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자료
구연상황
민요 16에 이어서 다시 이야기를 했다. 조사자가 토째비(도깨비) 이야기를 해 달라고 하니까, “형보 놀부 이거 알아요?”하고 묻는 것이었다. 홍부 놀부 이야기라면 박 켜고 하는 거 아니냐고 하니, 그런 것은 아니라고 했다. 진짜로 옛날에 하던 형보 놀부 이야기가 있다고 하면서, 지금 텔레비젼 같은 데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르다고 했다.
채록내용
조사지역: 경상북도/월성군/현곡면 분류코드: [현곡면 설화 88] 테이프번호: T. 현곡 10 앞 조사장소: 가정 2리 갓질 조사일: 1979.2.25. 조사자: 조동일, 임재해 제보자: 이선재(여, 61세) 놀부 형보 이야기 * 민요 16에 이어서 다시 이야기를 했다. 조사자가 토째비(도깨비) 이야기를 해 달라고 하니까, “형보 놀부 이거 알아요?”하고 묻는 것이었다. 홍부 놀부 이야기라면 박 켜고 하는 거 아니냐고 하니, 그런 것은 아니라고 했다. 진짜로 옛날에 하던 형보 놀부 이야기가 있다고 하면서, 지금 텔레비젼 같은 데서 볼 수 있는 것과는 다르다고 했다. * 옛날에 형보캉 놀부캉 사는데, 어릴 때 부모를 다 조실부모를 했어. 형보 놀부가 어릴 때, 부모가 없다고. 다 죽어. 저거(자기네) 단 형제가 이래 사는데, 그 참 장(늘) 넘우(남의) 집에 밥을 얻어먹고 살었그던. 형보 놀부가 밥을 얻어먹고 살면서, 그래 이 한 십오 세 넘짓 돼가주고, 형부 놀부가 십오 세 십칠팔 세 이래 인자 돼가. 그래 하로는. [다음 대목으로 넘어 가려다가 중단하고] 형보가 동생이고, 놀보가 형이그던. 안 그렇습니까? [조사자: 그렇습니다.] 그런데 저 어든 한 곬에 가이께, 밥을 얻어먹고 이래 가만 양지 쪽에 앉어가 보이께, 산곬에 연기가 푹푹 하는거라. 그래 놀보가 하는 말이, 그 형이 동생터러. “야야.”고 동네 마을에는 오막살이 집에 연기가 약간 몰캉몰캉 나고, 저 곬에는 연기가 푹푹 많이 나는데. 거게 인자 늘보란 놈이 지 동상(동생)을 연기 약간 나는 동네, 그 마을 집에는 지 동생을 가라 캐, 연기 작게 나는 데, 멀 꺼(먹을 것) 없다고 가라 카고. 곬에 연기 많이 나는 데는 형이 지가 갔그던. 놀보가 갔그던. 가이께, 아이구 어드런 장사(葬事)하고 마 훌 땐다고 연기가 뭉컹 뭉컹 났으이. “아무 꺼도 먹을 꺼도 없다”근다. 형보란 놈은 그 연기 적게 나는 데 가이께네, 참 2 쪼깬한 삼간 자기 집에 잔채를 해요. 그 날, 잔채를 하는데, 아주 한 상 잘 주고, 아이 떡이야 머니 이래 싸주그던. 그래 턱 얻어먹고 왔다. 와가, 형은 인자 거 가 보이 아무 것도 멀 꺼 없고, 또 거 있는 장소 왔어. 그래, “아이 형으는 연기 많이 나는 데 머가 있든가?” 카이께, “헛 그놈, 어느 놈이 죽었든둥, 땅아(땅에) 끌어 묻니라고 마 멀 꺼도 없드라.” 이라그던. “니는?” 크이, “아이구 형님. 나는, 형님 나는 인제 거 가이께네, 그 단칸 집이 머 어줍잖은 집이 잔채를 하고, 어찌 암사받게(착실하게) 잘 주든지. 잘 먹고 편이야(떡이야) 머야 많이 싸왔다. 형 줄라꼬.” “야, 이 놈아. 그래야?” 그래 인자 또 어는, 온 델 댕기며 얻어먹다가, 떡 하니 어느 곳에 인제 떡 갔는 기라. 그렇지만, 인제 한 삼십이 그 참 야 돼 가며 인제 고생을 하는데. 이래 턱 가가 앉었다. 저녁에, 인자 비는 줄줄 오고 이란데. “야, 이 놈아.” 형 놀보란 놈이 형보떠러. “니 저 마을에 가서 밥가 얻어가 오너라.” 카그던. 그래 내려와가 인제 밥을 얻어다가 인제 형을 주고, 먹고. 그래 눕어 이래 가마 이래 응클시고 앉았으이, 이 놈 토째비(도깨비)란 놈이 오디마는, 날이 꾸지그리 하이 토째비란 놈이 오디마는, “하, 여기야 형보 늘보가 있다네. 형보 늘보가 있는데, 이놈 놀보란 놈이 심술이 궂고, 지 동생을 그렇기 저 괄세를 하고, 그래 몹시를 한다 카이께, 저 놈, 놀보란 놈, 저 놈을 마 우짜꼬(어쩔까?)” 그래 인자 참 토째비들캉 머 저 형보캉 씨름을 하는데. 그래 토째비, 토째비들이 방망이를 하나 주디, “뚜들박딱” 카이, 돈 나온다 카미 돈 나오고, “뚜들박딱 그 밥 나오라.” 그이 밥 나오고, “뚜들박딱 쌀 나온나” 그이 쌀 나오고 이라그던. 그 걸 이제 형보를 주는기라.” “이 이걸 가주고 먹고 살어라.” 그며, 그래 주그던. 그래 하 [갑자기 생각이 다르게 난다는 듯이. 도착된 순서를 바로 잡으면서] 그래가, 그캐샀다가, 아이 마 아 넘(놈) 저기 형, 저게 놀보란 놈이, 지 동상으로 솔 잎해기(솔 잎)를 가주고 눈을 마 콱콱 찔러가 마 눈을 마마 베레났어. 안질로 베리이, 베레 놓이, 그래 앉어가 가마 찌불시고 앉았으이께, 그래 그 토째비들이 와가, 그 갈채 주그던. “니가 이래 말고, 요 밑에 개골이 내려가면, 요래 더듬으만 물이 잘박 할끼께(할 것이니), 그 물을 자꾸 눈을 씻고, 그라먼 니가 눈이 낫고, 눈을 뜰꺼라. 그래라.” 카그던. 그래 살살 기 내려가이, 눈을 찔, 솔 잎해기에 찔레가, 형이 찔러 놓이께, 찔러 놓이, 눈이 마 오이(전부) 베러가 눈을 못 뜨고, 그 가만가만 내려가가 만치이께(만지니까), 무슨 박짹이(박아지쪽) 긑은 데 물이 있어. 그래 자꾸 눈을 씻고 그라이께 마 눈이 떨어지그던. 보이께, 두골 바가치에 옛날에 마 여여 신체가 마 어째가주고, 인제 두골 바가치에 물이 딱 당겠는 거를 그걸 가 씻그이께, 그게 참 약이라. 눈 떨어져가 그래 턱 와가 앉았으이. [토째비들이] “이 놈 형보가 참 불쌍타” 카매, “내 부자 방망이를 하나 주께” 카매, 그저“뚜들박딱” 카마, 하나는 하이“뚜들박딱” 하마(하면) 돈 나오라 카마 돈 나오고, 쌀 나오라 카마 쌀 나오고, 밥 나오라 카마 밥 나오고, 옷 나오라 카머 옷 나오고, 이렇다고. 그래서 마 부자가 됐어. 형보가 그래 마 고대광실 높은 집을 짓고 마 잘, 이래가 거룩하게 사는데. 이놈 놀보란 놈이 오디, “야, 이 놈아, 니가 밤 새두룩 도독질 해다 날라가 기집(계집과 사나이) 도둑질 해다 날라 가, 너가 부자질 하지?” 그머, “어째가 긋노?” “아이고, 형님요. 그게 아이고, 그래 애이라. 형님이 날 솔잎해기를 가주고, 몬 뜨고 내가 봉사가 돼가 있었잖나꼬. 그래 있으이께, 그 토째비들이 와서 그래 날로 그라이께네 참 그래 조가주고, 그래 내가 이래 부자가 됐임더.” 카그던. “예 이 놈, 그래야?” 그 동생 앉았던 자리에 가가, 지 손으로 지가 솔 잎으로 가 눈을 찔러가 앉었으께, 이 놈의 머머 그대로 쪼매(조금) 있으이께. 이 놈 토째비들을 한 그던까리(한 무리 가득) 오디. “하 이 놈 놀보란 놈이 여 와가 있어. 눈이 아프다 캐. 예 이 놈 자식 저거로 마 우리 오늘 마 망쳤뿌자.” 카매, 방마시로(방망이를) 하나 가 와가주고“뚜들박딱”카디, “뚜들박딱” 카디마는, 이 참[조사자를 지칭하며] 선생들한테 이런 이얘기할나 카이 좀 안 됐지만, 옛날 전설에 나오는대로 해야 되겠다. [조사자: 예, 예.] “한 발 늘어지거라.” 크이, 한 발 늘어지고.(1)-놀부의 생식기가 그렇게 늘어졌다는 말이다.- “뚜들박딱” 그이, “한 발 늘어지거라” 그이, 또 한 발 늘어지고. 아 이 그거 마마, 낭심이(생식기가) 오찌 질어가 마, 저 대동강 물에다 다리를 쫙 나 놓이, 나 놓이께네, 노인들이 어데 질게(길에) 갔다 왔다 카며, 촌 대설대에다 담배를 여가 풋다가 냉기라고(나무라고) 땅땅 떠이께네, 이 놈이 뜨겁어가 꺼떡 들시이, 마커 빠져가 다 죽었뿌그던. [청중: 웃음] 그래가 이 놈 놀부란 놈이 마 그 참 실패를 보고, 이 놈 형 저 동상 집에 가가 자꾸 인제 살림을 받틈 내주이 또 떨어 묵고. 반튼 내주이 또 떨어 묵고, 반튼 내주이 또 떨어 묵고. 이 놈, 못살겠다. 애 이 놈 놀보로(놀보를) 어디로 갔다가여, 요새 숩게 말하마 쪼매이 사람 쯤 어에 쯤 뿓들어 나돌라 그게지. 그래 인제 머 여 머 저기 법관 긑은 데, 그른데 갖다놓이, 이 놈 자식이 동생이 형 죽인다꼬, 아주 난리를 뺐사 내났는 거라.(2)-아우를 괴롭히는 죄로 놀부를 잡아 가두니 워낙 야단을 하는 바람에 내놓게 되었다는 말이다.- 내놓이, 이놈 형으로 동상으로 또 와서 못살게, 못살게 그라는데. 요새 여기 이얘기 나오는 거는 전설에 이얘기 겉잖고, 옛날 이야기 긑잖고, 그 머머 박 타고 머 그라는데.(3)-지금 자기가 하는 이야기가 요지음의 홍보 놀부 이야기와는 다르다는 점을 몇 차례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박 타는 대목은 옛날에도 있었다고 하는 말이다.- 그러데, 그래 인자, 그 형보가. 박은 원래 있었어요. 형보는 그래서 인자, 참 그 이듬해 봄에 사이께, 놀보는 그래가 마 신세가 떡 고약게 돼가 있는데. 한 해 가마(가만히) 봄에 있으이께, 제비가 새끼를 쳤는데, 한 마리 딱 널찌디, 다리가 딱 요래 뿔어졌그던. 그걸 저기 저저 머식 버들 그거로, 껍대기를 벗겨가 탁 처매가 얹어 주이, 고게 살었어. 살어가주고, 저 강남. 그걸, 놀부, 저 형보 마누라가 가가주고 숨았는데, 박이 자꾸 자꾸 자라나가주고 얼매나 열었는지. “하이구, 여보 여보. 박이 저마이(저만큼) 많이 열었으이, 하마 샛이이까(익었으니까), 우리 한 번 타 봅시다.” 카머, 그거는 요새 인제 그 테레비에 나오는 대로 한가지라. 타이께, 한 박은 타이 공단 비단이 나오고, 한 박은 타이 밥이 나오고, 한 박은 타이 옷이 나오고, 머 유명한 기, 돈이 나오고, 이렇그던. 이 놈의 형보 아가 멫이고 카마, 열두 키라. 아들 딸이 십이 남매가 가마때기 속에 다 들어, 들어갔뿌렀어. 들어가서, 밥 짓고 이 넘의 아를 헤아리이, 아가 하나 없어. 아이 머“아링이”, “다링이”, “청삽살이”, “동삽살이”, “개”, 머“아링이”, “다링이”, 이름을 이래 졌어. 하도 애가 많애. 이 놈의 형부가 드가여 아를 이름을 불러 보이, 아가 하나 없어. 아이구 머“아링이”, “다링이”는 없다 카그던. 그이께, “아이구 니기미 떡을 할꺼, 오늘 밥 시컨 묵네”카머 나오드란다. 밥 속에서러야. 그래 먹고 나오고. 인제 마누래는 송화색(소나무 꽃 빛갈), 송화색 저게 공단 처매 저고리, 보선, 수건, 송화색 대설대 이래 물고, 송화색 가죽신에, 이래 가 인제 공단으로. 떡 해가 전부 나오고. 형부는 인자 인자 공단 인자, 멋이 깜은거 인자 고 깜은 공단, 헉공단(흑공단) 바지 저고리에, 헉공단 처매, 헉공단 갓 망건에, 헉공단 저 두루막에, 헉공단 저 대설대에, 헉공단 가죽신에, 턱 싣고 인자 내외간에 나오면서 조롱을 하그던. “햐, 저 거야 똑 꾀꼬리 새끼 긑대이(같구나).” 그그던. 할마이 보고. “하이고, 저 거는 보이께네, 저기 떠들오는 사람 보이, 똑 까마귀 새끼긑대이.” 카그던. 깜고, 노리다 말이야. 그래 인자 조롱을 하고, 그리 캐서 잘사드라 이런 말이 있어. 옛날에는 근데(그런데), 요새는 그기 아이래. 그렇기 안나오데.한국구비문학대계 7-1 본문 XML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