일이 있어. [청중: 있지.] 그래 인제 여 강감철이가 가보니께 인제 예끼가 둔갑을 해서 왔다고. 그 신랑을 버리고. 쪼만한기 요리 와서러, 요래 인제 초례를 치르는 데 가서 요래 새로 들다 보이께, 예끼그던. 자기 눈엔 예끼란 말이래. 다른 사람은 모르지. 그래 인제 아바이가 보이께 ‘아이구 저걸 내 아들이라고 이 큰일에 와서 칼 수가 있나?’ 싶어, ‘아 저게 왜 왔는고?’ 싶어가주고, 모도 물으이께, 
“자는 누 아냐고?”
“모른다꼬.”
이래그던, 아바이가. 하도 못나가주. 그러이께 그래 인제 초례 치룼는데, 아! 쪼만한기 새로 쏙! 들오디마는 말이지, 
“[호령하는 투로] 니 모색(본색)을 못드러내느냐고!”
막 소리를 벽력같이 지르니께, 범새(곤두박질) 시 번을 넘디만 벡예끼(백여우)가 돼 뒷산으로 올라가. 그래이께, 
“어느 골에 가보라.”
[청중: 굉장히 아는 사람이구나.] 가 보이께, 아 참 거 신랑을 거 갖다 놨어. 기절을 했그던. 그래 인제 살려 나와가주고, 그래 거 강감철이가 글 때부터 이인(異人)으로 인제 머식했어. 그래 내중에 참말로 이인이라꼬 모도 알아주고 이랬다꼬. 그기 인제 전설에 나온 기지요 뭐.

한국구비문학대계 7-18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