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연상황
권영복씨가 계속해서 이야기 했다. 청중이 여러사람 되니 목소리가 높아지고 이야기에 생기가 돌았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강원도/횡성군/청일면 분류코드: [청일면 설화 43] 테이프번호: T. 청일 3 뒤 조사장소: 춘당 일리 조사일: 1983. 7. 20. 조사자: 김대숙, 고혜경 제보자: 권영복(남, 79세) 숭어 물 멕이기 *권영복씨가 계속해서 이야기 했다. 청중이 여러사람 되니 목소리가 높아지고 이야기에 생기가 돌았다.* 우스운 얘기지 처녀 하내(1)-하나- 아 처녀가 둘이 똑 같은 게 한 이웃제서 크는데, 니가 시집을 먼저 가든지 내가 먼저 시집을 가든지 인제 시집가먼 첫날 제냑에 그 자기 신랑하구 지내간 경과를 서루 신랑이 으떡하던 자기한테 으떡하더라 그 얘기를 아주 전부 죄 해 주게 됐거던 조약이. 아 그랜데 한 처녀가 인제 먼저 시집을 가게됐단 말이야. 아 그랜데 인제 그 그날 대례는 지냈거니와 첫날 제냑에 이것덜이 이게 이게 얼마나 즈 즈 같이 조약한 친구가 이거 신랑한테 혼이 나나 이게 궁금해설람은 잠이 안오내. 아 그래 이제 밤새두룩 잠을 [기침] 자맨 말맨 하구서 기 이튿날 새벽에 아 그 신부가 즈 친구가 상가 즈 신랑하구 한자리에 들어누워서 일어나기 전에 새벽녘에 거길 찾아갔지. 찾아가선, “아 자니?” 그래니깐, “아이 인전 잠이 깼다.” 인제 그래이깐, “으떻테이?” 인제 이 ‘으떻해이’하맨 ‘으떻더라’ 인제 [웃음] 이렇게만 얘기하면 알아듣게 저희들이 암호를 해놨단 말이야. “으떻테이?” “거 문밖같데다가서 손바닥을 데라.” [청중: 웃음] 거 거 손바닥을 이렇게 됐단 말이야. 바늘을 한쌈 푹 쏟아가지구 바늘 한쌈 쏟은, 그 바늘이 그거 한 삽사십게 되는 눔으루다 손바닥이 아주 등때기루 나가거라 하구 콱 찔렀지. [조사자: 아…(웃음).] [조사자 앞에 방바닥에다 대구 손바닥을 쿡 찔르는 시늉을 해서 깜짝 놀랐다.] “이렇더라.” 아 툭 채구가서 집이 가서 이 흔들맨서 아 이게 바늘 한쌈으루다 손바닥을 찔렸이니 [청중: 웃음] 뭐 사지가 전부 녹는거 같구 아 죽겠거던. [청중: 웃음] ‘야 이 이래가주구 이거 시집 못가겠다.’ “이렇더라.” 하니까는 그 시집간 게 그 그렇게 혼났다는군. 아 집이 가서 손바닥을 왼통 들구선 메칠 고생 단단히 했지 그 바늘에 찔렸이니까. 아 그래구선 아 인제 그것두 당혼했는데 즈으 부모네가 시방은 연애루 시집가지만 옛날에는 즈으 부모네가 허재해야 시집가게 됐는데, 아 시집 어디 시집 줄라구 그래믄 아이 껌쩍 뛰맨서 아주 시집 안간대는 게야. [염주호: 바늘에 꽉 찔린 게….] 아 그 손바닥 찔린걸 생각하니까 그까짖건 색씨루 늙어 죽지 시집 못가겠거던. [염주호: 바늘루 꽉 지르면 이렇더라…(웃음).] 음, 아 그래서 [이장: 다른 말은 못해가주 손바닥을 내대면….]아 그래서 이제 시집을 못가게 됐단 말이야 시집은 못가. 그래서 그럭허니 하구. 그 이웃제 총각애가 하나 있는데 그 처녀애 내용이 그 바늘 때문에 손바닥 찔린 거 때문에 시집을 못가는 걸 알았단 말야. 이눔이 좀 융하던 모냥이지. 같이 총각하구 엄불려 댕김 노는 건 상관아니여. 시집가는 것 만 아 그렇게 겁이 나가주 그래지. [염주호: 바늘에 찔릴가봐.] 그래 [웃음] 총각하구 이눔이 슬슬 그 색씰 교제해서 같이 놀러두 댕기구 인제 이렇게 됐거던. 그 같이 놀러 댕겨 아 그저 니니 네니 하구 서루 뭐 이랬소 저랬소두 읎구 다 니니 네니 하구 돌아댕김, 하루는 가서 이눔이 여름 하월이던 모냥이야 요 삽복부리던…. 아 같이 가서 덤불밑에 가 앉어 놀대이깐 아 으 덤불속에 앉았어두 그냥 더워가주구 기후가 더워서 땀이 이마에 그냥 출출나지. 그래이깐 그 총각늠이 아 실며시 저쪽으루 가더니 뭘 바지춤을 이래가주구 이래 엎드려 당구구 있거던. [청중: 웃음] “너 뭘 그래니?” “숭어 물 멕인다.” [일동: 웃음] [부인: 나 원 늙은이두 드러워… 제이기….][권영복: 아니여.] [조사자: 아니예요.] [일동: 웃음] “아 숭 숭어 물을 왜 맥이니?” “아이그 이렇게 더운날 숭어 물만 맥이믄 참 아주 이마에 땀이 쑥 들어가구 아주 서늘하구 [웃음] 아주 여간 좋지 않단다.” “아 그 넌 숭어가 있어 물을 멕이지만 난 숭어가 없어 물을 못 멕여 으떡하니?” “에이그 네 숭어에두 물 멕이는 방식은 있느니라.” “아 우떻게 맥여?” “내 숭어에다 물을 잔뜩 멕여 가지구 내 숭어에다 물을 멕이믄 [일동: 박장대소.] 너 너두 그저 먹으면 그저 대번 그저 이마에 땀이 아 쑥 들어간다.” 그래이깐, “아 그램 아이 나 더워 죽겠다. 얼린 얼린 와서 네 숭어에 물 잔뜩 맥여가주 좀 멕여다우.” [일동: 웃음] 아 그래, [웃음] 아 그 아주 재촉이 얼린얼린 와서 숭어 물멕여 달라는. 아 그래 이눔이 아주 청처줌하구 당구구 있다가서, “아 그램 정 그렇데믄 한번 숭어에 물을 좀 멕여봐라.” [염주호: 박장대소] 아 이눔이 아 그짓을 쳤단 말야. 아하 괜찮어. 뭐 땀은 금방 들어가는 것같덜 않해두 뭐 해롭덜 않단 말이야. [일동: 웃음] 사타구니가 서느름한 게… 예이 아 하. [청중: 계속 웃음] 그래 그 놀다 집일 갔지. 아유 뭐 즈이 부모네가 죄석(2)-朝夕. 아침과 저녁식사- 이라두 시겨서 여름 하월에 더운 때 저 불 때구 이래면 땀이 찌찌하게 날 게 아니여, “아 난 저기 좀 갔다와야 되겠어오. 저기 메.” “거긴 왜?” “아이 숭어 물 좀 멕이야 되겠어오. 땀나 못배기겠는데요.”[일동: 웃음] 아이 저 부모네가 보이까는 영낙없이 그것들이 그런 짓을 하 하러 돌아댕기거던. 그래 그 총각을 불러가지구, “너 인전 자하구 같이 살아라.” 같이 사는 것두 인제 같이 시집을 가구 장개를 가그라 하믄 어 또 껌쩍 뛰겠어서, 그저 잘 데리구서 그저 같이 을마든지… 아 그래 그 배필이 되서 살게 하더래요.한국구비문학대계 2-6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