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難陁闢濟 難陁闢濟 《百濟本記》云: 「第十五[《僧傳》云十四, 誤]沈流王即位甲申[東晉孝武帝大元九年], 胡僧摩羅難陁至自晉, 迎置宮中禮敬. 明年乙酉, 創佛寺於新都漢山州, 度僧十人, 此百濟佛法之始. 又阿莘王卽位大元十七年二月, 下敎崇信佛法求福. 」 摩羅難陁, 譯云「童學」[其異跡詳見《僧傳》]. 讚曰: 天造從來草昧間, 大都爲伎也應難. 翁翁自解呈歌舞, 引得旁人借眼看.
번역문이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옛한글 | 입력방법 | 옛한글 | 입력방법 |
---|---|---|---|
ㅿ | Shift+ㅁ(또는 ㅁ.) | ㆁ | Shift+ㅇ(또는 ㅇ.) |
ㆆ | Shift+ㅎ(또는 ㅎ.) | ᄼ | Shift+ㅋ(또는 ㅋ.) |
ᄾ | Shift+ㅌ(또는 ㅌ.) | ᅎ | Shift+ㅊ(또는 ㅊ.) |
ᅐ | Shift+ㅍ(또는 ㅍ.) | ᅔ | Shift+ㅠ(또는 ㅠ.) |
ᅕ | Shift+ㅜ(또는 ㅜ.) | ㆍ | ㅏㅏ |
마우스로 한자를
써주세요
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취할취
90%한자 및 옛한글을 검색어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기능을 제공 합니다.
한자부수 입력
1. 검색할 한자의 부수의 획수를 알고 있으면 부수검색 > 부수를
선택합니다. 아니면 전체 부수에서 선택합니다.
2.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획수를 ‘획수’
목록에서 선택하면 우측에 부수를 제외한 획수에 해당하는 한자목록이 표시되고 한자를 선택하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
한자음가 입력
1. 검색 하고자 하는 한자의 한글 자음을 선택하면 각 자음의 한글음이
표시됩니다.
2. 한글음을 클릭하면 이에 해당하는 한자 목록이 우측에 표시됩니다.
3. 한자목록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클릭 하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
4. 위의
검색과정을 거쳐서 여러 한자의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옛한글 입력
1. 화면 안내에 표시된 키보드 조합으로 검색할 옛한글을 입력 합니다.
2. 옛한글 입력시에는 키보드의 ‘한/영’ 키를 한글 상태로 두어야 합니다.
3. 입력한
옛한글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
원문정보
難陁闢濟 難陁闢濟 《百濟本記》云: 「第十五[《僧傳》云十四, 誤]沈流王即位甲申[東晉孝武帝大元九年], 胡僧摩羅難陁至自晉, 迎置宮中禮敬. 明年乙酉, 創佛寺於新都漢山州, 度僧十人, 此百濟佛法之始. 又阿莘王卽位大元十七年二月, 下敎崇信佛法求福. 」 摩羅難陁, 譯云「童學」[其異跡詳見《僧傳》]. 讚曰: 天造從來草昧間, 大都爲伎也應難. 翁翁自解呈歌舞, 引得旁人借眼看.
번역문이 준비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