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현명한 신부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류종목, 성재옥
조사장소
경상남도 거제군 동부면
조사일시
1979.08.05
제보자
윤복애기
조사지역
경상남도

음성자료


구연상황

김주악 할머니 댁에서 이야기했다. 조사자 일행이 김주악 할머니 댁에서 조사를 하고 있던 중에 집 앞을 지나치던 제보자가 들어와서 두서너 편을 이야기하게 되었는데 그 중의 하나다. 마침 김주악, 진순이 두 분이 워낙 연속적으로 이야기하여 피곤해서 쉬던 차에 제보자를 만났던 것인데, 처음에는 이야기를 안 하겠다고 몇 번을 사양하다가, 청중들과 조사자의 권유에 못 이겨 시작했다. 청중들은 이 이야기를 처음 듣는 듯, ‘세 보따리나 받았어?’ 하며 중간중간에 참견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남도/거제군/동부면
    분류코드: [동부면 설화 11] 
    테이프번호: 동부 5 뒤
    조사장소: 학동리 학동
    조사일: 1979.8.5.
    조사자: 류종목, 성재옥
    제보자: 윤복애기(여, 71세)
    현명한 신부
    * 김주악 할머니 댁에서 이야기했다. 조사자 일행이 김주악 할머니 댁에서 조사를 하고 있던 중에 집 앞을 지나치던 제보자가 들어와서 두서너 편을 이야기하게 되었는데 그 중의 하나다. 마침 김주악, 진순이 두 분이 워낙 연속적으로 이야기하여 피곤해서 쉬던 차에 제보자를 만났던 것인데, 처음에는 이야기를 안 하겠다고 몇 번을 사양하다가, 청중들과 조사자의 권유에 못 이겨 시작했다. 청중들은 이 이야기를 처음 듣는 듯, ‘세 보따리나 받았어?’ 하며 중간중간에 참견했다. *

옛날에 인자 저, 저, 할멈이 죽고, 딸로(딸을) 하나 낳아 놓고 할멈이 죽었는데, 외딸하고 둘이 사는데, 둘이 사는데 인자, 나이, 처이(처녀)가 스무남 살 묵도록(먹도록) 또독 또독(조금씩 조금씩) 커 가인께네 중신애비가 왔어.
그런데, 아바이(아버지)가 언청(워낙) 술이 세 가이고 중신애비가 오몬, 예물(禮物)을 가(가져) 오모, [조사자를 향해] 전에 예물을 지고 안 다닜소? [조사자: 예.] 예물을 가 오모, 한 보따리 받아서 저 실겅(선반)에 얹고 놓고 술 실컷 묵고(먹고), 
“하꺼마(할게).”
쿠고(하고), 또 한 보따리 받아 가이고 또 저 선반에 얹어 놓고 또 실컷묵고, 
“하꺼마.”
쿠고. 우짜든가 마든가(1)-어찌하든지 말든지.- 세 보따리를 받았어다(받았어요). 받았어. [청중: 웃음] 예물로 세 보따리를 받았어. [청중: 그래 예물로 세 보따리를 받았네?] 야, 세 보따리를 받았어. 술 묵는 사람이 되나 놓으이.(2)-술을 잘 먹는 이라서.- [조사자: 술묵을라꼬?] 야, 술 얻어 묵을라꼬.
세 보따릴 받아 놓고, 인자(인제) 마, 세 군데서 날로 받아 놨단 말이다. 날로 발은께 날이 그득하이(비슷하게) 한 날 다 나던 기라(것이라). 그래서 인자 날이 또독 또독 앞에 닿았다. 이런께 저거 아배(아버지)가 밥을 안 묵어. [청중: 걱정이 돼서?] 야. 인자 걱정이 돼서 밥을 안 묵은께(먹으니까), 
“아부지, 왜 밥을 안 자십니꺼(잡수십니까)?”
쿤께네(하니까), 
“야야, 나가(내가) 죄를 지서(지어서) 그란다.” 그래.
“아부지, 무슨 죄를 짓읍니꺼?” 쿤께, 
“나가 술 한 잔에 폴리서(팔려서) 닐로(너를) 세 군데다가 예물 짐을 저리 받아 놓고, 앞에 날이 닿아 놓은께 나가 입에 밥맛이 없어 몬 살겠다. 나 절량(絶糧)을 해서 죽을란다.”
문을 잠가 놓고 안 께라(끌러) 주그덩.
“아부지도 참 걱정도 없다. 그기(그것이) 무슨 걱정이요? 그거는 나 할처린데, (3)-그것은 내가 처리할 일인데.- 아부지는 뱁(밥)이나 자시고 일이나 하소.”
“그건 처리는 나가 하끄마꼬.”
“니(너)가 야야 어찌 처리를 할 것고(것이냐)?”
“마, 우째 하던가 마던가 나 하는 대로 놔 두라” 캤어(했어).
그런께 인자, 그런께 참 맴(마음)이 안 좋나? 술은 지(자기)가 실컷 묵고, 처리는 인자 딸이 할라 쿠고(하고). 그래서 인자 좋아서르. 인자, 얼싸(어이쿠), 내일겉이 날이 질끔 닿았다. 닿았고, 오늘은 인자 지가(4)-딸이.- 댕김시로(다니면서) 사촌 오래비(오빠)들한테 댕김시로, 
“오빠들이 내일 나 결혼할 날이 다가 오는데, 신랭(신랑)이 서이(셋)올 낀데(것인데), 서이 올 낀데 저저저, 그 처리는 나가 할 낀께(것이니까), 신랑 서이 오는데, 오빠들이 와서로 먼저 오는 신랑은 앞에 시우고(세우고), 뒤에 아니 가운데 오는 사람은 가운데 시우고, 막죽판(맨 끝)에 온 사람은 맨 뒤에 시우고, 그리만(그렇게만) 해 도라(달라).”
쿠더란다. 그래서 인자 그리(그렇게)했다. 그마 안날(다음날) 된께나(되니까) 참 제는(5)-딸은.- 참 곱구로(곱게) 끼미(꾸며) 가이고 소복 단장을 해가 입고, 옳다, 아무 것도 안 하고 보따리 세 개는 손도 안 대고 그대로 놔 두고, 그래 놓은께네, 나, 신랭이 서이 둘이닿아. 들이닿은께네, 말로 타고, 옛날에는 말로 타고 서이 들이닿은끼나, 딱 처이 시킨 대로 그리 서이로 세와 놓고, 그래 놓고 처이가 한단 말이, 이 한지둥(큰기둥)을 보듬고(안고) 서서 뭐라 쿠는(하는) 기(것이) 아이라(아니라), 
“오늘 이 마당에 온 신랑들은, 총각들은, 저, 저, 너 발 노래를 불러야 내 신랑이지, 너 발 노래 몬 부르는 사람은 지 아무리 춘풍호걸겉이 생기도 내 신랑이 아이라.”
고 이랬어. 그 처이가. [청중: 너 발 노래가 어이 있노?] 그래, 너 발 노래고 우찌 알 끼요? 이넘우(이놈의) 참, 앞에 온 신랑 저거는 좋아(훌륭해). 너 발 노래로 부를 수가 되나(있나)? 알아야 부르제. 그런께나(그러니까) 맨 뒤에 온 쪼깨난(조그만) 콩만한 기(것이), 
“예예! 제가 한 번 해 보겠읍니다.”
이라더란다. 그래 인자 막 하라꼬 박수를 쳤는가베, 그런께 너 발 노래 뭐라고 쿠는고(하는가) 하모(하면), 
“쟁인(장인)은, 쟁인은 한 발, 쟁인은 한 발, 장모는 두 발, 처남은 서 발, 처남각시 너 발.”
너 발로 불러 놓은께나 마, 박수를 치고 마, 인자(인제) 제 각시가 됐단 말이다. 너 발 노래로. 그 그런께나 저, 저, 하나씩, 앞에 온 신랑은 보따리 하나썩 징가서(지워서) 오던 질(길)로 채로치고(채찍질하고) 가라 쿤께, 신랑 둘은 그래 가이고 보따리 하나썩 맡아 가이고 해내키(휑하니) 가고, 몬 된 그거는 그마(그만) 둘이 내우간(내외간)이 되어 잘 살더랍니더.

한국구비문학대계 8-2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