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엉터리 지관의 행운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서대석
조사장소
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조사일시
1981.07.16
제보자
홍원유
조사지역
충청남도

구연상황

민요를 해달라고 하여 논매기 노래부터 시작했으나 떠들기만 하고 노래는 계속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민요조사를 포기하고 다시 홍원유씨의 이야기를 들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충청남도/아산군/둔포면
    분류코드: [둔포면 설화 23] 
    테이프번호: T. 둔포 4 앞
    조사장소: 산전리
    조사일: 1981.7.16.
    조사자: 서대석
    제보자: 홍원유(남, 81세)
    엉터리 지관의 행운
    *민요를 해달라고 하여 논매기 노래부터 시작했으나 떠들기만 하고 노래는 계속되지 않았다. 할 수 없이 민요조사를 포기하고 다시 홍원유씨의 이야기를 들었다.*

형제가 사는데 말이유. 형제가 사는데 저 형은 저기서 거시기를 가지고 쇠(1)-지관이 쓰는 나침반.-를 가지고 댕기며 지관질을 해 잘 살어. 지관쟁이가 잘 살거든. 그런데 아우는 어려워. 그런데 그 가리켜 달래도 안 가르쳐 줘. 그래 저 성은 잘 사는데 저는 당체 그것 좀 일러 주면 잘 살겠는데 안 일러줘. 암만 거시기 해도 요청을 해도 안 일러 준다고.
그래 이놈의 쇠를 훔쳐 가 훔쳐 가지고 가서 나도 지관질 좀 했으면 먹고 살겠는데 말이여. 이거 훔칠 도리가 없어. 어떻게든지 인저 거길 찾아 들어 저 형의 집을 드나들며 이걸 훔칠 예산을 하고 드나드는데 지관이 쇠, 쇠, 아무것도 모르지. 이거 아무 것도 모르지. 저 형이 지관질 하니까 인저 쇠를 가지고 가서 어떻게 해 볼려고 하는 거지, 인저.
그래 어떻게 하든지 인저 저의 형네 집엘 자주 가서 그 쇠 엊다 두는 걸 엿보아가주고서 훔쳐 가지고 갔단 말이야, 인제. 훔쳐 가지고 가서 인제 쇠 가지고 나서는 거지. 아무 것도 모르고 쇠만 가지고 나서는 거지.
어디 저 어디 그저 정처없이 가는 거여. 한없이 가니께 큰 동네가 있어. 그래 그 동네로 쓰윽 들어가니께 커다란 집이, 커다란 집이 인제 크나큰 집이 있는데 인제 가 보니께 안팎에서 벅적벅적해요. 사람이 말이야. 벅적벅적하거든. 그래 그 집엘 떠억 들어 가서, 
“무슨 일로 이렇게 벅적벅적 하느냐?”
고 그런께, 
“이 집이 저 사람이 하나 죽었는데, 아들이 말이야. 이 저 자기 아버지가 죽어서 모이 자리 잡는데 지사란 지사는 죄 불러대도 말이야. 불러대도 별로 맞는 자리가 없어, 맞는 자리가 없어서 지사를 골르라고 이렇게 하는데 그냥 지사들이 벅적벅적하외다.”
그래 나두 이런 사람이다 하고선 쓰윽 들어갔는데, 들어 가서 얘길 해보니까 아 지사들이 뭐 그거 아무 것도 모르는 게 지사라고 들어 가서 말을 해보니까 뭐 대체 뭐라고 말을 해 붙일 수가 있어. 이거, 그런가 하고, 
“나두 인저 지사 노릇을 한다.”
고. 그라구서 얘기를 했는데 그래 말을 붙혀보니 뭐 말을 그 사람들하고 원체 말을 잘 해서 부치지 못 하겠단 말이야.
“그러냐?”
구. 그래 인저 그 주인 상제를 만나가지고서. 상제를 만나고서, 
“사실 약하(若何) 이만저만 해서 나두 참 쇠좀 가지고서 내가 본다.”
고 말이야.
“아 그러시냐”
고. 여간 반색을 하지 않거든. 그래 인자 저녁때 해거름(2)-해 질 무렵.- 됐는데 저녁을 잘 차려다 줘서 먹고, 먹고 났는디 이 사람들 지사가 수십 명이여. 한 방인데 그냥 지사… 해 디립다 인제, 당체 맞는 자리가 없어. 산판은 넓은데 맞는 자리가 없다구. 그 사람들 보는 거 하고 상주의 마음 맞는 거 하고 맞질 않혀. 그래서 인저 딴 지사를 하나 구하는 건데, 
“어떻게 지사 양반 되시느냐?”
고. 그런께, 
“아 그렇다.”
구 말이여. 저녁을 잘 차려 줘서 잘 먹었단 말이여. 잘 먹고서 났는데.
저녁을 먹고 나서야, 인제는 산자리를 보러 가자고 할 모양인디, 이 뭘 알어야 말이지. 맹문인디 뭘 알어야 낼은 아침 먹고 나서, 자고 일어나서 아침을 먹고나서 산자리를 보러 가자고 할 텐데 뭘 알어야 가지요. 이거 큰 일 났어. 그래 그 날 저녁에, 
“나는 여럿이 있는 데선 자질 못해요. 나 혼자 독방을 좀 치워 달라.”
고 말이여.
“독방을 하나 치워 주시유.”
상주 보고 말이여.
“아 그거 그렇게 하라고. 그거 어려울 거 없다.”
고 말여. 그래 독방을 하나 치워 줬어. 그 사람을 말이여. 독방을 하나 치고서 혼자 가만이 들어 앉어 생각을 하니 큰 일 났어. 낼은 도망을 쳐야 할 텐데 이거 뭘 알아야지. 어째, 산자리를 볼 때 뭘 알어야, 어떻게 가서 뭐라고 뭐라고 잡아주지. 아무 것도 모르는 놈이 거시기 모양 들어 가서 저녁 잘 얻어 먹고 지도 대접을 받었으니 말이야. 그 이튼날 물론 산자리를 잡으러 가자고 그럴 텐데 이거 뭘 알어야 가서 잡아주지 말이여. 이거 큰일 났거든. 밤새도록 잠을 못 잤어. 잠을 못 자고 인제 일어났는데 아침에 쓰윽 일어났는데 상주가 말이여. 상주가 참 진수성찬(珍羞盛饌)에다 참 한 상 잘 차려다 갖다 준다 말이여. 그냥 먹었어 인저. 술에 밥에 잘 먹었거든.
아 이거 금방 산자리를 보러 가자고 할 텐데 큰 일 났다고 어떻게 해야 옳을지 이거 어떻게 해야 옳을지 당체 지세양난(3)-氣勢兩難. 이럴 수도 저럴 수도 없는 곤란한 경우.-이여. 어떻게 했으면 좋을지 모르겠다구. 그래 그 아침을 먹고 아침을 떠억 먹고 났는데 그 상주가 하는 말이, 
“아, 그 저 산지 좀 가 보셔요.”
그런단 말이야.
“아, 가야지요.”
그래 인제 할 수 없이 아침을 먹은 후에 가자고 인저 약속을 하고 있는데 상주 보고 가자고 그러고서는 두 말 않고 내 빼는 거야. 저 놈한테 걸리면 죽을 테니께 그저, [청중: 지관이.] 아 지관이 말이여. 지관이 뭘 알어야 쇠만 들고 나온 놈이 뭘 알어야지, 글쎄.
상주가 산자리 보러 가자고 그런께 뭘 어떻게 하는지 알어야 어디가 어떻다고 알으켜주지. 알지도 못하고 어떻게 말이야. 그래서 그 상주가 가자고 하니께 가자고 할 수밖에 더 있어.
그래 가다가 중간에 참 저 가는 기여. 그냥 막 내빼는 거지, 뭐. 인제 피해 상주를 피해 내빼는 거지. 상주를 피해 내빼는 게야, 내빼는 게 목적이지 살라구 그저 놈한테 걸리면 죽을 테니께 내빼는 거라구.
아 그냥, 노다지 그냥 내빼는디 상주는 뒤에서 말이여. 겨우 붙들랑말랑 붙들랑. 인저 상주는 말이여 어떻게 된 지관인고 하니, 인제, 
“나 하는 대로만 하라.”
고 그랬으니께, 그냥 쫓아 가는 기여, 상주가 말이지. 그 사람을 쫓아 가는 기라고. 워낙 쫓아 가는대로 쫓아 아 이거 붙들락말락 붙들락말락 한단 말이야. 아 이거 몸달아 죽겠어. 이놈이 말이여. 붙잡히고 말면 뭘 어떻햐. 뭘 답변할 말이 있어야지.
어디쯤을 갔더니 말이야, 그냥 가는데 뒤에서 쥘락달락 인제 다을락말락 하는데, 하다보니 산꼭대기로 인제 오르는데, 하 그 산꼭대기로 터억 올라 서 보니께 그 아래가 낭떠러지란 말여. 낭떠러지 폭포 아주 냇갈(4)-벼랑.-이여. 그 아래 상상봉이 올라 가서 하여튼 거기 올라 앉아 가지고서는 숨을 탁 쉬고나니깐 상제가 쫓아 올라 와. 쫓아 올라 와선, 
“아, 그 어떻게 됐느냐?”고.
“여가 아주 명당 자리여.”
그런데 수십 명 지관을 쫓아 다녀 봤어, 도상주가 마음이 말이여, 그런 자리가 없어. 그런 자리가 없다구. 아주 낭떠러지 거기 냇가에 낭떠러지건 산끝에 상상봉에 올라 가서 사방을 둘러보니 사방이 탁 터지고 말이여, 탁 터지고 냇가에 그 시냇물이 그저 꽐꽐 흘러 내리고 말이여. 참 경치가 여간 좋잖아. 그래설랑 상주의 마음에 아주 탁 든다고.
“아주, 여기 이렇게 좋은 자리를 여지껏 못 찾았다.”
구 말이야, 상주가.
“이런 좋은 자리를 못 찾았다.”
구. 상주가 아주 손뼉을 치며, 
“이런 자리를 여태 구하지 못 했다.”
구 말이여.
“가자.”
구 말이여. 아 와서 가정집으루다 그래 그 저 집으로 가서 말이, 가정집으루다 전부 그냥 그 지사들을 전부 그냥, 
“가라.”
고 말이야. 전부 내 쫓아 버리고 그 사람 그 사람 하나만, 
“에구 선생님, 이런 이런 명사(名士)를, 내가 말야, 만날 줄 몰랐다.”
구 말이야. 몰랐다 그러면서 그래 거기다 갖다 거기다 장사를 지내고 아무 날 이래 택일을 해 가지고. 택일, 택일이 뭐야, 아무 날이나 지내면 하는 거지 뭐. 택일을 해 가지고 지냈는데, 아 갖다 쓰고 보니께 참 세상에 그런 자리가 없어. [조사자: 진짠 줄 알고서.] 예. 그런 자리가 없더라, 상주가 보니께 말이여. 지관들 몇 몇 십 명을 데리고 봤어도 그런 자리가 없어. 어째 아주 꽉 든다구. 그래 묘를 쓰면서 그랬다구.
“야 인저 우리 아버지가 아주 명당(明堂)을 잡아서 썻으니께 참 아주 은인(恩人)이란 말이야. 가시자.”
구 말이야. 그래 집으로 가서 몇 달, 집으로 가서 아 한 달 뒤여. 두 달 뒤여. 그냥 칙사대접을 하고 뭐 그냥 여간 대접을 안하거든.
그러는데 인저 암만 생각을 해도 미안스럽게, 집이, 집이 가난한디 집이 식구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르겠어.
“아 인저 집에 좀 가 봐야겠다.”
구 말이여. 집 떠난 지가, 집 떠난 지가 몇 일 됐는데, 집에 식구가 어떻게 됐는지 내 모르겠다구.
“집에 좀 댕겨 와야겠다.” 구.
“아 댕겨 가시는 거야 뭐, 여기서 걱정 말고 여기 기시라.”
고 말야.
“기시면 거기 뭐 돈이랑 뭐든 덤뿍 보내서 거기 살게 맨들테니 걱정 마시라.”
고 말야. 아 가지도. 못 가게 하네.
아 그래 저 수십일을 지나서 그런데 아 어디서 돈을 자꾸 부쳐 줘. 먹을 것 부쳐 주고. 집도 거 오막살이 사는 거 집도 짓게 맨들어 주구, 다 그렇게 해 놓고서. 아주 양식도 부쳐 줘, 여기 아 마누라가 인저 ‘이거 어짜면 이런 돈을 누가 갖다 주는지’ 당체 뭐 돈을 자꾸 갖다 주니께 거기가 잘 산단 말이여.
그래 냄편은 안 오고. 어떻게 된 게 냄편도 안 오고 나가서 죽었는지 살었는지 모르겠다고 의심을 하쟎아.
아 그래 할 수 없이 주인더러, 
“사실은 이랬으니 이번은 좀 가봐야겠다구. 집에 가서 집에 식구가 어떻게 됐는지 모르겠으니께 한 번 내 댕겨 오겠으니 그런 줄 알라.”
고 말야. 그라고는, 아 주인하고 하직을 하고, 
“아 그러면 부득히 그러면 갔다 댕겨 오시라. 그 말이여. 댕겨 오시면 부디 댕겨서 또 오시라 그 말이여. 오시면은 머지 않아 참 뭐든지, 그저 아수우면 내가 대 드릴 테니께 걱정 말고 가서 댕겨 오시라.”
고. 아 그래서 돈을 말여, 당나귀에다가 돈을 한 바리 실려서 보냈어. 가서 집에 와 보니께 그전 오막살이, 오막살이 집이 간 곳이 없고 말야. 고래등 같은 기와집. 기와집을 짓고서 말여. 짓고서, 아 들어가 보니께, 고래등같은, 오막살이 살던 집이 고래등같은 기와집이 거 했으니 아 이거 어떻게 된 영문인지 당체 알 수가 없어. 그래 마누라한테 가서 인제, 
“사실 이것이 마누라가 잘 사니 이게 어떻게 된게냐?”
말이여. 하니께, 
“아 당신이 나가서 말야. 나가서 몇 달 안되서, 몇 달 안 되서 아 쌀 갖다 줘. 돈 갖다 줘. 집 지으라고 재목 갖다 줘 집도 지어 주고 이랬다.”
고 말여, 그러거든.
“그러냐.”
고. 그래 놔 두고 죄 인제 속으루 보내서 집 짓고 쌀두 주구 그래 맨들어줬단 말이여. 다 그거 엉터리지. 엉터리 쇠만 가져 있으면. 그래 그 때, 그 사람의 운이여. 운이라구. 쇠만 가지고 아무 것도 모르면서 쇠만 가져 가서 거기 가서 거기 하니까 아, 천하대지(天下大地)여. 천하 수십 명…
[청중: 금시발복이여.] 그려 금시발복이지, 금시발복이여. 그때 그 사람의 운이라고.

한국구비문학대계 4-3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