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고종다리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김영돈, 고재환
조사장소
제주도 제주시 오라동
조사일시
1980.11.23
제보자
송기조
조사지역
제주도

음성자료


구연상황

중국에서 와서 제주도를 돌며 제주도 곳곳의 물의 혈(穴)을 빼었다는 고종다리(혹은 胡宗旦) 이야기는 너무나 널리 알려진 설화이므로 제보자도 알고 있으리라 생각해서 이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다. 이야기 내용은 평범하였으나영평리(寧坪里) 수세못과 관련시키는 것은 아직 못들은 내용이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제주도/제주시/오라동
    분류코드: [오라동 설화 28] 
    테이프번호: T. 오라 5 앞
    조사장소: 오라동 동카름
    조사일: 1980.11.23.
    조사자: 김영돈, 고재환
    제보자: 송기조(남, 74세)
    고종다리
    * 중국에서 와서 제주도를 돌며 제주도 곳곳의 물의 혈(穴)을 빼었다는 고종다리(혹은 胡宗旦) 이야기는 너무나 널리 알려진 설화이므로 제보자도 알고 있으리라 생각해서 이 이야기를 해 달라고 했다. 이야기 내용은 평범하였으나영평리(寧坪里) 수세못과 관련시키는 것은 아직 못들은 내용이었다. *

그 사름(사람) 처음에 종달리(終達里)로 들어갓던 모양이지. 들어가서, 
“이거 어느 을이냐?”
“종달립니다.”
니, 
“내가 미릿(미리) 올 줄 알아서 땅이름을 부쪄(붙여) 놓앗구나.”
[폭소.] 못 씨겟다고. 글로(거기로) 시작여서 제주도에 혈기(穴氣)가 좋앗던 모양이라, 생수가 나는디, 글로(거기로) 돌안(돌아서) 물 나는 디를 전부 못 나게 엿는디.
알무드네, 영평리(寧坪里)에 수세못이라는 못이 잇입니다. 영평리 수세못이라는 못이 잇는디, 거기 그 밧이름을 ‘고분밧’이라고 그후에 지왓어(지엇어). 물 밋듸(밑에) 밧 가는 사름이 잇는디, 어떤 처녀가 밧 가는 사름안티(사람한테) 간(가서), 
“곱져(숨겨) 달라.”
고. 고종다리가 혈(穴) 빠 불문(버리면) 기가 죽은 목숨이거든.
“어떻게 하느냐?”
“행기(밥그릇)에 물을 떠다가 거기에 나를 곱져 달라.”
고 니 그놈을 떠다가 장기(쟁기) 싣건(실어서) 간 질매(길마) 아래 그놈을 놓앗다 말이여. 그 우인(위엔) 우장을 더꺼(덮어) 부런(버렸어). 니 고종다리가 그딜(거기에) 와서 문제를 거는디 저디서 볼 때에는 수세못이란 못이 문서에 나타낫는디, 거기 오랑 보니까 ‘고부랑낭 아래에 우장세미 행기물’이라 이렇게 햇다 말이여. 행기에 물 떠단 고부랑낭 질맷가지 밋듸(밑에) 놓고 우장을 더프니까 오라서, 
“고부랑낭 아래 우장세미 행기물이 어디 잇느냐?”
고 물을 아.
“미친놈 그런 물이 어디 잇느냐?”
고 니까, 이거 거짓문세라고 그 문셀(문서를) 불 아부런(살라 버렸어). 이녁냥으로(이녁대로). 그엿는디(그랬는데) 글로부떠(그로부터) 영펭더렌(영평쪽엔) 생수가 벨로 읎쥬게. 일로(여기로) 서레렌(서로는) 애월멘(涯月面)도 기영고 물이 만는디(많은데).
[김영돈: 그까진 연에(해서는) 그 다음부떤 못 떳네예?] 예. 고종다리, 고종다리옝덜(고종다리라고들) 는디 역엔 보민 호종단(胡宗旦)이옌 써 잇어. 되호재(胡宇), 마루종재(宗字) 아침단재(旦宇).
[이 고종다리 이야기를 끝낸 다음엔 유배 온 관리가 백성을 괴롭히는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마침 마침 녹음기의 전지가 다 된 줄 몰라서 녹음이 실패된 줄 나중에야 알았다. 다음 기회에 수집할 것으로 미루어 둘 수 밖에 없겠다.] 

한국구비문학대계 9-2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