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정승 딸에게 장가간 숯쟁이 총각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정상박, 최미호, 박상복, 유순지, 박수열
조사장소
경상남도 밀양군 무안면
조사일시
1981.01.22
제보자
김태영
조사지역
경상남도

음성자료


구연상황

좌중에서 이야기와 노래로 압도적인 인기를 얻은 제보자가, 김도연씨가 [설화 35] 를 구술하는 동안 쉬었다가, 다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런 류의 설화가 할머니들에 흥미가 있었다. 이 설화 뒤에 민요 한 편을 듣고 녹음을 마치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남도/밀양군/무안면
    분류코드: [무안면 설화 36] 
    테이프번호: T. 무안 4 뒤
    조사장소: 무안리 무안
    조사일: 1981.1.22.
    조사자: 정상박, 최미호, 박상복, 유순지, 박수열
    제보자: 김태영(여, 68세)
    정승 딸에게 장가간 숯쟁이 총각
    * 좌중에서 이야기와 노래로 압도적인 인기를 얻은 제보자가, 김도연씨가 [설화 35] 를 구술하는 동안 쉬었다가, 다시 이야기를 시작했다. 이런 류의 설화가 할머니들에 흥미가 있었다. 이 설화 뒤에 민요 한 편을 듣고 녹음을 마치었다. *

이전에 한 사람이 아무 것도 없어서러, 모자(母子)가 사는데, 영감도 까묵우 뿌고(1)-남편이 죽었다는 말을 익살스럽게 표현한 것이다.- 모자아 떡 사는데, 아무 직장도 없고 할 짓이 없어서러 산중에 가 숯을 꿉기 됐는 기라.
저 산골에 들가가 굴로 파고 을 비다가(나무를 베어다가), 만날(매일) 숯을 굽어 가지고 마을에 가여(가서) 팔아 가지고 칼치도 사고 쌀도 팔고 올라 가여 밥을 해 묵고 참 모자간에 안락하게 잘 사는데, 한 날은 아들이 떡 아침에 솔로 비로(베러) 가더마는 토끼를 한 마리 잡아 가 왔거든. 토끼로 한 마리 잡아다가 방에 척 들라 놓고, 
“엄마요, 물 낋이소. 토끼로 한 마리 잡아 왔는데, 그 볶아 묵구로 물낋이소.”
이러 카거든. 그래 아들은 인자 칼로 갈고, 어마시가 가만히 생각하이, 
“야야, 그 짐승을 못 잡겠다. 솥에 물로 부 놓고 불로 때다가, 이 산골에 산중에서 그 짐승은 우리 믿고 살고 우리는 짐승을 믿고 사는데, 내가 잡았다 캐서 볶아 묵을라 카이 내가 불로 때이 못 때겠다. 그 짐승 잡지말고 토끼로 내보내라.”
방문을 여니께네 초롭딩이(草笠童)가 앉았어. 토끼는 없어지고.
“모친, 방에 들어오이소.”
카미(하면서) 절로 너부시하고, 
“형님, 방 들어오소.”
카미 절로 너부시 하거든. [입맛을 다시며] 그래 참 이상한 일이다 싶어여, 그 토끼가 초롭딩이가 돼 가 앉아서러 저거 생이로 (제 형을) 불러 가 돈을 열 닷 냥을 주면서러, 
“이 돈을 형님이 다 씌고 와야 된다.”
카이(하니), 그 돈 열 닷 냥을 가지가여 점두룩(종일) 사 무야(먹어야), 고구매를 사 무 봐야 점두룩 30전 어치로 사 묵고 나이 돈 열 닷 냥이 삼분의 일도 못 씌고 돌아왔거든.
“아이고 형님, 이래 가 안 되느매(됩니다). 돈 열 닷 냥을 남자가 돼 가아 못 씌고 들어왔으니 무슨 일로 하겠소?”
[말소리를 크게] 돈을 인자 삼천 냥을 줐는 기라. 삼천 냥을 주면서러, 
“이 돈은 절대로 한 푼도 없이 씌고 와야 형님 희망을 여인께네 한푼도 없이 씨고 오라.”
캤는 기라. 그 때 숯쟁이가 가만 생각을 하이, 돈 삼천 냥 이거로 다 써고 가모 내 희망을 찾는다 카이, 이 돈 삼천 냥 씰 곳이 없으니께네 마 청로(靑樓)로 마 제집질하러 갈 밖에는 없다고 옛날 청로로 찾아갔는 기라. 청로 가 놓이 [말소리를 크게 하여] 삼천 냥도 부족이라. 마 다 써 뿠다.
다 써 뿌고 마 아적에(아침에) 올라갔다. 그래, 
“동상(동생), 돈을 삼천 냥을 다 썼다.”
“인자 형님 됐구매.”
카미 물팍(무릎)을 탁 치거든. 치디이마는, 막 아주 막 [주먹을 지어 보이며] 배로 이런 거로 참 좋은 배로 두딩이로 주는 기라.
“나로서는 이거 배 두딩이서러 형님 은혜는 끝이 났다. 내가 인자, 내가 살았으이, 끝이 났으이 나는 이 질로 가인께네 요 배로 가지고 자기 수단대로 살아라.”
이래 됐는 기라. 그래 인자 턱 한 군데(곳) 배로 두딩이로 [구술에 빠뜨린 부분을 보충하여] 요 배로 가지고 뭐로 하는고 하몬 정승의 집에 장개를 가야, 네는 당신이 성공길로 연다 캤는 기라.
그래 턱 배 두딩이로 짊어지고 한 군데 떡 가인께네, 나많은 할매가 한체(혼자) [옆 할머니를 가키리면서] 이런 할매가 한체 있는 기라. 영감도 다까 무뿌고 [웃음] 할매가 한체 떡 있는데, 그 날 저녁 마춤(마침) 가이 제사가 들었어. 제사가 떡 드는데, 그 집 딸이 어데 가 있노 카모 정승의 집 몸종으로 있는 기라. 정승의 딸한테 몸종으로 있는 기라. 몸종으로 떡 있는데, 이기 지사를 지내러 떡 오인께네 웬 총각이 하나 앉았거든. 그래 안들어올라고 내우(內外) 한다고 밲에 떡 서 가 있이인께네, 
“야야(이 아이야), 내가 팔자가 기박해서러 옛날에 영감을 하나 했디이마는, 영감을 하나 하고 아들을 하나 낳아가 내비리고 왔디이마는, 너거아부지를 얻어 가 왔디이마는 그 아들이 오늘 배로 찾아왔단다. 너거 오랩인데, 상봉해라.”
그 때는 인자 반갑아서 안 들어올 수가 없는 기라. 그래 총각도 제사로 지내고, 잘 지내고, 
“그래 동상, 내가 딴 부탁은 없다. [해설조로] 배로 이만한 거로 한 딩이로, 두 딩이로 가지고 한 딩이로 주민서러, 한 딩이는 여기 두고 한 딩이로 주민 서러, [다시 본 이야기로 돌아가] 이거로 가지고 정승의 딸방에다 구불치 뿌라(굴려 버려라). [말에 힘을 주어] 뉘도 몰래, 정승도 몰래 딸 방에만 니가 구불치 뿌라.”
그래 인자 가인께네, 제사를 지내고 새벽에 가인께네 그 정승의 딸이 잠이 푹 들어가거든. 막 배가 마, [주먹을 쥐어 보이며] 이런 배로 방에다 누가 준동(주었는지) 모르고로 구불려 뿠는 기라. 구불쳐 놓고, 이래 마 떡 이 총각은 앉아 [느린 말로] 나날이 신문 오는 것만…. 모친이 되고, 의로 맺아 모친이 되고(2)-그 할머니를 수양어머니로 삼았다는 말이다.- 신문만 받고 떡 이래 있는데.
그거 마 딸이 마 정승의 딸이 떡 일나보니 막 배가 그렇게 좋은 기 있으이 배로 좀 비 뭈는 기라(베어 먹었는 거라.) 배로 마 무우이, 어데서 나노카마[두 손을 들어 머리를 가리키면서] 여서 뿔이 올라오는 기라. 양쪽에 여서 뿔이 [웃으면서] 쭐쭐 나는데, 배 다 묵고 나이 뿔이 막 [두손을 들고] 이거 만한, 양쪽에 뿔이 이리 나 갖고 땅에 붙어가 있는 기라, 베개로 베만 뿔이 [방바닥을 가리키면서] 여어(여기) 널쪄(늘어져) 가 있는 기라. 그거 기
가 찰 일이지. 기가 안 찰 일이 아이거든. 그래 인자 신문이 자꾸 나는 기라. 또 쪼매이 뿔이 났다가 또 질었다 카고, 뭣이 우떻다고 이래 쌓거든.
“이 우리 딸 이거로 우앴거나(어찌하거나) 이 뿔 이거로 낫아 주마(낫게 해주면), 이 뿔 낫아 주는 사람을 갖다가 정승하는 것도 주 뿌고 내 사우로 삼겠다.”
이래 신문이 또 나는 기라. [목에 힘을 주어] 그래 오만 의사 다 대고 오만 백동 다 지길 동안에는 이 사람이 안 내띠섰는 기라(나서지 아니했는 거라). 안 내띠 서고 있다가, 그래 인자 난제(나중에) 이 사람이 그 집을 찾아갔는 기라. 찾아가서러 배는 딱 숨카 가지고, 딱 숨카(숨겨) 가지고, 
“석 달로 그 정승, 임금 딸캉 지캉(정승의 딸과 자기와) 한 방에서 자고 치료를 해야 낫는다.”
캤는 기라. 치료를 해야 낫는다 카인께네, 석 달 아이 의라 열 달이라도, 인자 낫울(낫게 할) 욕심에 인자 거 정승 방에 들라야 되는 기라. 딸로 떡 인자, 그원(醫員)을 들랐는 기라. 요놈의 배로 숨카 놓고 [손톱 끝을 보이면서] 요거맨썩(이것만큼씩), [앞말을 풀이하여] 석 달로 맥일라 카모 요거맨썩, 암만 커도 요거맨썩 띠 주야 되는 기라. [말의 속도를 늦추어서] 요그맨썩 띠서러 주이 막 씨가리만썩(이의 알 만큼씩) 이놈의 뿔이 드가는 기라. 살살 드가는 기라.
이거 저 아부지하고 저거 엄매하고 보이께네 쪼맨씩 드갔거든. 뿔이 쪼맨썩 드가이 막 재미가 나는 기라. 이거 막 소괴기 육장에다가 막 해믹이기도 잘 해 믹이는 기라. 딸이야 우째됐기야 간에. 잘 해 믹이 가 마이래 떡 놔 놓으이, 석 달만에 또 인자 뿔이 드가자 얼라(어린애) 뱄는 기라. 임금 딸이 얼라로 배뿠는 기라. 뿔 다 드가 뿌고 얼라 배뿠제. 인자 우얄(어찌할) 도리가 없다 아이요? 이래 떡 배 놔 놓으이 빼도 박도 못할 지경이라.(3)-이렇게도 저렇게도 못할 어려운 지경이라. 여기서는 정승의 딸이 숯쟁이 총각과 혼인을 하지 아니할 수 없는 처지라 되었다는 말이다.- 정승 아들 가만 생각하니 ‘저런 걸로 우얘(어찌) 사우로 할라 카는고?’ 싶어, 저거 아부지한테, 
“아부지 아부지요, 아무도 몰래 마 저거 쥑이 가지고 마 못에 집어 던져 뿝시더.”
이러카인께네, 
“야야, 안 그렇다.”
[던졌을 경우를 설명하여] 참 던졌으몬 저거 몰신한다(자기네들 몰살한다). 다 죽는다.
“야야, 안 그렇다. 이거로 갖다가 참 너거 동생한테다가, 쥑이도 의논을 해가 쥑이야 되지, 의논도 없이는 그래 못 쥑인다. 의논을 해 가 쥑이자.”
그래 캤는 기라. 그래 그거로 참 의논을 이래 떡 하이께네, 저거 아부지가 못 쥑이기로 하는 기라. 절대로 못 쥑이라 하는 기라. 못 쥑이거로 하고, 그래 가지고 그거로 인자 지가 딸한테 떡 이얘기를 하인께네, 딸이, 
“아부지, 절대로 안 됩니더. 나를 갖다가 낫안(낫게 한) 사람을 갖다가 줙인다 캐가 말이 되는 소립니꺼? 그거는 절대로 안 됩니다.”
안된 다 카이, 그래 떡 안 쥑이고 떡 있다. 있으이 마 열 달 채운께나 마 아들로 낳았는 기라.
아들로 낳아도 이놈의 임금도 주지도 안 하고, (4)-임금이 아니라, 약속한 대로 정승 자리를 물려 주지 아니한다는 말이다.- 결혼도 시켜 주지도 안하고, 그 떡 얻어 묵고 있는 기라. 떡 있는데, 그래 하루는 인자 얼라는 떡 낳아 놘 거로 있는데, 아무 것도 안 시기고 이래 있으이, [큰 목소리로] 막 마 마 뭣이 와르르 컸디이마는 무쉰(무슨) 벼락 뚜드리는 소리 겉은 막 소리가 하디이마는, 뭣이 하나 오더이마는 사우하고 얼라하고 서이를 다 횡그리미(휑하니) 날라가, 업어 가 날라가 뿌거든. 날라 갔다가 갖다 놓거든.
“아이구. 인자는 우리 식구 다 죽는다. 이렇게 재주로 부리는 놈을 집에 놔 두었으이…. 우리하는 정승도 조뿌리고(주어 버리고), 저거야 결혼을 시기가 살든가 말든가 우리는 보따리 싸가지고 나가자.”
카미 다 나가 뿌는 기라. 다 달나 빼 뿌고(달아나 버리고), 그 정승하던 것하고 살림 다 차지하고 그 사람이 그래 끝이 잘 되가 잘 사더란다. [청중: 호박이 구불았다.] 

한국구비문학대계 8-7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