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자료
구연상황
제보자의 자택에서, 혼자 구연했다. 자신이 이야기할 항목을 먼저 열거한 후, ‘벌이야기’부터 하겠다면서 다음 이야기를 시작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북도/상주군/청리면 분류코드: [청리면 설화 1] 테이프번호: T. 청리 1 앞 조사장소: 원장 2리 모산 조사일: 1981.10.17. 조사자: 천혜숙, 강애희 제보자: 이기환(남, 62세) 여필종부 *제보자의 자택에서, 혼자 구연했다. 자신이 이야기할 항목을 먼저 열거한 후, ‘벌이야기’부터 하겠다면서 다음 이야기를 시작했다.* 삼대 독잔데, 재상은 재상인데 독자래요. 그래서 모(某), 관상보는 사람한테 갔어요. 그래 가가 떡 보니까 그 사주팔자에 열 아흡 살엔가 죽어요. 절손이 돼요. 손(孫)이 없어져부리죠. 그런데 낙심아이겠어요? 삼대독잔데, 재상인데. 딱 하나 끊어지마 그마이께. 그래서 어짼 기 아이라, “인진 도리가 없어. 나는 도저히 할 수가 없어요. 누구나 다 봐야 헛일이라.” 안 된다 카는 기라. 그래서 그 당시에 인자 중국문화거등요, 우리가. 공자님, 문화를 받아가이 왔는데. 그래서 인제 그 당시에 사신이 하나 댕깄더래여. 사신은 막 [청취 불능] 먹고 하는 거예요. 잘 아실 겁니다. 그 사신한테 부탁을 했어요. 천 냥을 조가 보냈어요. 천 냥 주민서, “점을 쳐 오라.” 이래 됐어요. 그래 천 냥을 가이갔죠. 가이가서, 중국서 누가, 점을 지일 잘 치는 집을 찾아갔어요. 가니까 딱 보디이마는, “허허 참, 세사아 이런 점은 첨 봤다. 이런 점은 안죽 친 일이 없다.” 그런데 [청취 불능] 천 냥을 내버리요. 가주 가라 카는 키라. 그래 그 사람이 그 때 죽었으마 끝나는데 사신을 당기왔어요. 그래 인자 그 천 냥을 준 거예요. 깜짝 놀래죠. 안 그렇겠어요? 실망이죠. 그 돈을 천 냥을 받아가주고 점을 맞차 왔으만 됐는데 실패 아이래요? 깜짝 놀랬는 거예요. 그래도 도리 없죠. 그래 인제 일 년이 또 지냈어요. 그래 또 사신을 가게 됐어요. 그래 또 천 냥을 좄는 거예요. “자네가 이걸, 경이 가이가서 중국가서 점을 쳐 오게. 주고 오게.” 이래 됐어요. 그래 인제 그 사람이 갔어요. 중국에 가 또 물어여, 그 사람에게. 그 집에를 떡 가니까, 떡 이래 쳐다보디이마는, “참, 작년 그 점이 또 왔구만.” 이캐여. 그래 천 냥을 받아여. 받디이마는 그래 벽장문에 딱 넣어 버려요. 넣디이마는 이 사람 하는 말이, 이런 창호지 [문쪽을 가리킨다.] , 이기 창호집니다. 아실 겁니다. 시골엔 창호지밲이는 없으니까요. 이만한 뭉티기를 하나 조요. 창호지 뭉티기를. 뭐러카는 기 아이라, “이 뭉티기를 급할 때 써 머어라.” 이기래요. “써 먹는데 지급으로 단니가서, 당신 오늘은 살아갑니다.” 이기래요. “가거든 그 가이가가 쫓아 내라.” 이깁니다. 그 당시에 열 살 먹었대요. 열 살 먼 아 쫓아 내라 이기예요. 지금은 여성도 객지 나가기 보통이, 미국도 가고 일본도 가고 다 가는데, 그 때는 그기 아입니다. 잘 아실 낍니다, 서적을 봤으만. 그 때는 그기 아니고 떨어져만 안 돼요. 불호고, 그 또 돼도 안 하고. 그래서 도리가 없지요. 그래 이자 댕기 왔어요. 그래 인자 그런 말을 한 기, 왔어요. 그래 인자 그런 말을 한 기예요. “돈 천 냥을 받아가 해줍디다.” “그래 뭐라 하더나?” 하니까, 도리 없잖아요? 암만 귀중한 자식이라도 쫓아 내버리란 기라. 그래 인자 열 살 먹은 늠을, 옛날엔 뭐 보양하만 뭐 은 금, 금은보화라 카지만 잘 드물랐읍니다. 그리기 때문에 그 집엔, 제로-(제일로)- 인제, 우리나라 인제, 예의지국가기 땜에 맹건, 갓 이기 젤 갑이 나가요. 그러니까 그런 거로 가-(것을 가지고)- 인제 자기 돈대로 싸보낸 거예요. 쫓이낸 거지. 거질 맹근-(만든)- 거지. 그런께 인제 자기가 인제 배운 기 있고 아 이러니까 인제 나가서 인제 서당방에 댕기는 기야. 댕기마 인제 지금겉잖아서 푸대접은 않지요. 저 배운 것도 있고 행세가 있으마 다 알거든요, 사람 보마. 그래 옛날엔 지금 겉잖아서 옷이 틀려요. 양반, 중로, 상늠 대번 판길해요. 옷에 대번 알아요. 그런께 인제 푸대접은 안 받지. 그런께, “저 사람은 양반집 자식이다.” 그래 댕기미 얻어 묵었어요. 그거 공식이예요. 언제든지 밥을, 돈을 [청취불능] 주나, 고마 거어 잠 재보내고 대접해서, “죄송합니다. 이렇습니다.” 대접해 가미 있는 거예요. 그래 인자 이 사람이 그래그래 댕기다가 열 아홉 살이 다 됐어요. 육 년을 거친 거예요. 열 시 살 뭈은께. 거칬는데 이 사람 생각이 우예 됐나 하만, 봄이 닿았어요. 이제 마지막이예요. 그 날, 장개 하문 못 가보고, 세상맛도 못 보고 고생마 하다가. [웃는다.] 그래서 새에 와서 ‘이 참’ 올게 끝이 난다 말이라, 생명이. 그러니까 이 사람이 ‘서울구경이나 하고 죽자’ 이래 됐어. 지금 말같이, ‘서울을, 그 서울을 구경이나 하고 죽자?’ 서울을 갔는 거예요. 그러다 본께 돈은 다 떨어젼 거야. 맹건 판 거 뭐 이런 거 다 떨어졌뿌맀고, 옷은 그 마 추첩하이-(더럽게)- 됐고, 사람꼴도 행핀없이 됐고. 안 그렇겠어요? 고민에 쌯있지 남우집에 댕긴께 옳기 되겠어요? 그라다 보니까 봄이 닿았는데 참 야도화-夜桃花.- 가 만발했어요. 만발했는데, 서울을 떡 갔는데 그 때사 봄인데 그 서울시민이 노소 할 거 없이, 남녀 할 것 없이 인제 꽃구경을 가는 거예요. 봄철인데, 봄인께 가는데. ‘야, 인제 서울에 왔으이, 나도 사람인께 하문 가 보자.’ 이래 됐어요. 그래서 인제 간 거지요. 갔는데, 그래 갔는데 그래 가다가 그 및 십리되는 인제 도랑, 이 짝 저 짝 꽂이 콱 섰는 거예요. 그래 가는데 한참 올라가다 본게더로 꽃이 한창 만발해 있는데 꽃이 자기 몸에 후두득 떨어져요. 누가 던지는 겉이요. 그래 또 떨어져요. 시 분 떨어져요. 그래 쳐다본께 그 인자 복숭나무에서 아주 미녀가 말입니다. 꼰집으로,-꼰 짚으로.- 꽃을 흩어가 때리요. 싯? 그래 함 쳐다본 거예요. 참 미인이야. 그런가봐, 썩 봤는 거예요. 본께 니러 와요, 그 낭케서. 니러 오는데 가는데 처자라요. 처자가 가요. 그래 따라 갔는 거예요. 오새 참 그 참 거석할 나인데 안 그렇겠어요? ‘그래 저 여자가 나한테 미쳤나, 반했나’ 안 그렇겠어요? ‘날, 내 따라 오라 카는가 부다.’ 따라 간 거예오. 그래 가는데 하루종일 가는 거예요. 산으로 산으로. 가니까 해는 일모했는 거예요. 해는 졌어요. 그런데 쭉 저물기 인제 시무륵하니 어둡기 됐는데 가는데 띠집으로 들어 가는 거예요. 띠집은 인제 말하자마 나무를 걸치 놓고 뭐 이래 띠로 산띠기를 뭐 이래 한 기겠지요? 그리루 썩 드가요. 그래 어째겠어요? 뻗어버렸어요. 아칙도 안 먹고, 정심도 굶고, 하매 때도 늦었고 배도 고푸고 갈 데도 없고 어째겠어요? 어델 가야 돼요? 그래 주인을 찾는 거예요. 찾으니까 그 처자가 나왔는 거예요. [잡담으로 잠시 구연이 중단됨] 그래, ‘들오세요’ 그러지. 안 그러겠어요? 손님 왔는데. 드가니까 [청취 불능] 밥 채리 조서 먹었어요. 그래 인자 한방엘 자게 되었어요. 방이 단칸 뿐이니, 한바아 자. 그래 미칠 밤 잤어요, 잤는데. 그래 암매, 남자는 좀 비겁하다고 봐야죠. 사뭇 건넜겠죠, 말을. 그런께 인자 운자를 내나요. ‘그걸 대(對)해야 나하고 부부할 자격이 있다’ 이기래요. 그래 인자 글을 맞찼는 거예요. 대짜-對字.- 를 했어요. 그래 인자 둘이서 길혼하게 됐어요. 지금 겉으마 예식장아 하지만 그것도 없고 이전에는 물 떠놓고 북향 뭐, 재배 뭐, 서동부상 이래 핸 기예요. 그래 했는데 그래 인자 살기 안됐겠어요? 이래 살지요. 사는데 그래 및 달 안 됐지요. 열 아홉 살 먹었으이, ‘나 죽을 날이 미칠 안 남았은게.’ 그런데 한 날 저녁엔 날이 참 좋찮아여. 자내고 구름도 왔다 갔다 하고 좀 비도 올 듯하고 이런 날이예요. 이런 날인데 저문 날인데 밥을, 저녁을 먹고 한참 있었는데 하는 말이, “여보.” 이캐요. “왜?” 이칸게, “올 지역-(저녁)- 에 나 볼일이 갑자기 생겼소.” 이래요. 그래 인제 하는 말이, “무슨 일이?” 칸께, “꼭 볼일이예요.” 이캐요. “그래 볼일 없는 사람이 어데 있어? 그래 무슨 볼일이냐?” 칸께, “그건 알 끼 없소.” 이기야. “알 끼 없다니, 부부간에 알 끼 어데 있어, 없어?”-‘없어’라고 해야 할 것을 잘못 말했다가 곧 고쳐 말했다.- “그기 아니고 갔다 와서 얘기하겠어요.” 이래. “그건 안 되지. 그랜 할 수 없어. 부부간에는 못 할 얘기 없는 거야. 해야지. 그러니까 알고-알리고, 말하고.- 가라.” 이기래요. “갈 일이만 가고 못 갈 일이만 못 간다.” 이기래요. 안 그렇겠어요? 부부간인까. 거북하지. 안 그렇겠어요? [조사자에게 그 입장이 되면 어떡하겠느냐고 묻는다.] 그래 이얘길 하는 거예요. 하는 말이, “온 지녁에 나 원수 갚으로 간다.” 원수를 갚으로 간다 이기예요. “그래? 원수를 갚으로 어데로 가느냐?” “아무 데 간다.” 이기여. “음 그래? 그래, 누 집에 가느냐?” “아무 것이 집에 갑니다.” “거어 왜 가느냐?” 그 하는 말이, “그기 아니고 하아, 우리 모자가-‘모녀가’로 해야 옳다.- 여어 왔읍니다. 여 와, 십 삼 년을 살았다.” 이기요. “십 삼 년을 살았는데, 십 삼 년을 여 와 공부를 했다. 여어서 했는데 우리 아버지가 비슬을 했다.” 이기지요. “했는데 모 아무개가 울아부지가 직있다. 직있는데 내가 남자가 됐더라면 유손이 있는데 절손이다.” 이기야. “아부지 직손이 끊힜읍니다. 그런께 그 사람도 아들 하나 뿐이야.” 이기야. “지금 삼대 독자 하나 뿐이요. 그러니께 그 아, 그 사람을 직이만 아버지 원수를 갚십니다.” 이긴 기라. 어떤 사람이겠어요,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이겠어요? 맨, 이 사람 그, 본인이지. 본인이야. “그래 잘 됐다.” 이기지. “갈 거 없다. 본인이다.” 다 깼어요. “잘 됐다. 멀리 갈 것도 없고 잘 됐다.” 그래 칼을 빼는 기야, 쥑일라고. 안 그렇겠어요? 아부지 원수를 갚을라고. 십 삼 년을 거어 와서 공부를 한 사람이 두말할 여지가 없지요. 담박 쥑이고 남지. 잡아 먹어도 시원치 않지. 그래 칼을 빼는 거야. 그래 캤어요. “칼 좀 치우라.” 이래 됐어요. 치우는 기라. 그래 인자 급한 거예요. 더 급한 거, 어데 있어요? 그래 인자 개나리보딸을 끌렀어요. 끌러가이 아까 이야기한 그 조우뭉티기 겉은 거, 창호지 뭉티긴지 그거 내놨어요. 끌런께, 칼로 탁 짤르마 쉬운데 이 창호지를, 얇은 종우를 이만침 한겹으로 한테-(같이)- 묶었으마 얼매나 시간이 걸리겠읍니까? 무지하이 걸리죠, 하나썩 빗기마 그거. 풀로 딱 붙이났으이 하나하나 붙이났으이 얼매나…. 그래 인자 하나 하나 끌렀어요. 다 끌르고 난께 구실겉은 기 요만한 기 [손가락을 둥글게 해 보이며] 하나 나와요오. 나오는데 이거 가짢아여. ‘여어 뭐어가 해답이 나와야 되는데 내가 사는데’ 구실 하나간 안 되죠. 죽고 사는 기 판걸이 안 나죠. 이 사람이 고오서 생각을 해 봤어요. ‘싯, 걸정은 요오서 난다. 내가 죽고 사는 거는. 나는데, 이상하다. 구실 조고-(저것)- 하나빽이는 없으니 되겠나, 안 되겠다.’ 깨버맀어요. 딱 깨고 나니까 인제 이래 비비가주고, 잘 모릴 끼구마, 젊은 양반들은 [청취 불능] 카는 기 있어요. 창호지, 끼이가 불써는 기 있어요. 그거 인자 심지가 하나 나와요. 딱 피었어요. 거어 뭐라고 써있나 하이, ‘여필종부(女必從夫)’라고 딱 나왔어요. 잘 알 게구만, 여필종부. 그래 고만 보디마는 통곡을 해요. 통곡을, 여자가. 그래 삼종지법 아입니까? 여필종부. 도리가 없지요. 시집가기 전에는 아부지를 쫓고, 시집가만 남편을 쫒고, 또 남편이 인제 죽으만 이제 아들을 쫒거등요. 그런 삼종지법이 있는데 이건 부동설이래요. 안 돼요. 그래 인제 자기가 통곡을 하고 우는 기라. ‘남편 쫒아라. 인제 아부지는 헛일이다.’ 안 그래요? 그래 통곡을 하고 우는 거예요, 여자가. 울디마는 하는 말이, “내가 십 삼 년 공부할 때는 원수를 갚을라고 했는데 인제는 다 수포로 돌아갔다. 요샛말로, 갔으니, 그래도 그대로는 못 있다.” 이기래요. “내가 분풀일 해야 된다. 그런께 당신이 속적삼을 벗어 노라. 땅에다가.” 그래 벗어 놨어. 벗어 노이, “나가라.” 캐여, 문밖에. 나가니까 뭘 및 마디 지끼디만 온 방에 칼이더래여. 칼이 디이 돌아댕기미, 한참 그라디만 베락치는 소리가 나는데 본께 자개 속적삼을 복판을 딱 갈라 놨어요. 한데 방에 피가 그득해여. 그래 인제 자개 부인이 그걸 치우고 닦고는 딜오라 카더래요. 디가니, “인제는 다 끝났소. 끝났으니 당신 부모가 당신 얼매나 바래겠소.” 같이 그래 자기 집에 가, 잘 살더랍니다.한국구비문학대계 7-8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