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정보

제목
꾀쟁이 하인의 사기행각
자료분류
설화
조사자
김대숙, 고혜경
조사장소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조사일시
1983.07.20
제보자
심운택
조사지역
강원도

구연상황

염주호씨가 과거 보러 가는 이야기를 하고 나니, 심운택씨가 과거보러 가는 사람의 종인 예뜨기 이야기를 기억해 되살려서 연달아 들려 주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강원도/횡성군/청일면
    분류코드: [청일면 설화 14] 
    테이프번호: T. 청일 1 뒤
    조사장소: 춘당 일리
    조사일: 1983. 7. 20.
    조사자: 김대숙, 고혜경
    제보자: 심운택(남, 60세)
    꾀쟁이 하인의 사기행각
    *염주호씨가 과거 보러 가는 이야기를 하고 나니, 심운택씨가 과거보러 가는 사람의 종인 예뜨기 이야기를 기억해 되살려서 연달아 들려 주었다.*

옛날에 과거를 보러 갔는데, 그 옛날에 인제 당나굴 타고 과겔 보러 갔거든. 당나굴 타고 보러 갔는데. 거 말 정애꾼(1)-말채찍을 들고 말을 끌고 가는 하인-이 인제 종눔인데. 이름이 애뜨기란 말여. [염주호: 애뜨기.] 응. 이름이 애뜨긴데. 그 과게보러 가는 사람 딸이 아주 참 천하일색인데. 참 딸을 꼭 자기 마누라를 삼아야 꼭 되겠는데, [염주호: 응.] 아이그 종놈이라구 주나. 이거 어찌 맘을 먹어두 이게 안돼. 그런데 인제 과거를 보러 가는데, 거 애뜨기를 인제 말 정맬 들려가주구 간단 말이야. 그래 인제 가선 서울에 떡 와.
“야 이 서울이란 곳엔 코 읍스면, 참 눈 읍스면 코 베 먹는 세상이다. 똑똑이 댕기야 된다.”
그래군 떡 가선, 가 점심을 씨기오라 그래더래. 그 애뜨기 보구. 점심을 씨겨오라 그라는데 애뜨기 먹을 건 안 주구오구 자게 먹을 건말 가져오라 그라드래. ‘나를 굶게 죽일려는 기라’ 점심 그릇에 가주 오다가 손가락을 휘휘 젓거던. 거 이렇게 뻔히 보니까 손가락을 젓거던.
“야 애뜩아, 왜 젓가락을 젓니.”
“아 들구오다 코가 빠져서, [웃음] 그랬드니.”
“그 내뻐려라.”
“내뻐림 제나 먹지요.”
제가 먹었단 말이지. 아 점심 굶었지. 아 인젠 약이 바짝 올랐단 말여. 요눔새끼 때매 점심도 굶었지. 그래 또 저녁을 가 씨기라 그라드래. 저녁을 씨기는데. 또 한그릇만 씨기라 그라드래. 애뜨긴 굶길라구. 그랴서 밥 채리는데 들어 가가지군 그 주인 마누래 보군 그랬거든.
“우리 선상님은 숟갈을 달거놔야 됩니다.”
그래서 밥을 채리니까 이눔 숟갈을 화로에다 푹 파묻었다가 척 올려놨거든. 그래 애뜨기 갖다가 선생님 앞에다 놓테니깐. 숟갈을 들래. 뜨겁거덩.
“에이 뜨겨.”
그랬거덩.
“애뜨기면 지나 잡숫지, 지나 먹죠.”
애뜨기란 말여 그 종, 말 끌구 완 눔이. [일동: 웃음] 
“애뜨기란 제나 먹죠.”
먹었단 말이지. 하 이거 그래니 뭐야 점, 점심, 점심 굶었지 저녁 굶었지, 제 혼자 먹을래다 그만 다 뺏겼단 말이지.
“에이 인젠 내가 가 사 먹어야 되겠다. 이새끼야 말 부뜰구 가만 있으라.”
구. 저녁, 아침 사 먹으라 간새. 이 이게 부뜬, 그때 말을 팔아먹었단 말야. 말을 팔아 먹군. 신작로 바닥에 이라구 엎드맀지 [두손으로 말고삐를 쥐고 고개를 처박고 엎드린 시늉을 해 보인다.] 아치, 조반을 사 먹구 와 보니, 그눔의 새끼 신작로 바닥에 엎드리구, 말이 없거덩.
“얘 애뜩아 너 말 으쨌니?”
“말이 얼루 갔나? 서울이 뭐 눈 읍심 코 베먹는다 그래서 코 비키, 코베 먹을까봐 코 훔키지구 일 엎읍니다. 아 그동안 뭐 말을 훔쳐 가주 갔네요.”
아 이거 뭐 뭐, 과거두 못 보러가구 집에 갈 일이 난리거덩.
“이눔의 새끼 너 집이 내려가서, 그 말 딴 사람에 끌려 보내라.”
“그 뭐 가다 잊어부릴 테니깐. 제 등어리에다 좀 뭐라구 써 주세요.”
그 등어리 훌딱 벗겨 데니깐.
“그저 이눔의 새끼, 내러가거등 아주 당장 죽이라구. 죽여버리라구 말이지.”
“이렇기 등어리다 떡 써 부쳤단 말야.”
그래 인제 내려오지. 내려오다. 이 등어리다 뭐라구 써 부쳔지 알 수가 있어야지. [염주호: 으응, 어깨 넘어 넴기다 볼 수 없구.] 응, 그래 내려오다가 한눔의 집으서 방아 찧는 소리가 나드래. 들어가 보니깐 숭년이라 아니 학상들은 모를끼여 옛날엔 떡보리라 했어. 보리를 볶, 떨어가지고 볶아가지구 그걸 방아에다 찧는단 말야. 그 마르지 않, 여물지 않으니깐 솥에다 볶아가지구 찧는데, 그거 그냥두 먹어요 구수해서. [염주호: 응 떡보리 그럼.] 근데 애기를 업구 찧더라 부인네가.
“애기 줌 제가 좀 봐줄테니깐 좀 놔달라구.”
“아 그럼 좀 봐달라구.”
애길 내려 놓군. 아 이눔이 애길 끌 안구가서 방아질을 할라구 떡 그라네. 아 그럴 동안에 그만 이눔이 애기를 그 방아에다가 척 느은거야. 아 그르니 부인네가 야 방아를 놓으믄 애가 찍이겠구. [방바닥을 두들기며 찍이는 시늉을 한다.] 그랬으니, 애기를 척 놓군 아 이눔이 그만, 그눔을 아주 이렇게 한오큼, 하아름 움켜쥐군 내 뛰는거야. 그걸 이제 내려오믄 먹을랴구. 그래 가자 가서 한움 내려가서 이눔을 뚝뚝 먹데니깐 어떤 놈이 초롱을 하나 짊어지구 오거덩.
“당신 거 뭐요.”
“나 서울루 꿀 팔러가우.”
“그 꿀이 뭐유, 으떠우.”
“아 이 꿀이 참 이게 좋은거라구.”
“그거 어디 맛 좀 봅시다.”
그 자투이를 조금 찍히거든. 아 참 맛있거덩. 게 이눔이 그 떡보리를 거 주먹 주먹해 들군 있다가, 이눔이 꿀통에 다가 니이미 그거 집어 넣단 말이야. 집어너끄내 가지군 아 내려오다, 먹으맨 내려오다 보니깐, 아 잿말랑(2)-고개 마루-에서 앉아 먹데니깐 참 중이 바랑을 해 짊어지구 후이 후이 하구 올라오거덩.
“아 이거 참 시장끼가 나 죽겠다구 말이야.”
이랜 산골에 뭐 음식집두 읎고 배가 고파죽겠는데
“그 당신 먹는게 뭐요?”
“이게 꿀떡이요. 나 아무데루 서울갔다 온데 나 이렇게 꿀떡을 해가주댕규.”
“하 그 줌 으더 먹을 수 읍느냐.” 구.
“하 줄순 있지만 내 소망을 한가지 줌 풀어 주슈.” [염주호: 아.] 
“아 당신 소망이 뭐요.”
그래 훌딱 벗군, 
“이 등어리다 뭐라구 썼나 좀 봐 쥬슈.”
“내려 가거덩 당장 때려 죽이라구 썼수.”
“그래유.”
“감 이걸 말짱 뭉기구 내려가거덩 당장 사우를 삼아서 나 내려가기 전에 잔치를 지내라 하시요.”
[일동: 웃음] 아 이 중이 그 꿀떡 읃어 먹기 위해서 참, 등어리에다 내리가거든. ‘당장 그 딸하구 잔치를 해서 사우를 삼아라.’ [염주호: 내리오기 전에 잔치를 하라.] 그렇게 썻거덩 자기 내려오기 전에. 그래 이 집이 내려왔지. 내려와 떡 가니깐 그 뭐야 오라버이 자리가 있거덩. 색씨 오라비 자리.
“야, 너 이눔의 새끼 으짜구 우리 아버진 안 데리구 왔느냐.”구.
“아, 상가 과거 일자가 아즉 멀어서 안왔다구 [염주호: 그짓말….] 그 등어리를 줌 보라구. 아 그 뭐라구.”
“아 내려가거덩 당장 잔치를 해라구 했다구.”
“거 보라구. 내려가서 난 과거보구 내려올테니깐 그 동안에 잔칠하라구 그러더라구. 내 손으로 썼겠느냐 이르키 이 선상님이 이르키 써 줬는데 얼렁 잔칠 해라구.”
아 뭐 으트게, 잔칠했단 말이야. 잔치를 떡 했는데 이눔의 식구를 다 장모랑 뭐 처남의 댁이랑 다 죽여버려야 살겠거덩. [염주호: 으응.] 
“야, 오늘 아주 이 뭐야 강가루 해수욕을 가자구. 미역감으러 가자.”
구. 전부 이제 갔지. 가서, 
“여기에 용왕이 있는데, 내가 용왕을 가 댕기는 사람인데, 뭘 모두 씨구 들어가냐 하믄, 솥을 하나씩 가주 가자구. 이 솥을 이구 들어가자.”
구. 아 전부 그저 이눔의 솥을 디씨가지구 그 강물에다 들어가니, 전부 물에 다 가 다 빠져 죽었지. [염주호: 가라 앉아서, 솥이 무거우니까.] 그럼 아자게(3)-자기-마누라두 씨구 들어 가니깐, 
“다 뒈졌는데 넌 뭘하러 드르가. 용왕이 다 뭔 용왕이야 다 빠져 죽었. 어.”[청중: 웃음] 
마누라만 데리구 네기 재산 돈 있는거 후닥서 후비가지구 뭐 잘 있으라 내뺏지. 아 그담엔 뭐 과게 할라구 암만 말 끌구 올라 올때 바라 뭐이 끌구 올라와. 기어이 그냥 서울서 내려와 보니깐 빈집만 남아거덩, 식구들 다 없거덩. [일동: 웃음] 그냥 게 양심을 바루 씸 되는거여. 아 점심두 같이 씨겨서 그눔두 한 그릇 주구 저두 한 그릇 먹었음 안그럴긴데. 점심두 고 저 먹을 건만 씨기니 그눔이 뺏어 먹을라 그러지. 아 지냑두 그랬지. 그러니 옛날에 그 과게보러 갔다 옴 첫째루 마음을 바루 써야된단 말이지.

한국구비문학대계 2-6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