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5대손의 생명을 구한 소강절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류종목, 성재옥
조사장소
경상남도 울주군 두동면
조사일시
1984.08.23
제보자
박만석
조사지역
경상남도

음성자료


구연상황

앞의 이야기에 이어 자청하여 구술했다. 옆에서 듣던 안판주씨도 이야기 내용에 깊이 빠져 들어가서 가끔씩 참견하며 들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남도/울주군/두동면
    분류코드: [두동면 설화 35] 
    테이프번호: 두동 4 뒤~5앞
    조사장소: 하월평리 먹정
    조사일: 1984.8.23.
    조사자: 류종목, 성재옥
    제보자: 박만석(남, 67세)
    5대손의 생명을 구한 소강절
    *앞의 이야기에 이어 자청하여 구술했다. 옆에서 듣던 안판주씨도 이야기 내용에 깊이 빠져 들어가서 가끔씩 참견하며 들었다.*
아는 거는 소강절이라고 소강절이 이야기 한 자리 하지요. 소강절이라 쿠는 사람이 굉장히 참 많이 알거등요. [청중: 점쟁이 아이가?] 점쟁이지. [청중: 점 선생 아이가?] 이거 저 단수 육효(六爻) 치는 거, 이거 인자 전문인데, 참 많이 알아. 어는 거는 아는 데는 마 소강절이라고, 소강절 선생이 참 많이 아는데, [청중에게] 안주사사(安主事야) 뭐 우리 안 그래도 잘 아시지마는도.
소강절 선생이 하루는 저 산을 이래 등산을 했데요. 등산을 떡 하이까네, 가다가 하이까네 솔뽀디기가(1)-어린 소나무가.- [손가락 하나를 들어 보이며] 요거 만하기 하나, 한 나무 있는데, 고오 탁 걸려가 구불아졌거등. 구불아지고 가마 생각하이 ‘이런 기 날로 구불차(넘어뜨려)?’ 이기 이상하다 말이다. 그 자리 앉아가지골랑 참 머시기 내가지골랑 딸랑딸랑 흔들어 육효라고 딱 놓고 보이까네, 아, 이거 커가지고 장차 궁실 대들보 될 나무라요. [일동: 웃음] 야, 그것 참 이상하다 싶어가지고 또 하문 살랑살랑 하문 더 빼 보이까네, 궁실 대들보가 되기는 되되 지 오대손(五代孫)에 가 뿌어질(분질러질) 나무라. 궁실 대들보가 뿌어진다. 지 오대손에 가가지고는 뿌어질 나무라. [조사자: 그 소강절 오대손 때?] 그렇지, 소강절이 오대손에 내려가가지골랑 그 뿌어질 나무라. 궁실 대들보가 대들보가 되기는 되되 소강절이 오대손에 내려가가 뿌어질 나무라. ‘아하, 이래 놓으이 날로 구불찼구나.’ 요놈을 딱 책에 적어 가지골랑 집에 갔다 말이요.
가가지골랑 딱 글씨로 딱 적어가지골랑, [조사자에게] 그 예정 합지(合紙) 아는교, 합지? [조사자: 녜.] 저, 벽지, 참 종오, 합지. 합지라 쿠는 거는 두 장 석 장 이래가 붙여가 [조사자: 그렇지요.] 맨드는 기 합지거등. 그기 좀 뚜겁어. 그 놈을 사다갈랑 피봉을 맨들고, 거게다가 글씨를 떡 써 가지골랑 피봉에 옇고 들기름을 짜라가지골랑(2)-먹여서.- 맏며느리한테 종부한테
전하는 기라.
“니가 이거로 니 오대손꺼정, 내 오대손꺼정 이거 전달로 해라.”
이래가지고 인자 맏며느리잩에 인자 맏종부한테 딱 줬다 이기라. 그 맏종부가 또 맏종부한테 내루고, 그 맏종부가 맏종부한테 딱 오대손을 내려왔는데, 오대손에 딱 내려가가지골랑 오대손이 외등인데 모함을 딱 덮어씨골랑 죽기가 됐다 이기라.
아, 마 여하튼 내일에는 신깃대에 목을 달아가지골랑 목친다. 죄인을 목을 쳐가지골랑 죽이는데, 가마이 맏며느리가 생각하이까네 하늘이 무너지는 겉고 참 정말 아득하거등요. 아뿔사, 뭐가 생각히거등. [청중: 그거 잘됐다. (웃음)] ‘아이구, 우리 오대손 할아버지가 이거 오대손꺼정 내루라 쿠는데.’ 이기 싹 생각힌다 말이다. 그래 날이 새이까네 이넘을 가지고 관가에 탁 드갔다. 말이다. [청중 : 급하면 관과에 전달하라 카는 그런 명령이 있었겠지.] 예, 그래 인자 유언을 하고 죽었는데, 이넘을 가지고 관가에 가가 탁 올렸다 이기라. [테이프 교환] 
그래가지고 인자 관가에 인자 탁 갖다 올렸는데. ‘이기 말이라 옛날 이거
소강절 선생님 글씬데, 소강절이라, 소강절 선생이라 쿠머 이미 다 인자 무시 몬 하는데, 아, 이거 이래가 안 되겠구나. 이거 참 임금인테 갖다갈랑 올려야 될다.’ 이기라. 그래 임금께 딱 갖다 올렸지요. 올리이까네, 임금이 떡 궁성 안에 떡 드가가 용상에 앉아가 받아 보이까네 옛날 참 소강절 선생 글씨거등. 피봉을 딱 띠가지골랑 떡 이래 보이까네 아무 것도 없거등. 없고, 그저 ‘마잣귀는(3)-마지막 글귀는.- 마당에 내려와가 봐라.’ 쿠는 거밖에 없어요. ‘그래, 이기 뭐 소강절 선생이 선생인데, 그렇굼 아는 데는 소강절이라. 소강절 선생이 그렇굼 알았는데 이기 무심챦다, 이거.’ 그 편지를 들고 마당에 탁 나오이까네 대들보가 착 내려앉아가지골랑 내려앉더란다.
그 내려앉았는데, 그거 인자 모함 썼는…. 그 인자 내일이 신깃대, 그날 참 신깃대에 매가(매어) 목 치는 날인데, 그래 인자 무죄 무죄로 석방되가 나와가이고 인자 죄로 면했다 이라거등요. [청중: 그렇지, 자기도 살았으이.] 예, 살았어. [청중: 그 자리 있었으먼] 그 인자 [청중: 죽었을 낀데] 자기가 거어 있었으먼은 [청중: 집이 내려앉아서.] 편지마 없으머 그거는 죽었다. [청중: 예.] 죽었으이까네 인자 무죄라. 무죄 방, 무죄로 인자 [청중: 석방시켰다.] 예, 석방시켰답니더.

한국구비문학대계 8-13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