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자료
구연상황
이 자료는 2011년 4월 14일부터 같은 달 20일까지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모 굿당에서 벌어진 일본 대판 김씨 댁 큰굿의 둘째 날인 4월 15일에 구연한 것이다. 이 날에는 보세감상, 초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삼공본풀이 등의 제차가 진행되었다. 초공본풀이에 이어 세경본풀이도 이승순 심방이 장구를 받아 앉아 스스로 치면서 구연하였다. 신자리에 앉아 반주 없이 말미를 하고, 장구를 치면서 공선가선--날과국섬김--연유닦음--신메움--본풀이--비념을 하고 주잔넘김, 산받음, 제차끔으로 마무리하였다.
채록내용
[일련번호 및 파일명] 1-10_00_SRS_20110415_HNC_LSS_0002 [제목] 세경본풀이 [구연정보] 조사일시 : 2011.04.15(금) 조사장소 :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모 굿당 제보자 : 이승순 청중 : 10명 조사자 : 강정식, 강소전, 송정희 [구연상황] 이 자료는 2011년 4월 14일부터 같은 달 20일까지 제주시 애월읍 상가리 모 굿당에서 벌어진 일본 대판 김씨 댁 큰굿의 둘째 날인 4월 15일에 구연한 것이다. 이 날에는 보세감상, 초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삼공본풀이 등의 제차가 진행되었다. 초공본풀이에 이어 세경본풀이도 이승순 심방이 장구를 받아 앉아 스스로 치면서 구연하였다. 신자리에 앉아 반주 없이 말미를 하고, 장구를 치면서 공선가선--날과국섬김--연유닦음--신메움--본풀이--비념을 하고 주잔넘김, 산받음, 제차끔으로 마무리하였다. 세경본풀이]말미 [제차가 바뀌는 사이 잠시 녹음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덕입네다. 양씨 병인셍{丙寅生}, 세경이 은덕으로 본데 고향은 제주시라도 일본 주년국지 강 라 아기덜 탄싱{誕生}허영 팔십 넘도록 살아오기 세경이 은덕 뒈엿수다. 신이 아이 금마벌석{(+&신자리&를 달리 이르는 말.)} 나앚앙, 삼선양{三上香} 영로삼주잔{零露三酒盞} 게아 올립니다. 이 순 어느 고향산천 살앙, 세경땅에 농업 농서허영 열두 시만곡{(+萬穀)}을 다 받앙 권제를 못 올렴수다만은 데벡미{大白米}는 소벡미{小白米} 낭푼{양푼} 득 사발 득 시권제 받아올리며 신이 본을 다 알 수 잇습네까 베운 데로 들은 데로 금마벌석 나앚앙 세경신중 난소셍 과광선 신풀어 삽서-. 세경본풀이]공선가선 [장구를 치면서 말명을 한다.] 공신 공신은 가신 공서 제저 남산 인보역, 서준낭 서준공선 올립네다. 세경본풀이]날과국섬김 올금년 신묘년{辛卯年} 쳉명{淸明} 삼월 열이틀날 어느 을 어떠헌 순덜이 이 공서, 이 원정 올립네까 국은 갈라 갑네다, 강남{江南} 든 건 천저국{天子國} 일본 든 건 주년국, 우리 국은 데한민국 [음영] 일제주군{(+&一濟州는&의 잘못.)} 이거저{二巨濟} 삼진도{三珍島}는 남헤{四南海} 오간땅{五江華}은 육제주{(+&六莞島&의 잘못.)} 마련헙긴∼ 남헤바다로 뚝 떨어진 제주섬중 고향산천은 제주도 친정 땅은 제주십고, 시갓땅은 성산읍{城山邑}은 테양리{泰興里} [청중이 ‘남원읍’이라고 외친다.] 남원읍{南元邑} [남원면이 아니고 읍이우다 이젠.] 남원읍은 테양리, 뒈엿는데 세경본풀이]연유닦음 세경본풀이]연유닦음]열명 현주소는 데판시{大阪市}, 삽네다. 양씨로 든섯님, 받은 공서, 올립네다. 기여 큰아덜 김씨로 예순섯 손지아기 쓰물섯 쓰물셋 쓰물아홉 여 쓰물셋 받은 공서 올립네다. 또이, 간간무레 뒌 아기 김ㅇ구 예순 설 데판시 후꾸시마 삽니다 김씨로 쉰넷 또이 김씨로 쉰아홉 받은 공섭네다. 손저아기덜 서른 쓰물아홉 쓰물섯 족은아덜 데판시 삽네다 김ㅇ범씨 디 쉰 고씨 부{子婦} 마흔아홉 손남{孫男}은 쓰물두 설, 손녀{孫女}는 쓰물다섯 이거 아기덜 늬 성제 사우 아기덜 받은 공서 올립네다. 세경본풀이]연유닦음]연유 세경신중 마누라님전, 날 넘는 공서 넘는 축원도 아닙네다만은, 우리 인간은, 석가여레{釋迦如來}, 공덕{功德}이요, 아바님전 뼈 빌곡, 어머님전 살 빌엉, 칠성단{七星壇}에 명 빌곡, 제석님전 복을 빌어 인간 탄셍허면, 세경에 은덕으로 세경땅에 집을 짓엉 살기도 세경이 덕입네다. 걸음 걷기 세경이 덕 상업허기 세경이 덕 농업 공서허기, 세경이 덕 부업 허영 살기 세경이 덕, 세경땅에 열두 시만곡도 뿌령 살아가는 게 세경이 은덕 뒈엿수다. 살당살다근, 죽어 저싱 갈 떼에도 마지막으로 좋은 신체 세경땅에 묻형 좋은 썩기도 세경이 은덕 아닙네까. 든섯님 어느 고향산천 살앙 세경에 부업 농업 상업은 못 허여도 일본 강 팔십 넘도록 한강 바당 는 비헹기 탕 조상 적선 허영 가는 것도 세경이 덕 아닙네까. 살아서도 세경이 덕 죽어서도 세경이 덕, 낭 살기 세경이 덕 뒈엿수다. 세경본풀이]신메움 세경 난소셍 어딜런고 세경 난소셍 질로, 동경 가림페 서경 부림페에, 수장남은 수벨캄에, 놀아오던 상세경 열두 시만곡 네류와주던 염주 올라 실농씨도 립서 중세경 문도령님 립서 하세경은 청비 립서. 정이 엇인 정수남이 정술덱이 뒈엿수다 세경장남 네립서. 제석하르바님 제석할마님, 립서 세경신중 마누라님, 립서. 세경 난소셍 어딜런고. 세경본풀이]본풀이 옛날이라 어 저 임진국 데감님 조진국이 부인님 사옵데다. 열다섯 십오세 입장 갈림 시기난 별진밧은 진밧 수장남은 수벨캄 거니리여 천하거부로 잘 살아도 십 마흔이 넘어가도 식 없어 호오탄복 허옵디다. 동게낭은 상중절 서게남은 은중절 부처 지컨 데서님은 헌 당 헌 절 헐어지난 시권제 삼문 받으레 네려사젠 허는 게 김진국 데감님 [음영] 날만 아가민 심심허곡 야심허난 동네 금방상 일천 선비덜 두어 바둑 장기 뛰는 디 간 돈을 따가도 애기 엇인 데감엔 놀림을 받곡 야 어느∼ 말 모른 가막새도 [음영] 날이 물아 가민 오조조조 허여 쒯 새끼 품을 앙 앚곡 [음영] 얻어먹는 게와시덜토{(+거지들도)} 아길 놩 앙천데소{仰天大笑} 웃으멍 살아가는 것이 상중절에 데서님은 인간처{人間處}로 시권제 삼문 받으레 소곡소곡 네려산다. 김진국 데감님 조진국이 부인님 [말] 먼정 올레로 들어사멍 나사멍 “소승은 절이 붸옵니다.” “어느 절 데서가 뒈옵니껜?” 허난 “동게남은 상중절 서게남은 상세절 부처 지컨 데서중이온데, 헌 당 헌 절 헐어지난 인간처로 네려상 시권제 삼문 받앙 헌 당도 수리허저 헌 절도 수리허저 셍불 없는 자는 셍불{生佛}을 취급시겨 주저 시권제 삼문 받으레 야 네려삿수덴.” 일러간다. “데서님아 데서님아 [음영] 우리 부베간도 어떵 허민 식 셍불을 가질 수 잇수겐?” 허난 “야 우리 절간 법당으로 오랑 석 열흘 벡일 불공 드렴시민 아덜이나 이나 야 이거 셍불을 잇을 듯 허쿠덴.” 일러간다. “어서 걸랑 기영 헙서.” 데서님은 시권제 삼문 받아근 절간드레 소곡소곡 올라간다 김진국 데감님광 조진국이 부인님 강답{乾畓}에 강나록 답에 나록 모답에 모나록 데벡미{大白米}도 일천 석 소벡미{小白米}도 일천 석 가삿베도 구만 장 송낙베도 구만 장 벡근을 체와앚엉 동게낭은 상중절로 원불수룩차{願佛水陸次}, 소곡소곡 들어산다. [음영] 들어산 “야 소서중아 저먼정 나고보라. 야 이거 인기척이 분명허다.” “어서 걸랑 기영 헙서.” 먼정 올레에 나고보난 “김진국 데감님광 조진국이 부인님 원불수룩 드리레 우리 절간 법당드레 소곡소곡 들어삼수다.” 안으로 청허여 들어간다. 부처님전 선신문안{現身問安} 위올려간다. 데서님전은, 선신문안 위올려두고 데법당{大法堂}으로 간 데벽미도 일천 석 올려간다. 소벡미도 일천 석 올려나 가는구나. 서 낮인 연불 밤인 원불 낮도 영청 밤도 영청 원불수룩 드려간다. 드려가는 것이 를날은 [음영] 데추남 은저울데로 저울영 보저 그데엔 데추남 은저울데로 저울연 바련보난 [음영] 벡근이 야 못네 차난 야 그떼에는 [음영] “김진국 데감님아 조진국 부인님아, 데추남 은저울데로 저울연 보난 벡근이 못네 차난 집으로 강 합궁일{合宮日}을 청허여 천상베포를 무어봅서만은 아덜이나 이나 셍불을 볼 듯 허덴.” 일러 가옵데다에-.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연 어어 그떼에는 어 집으로 돌아오란 합궁일을 청허여 들어가는 것이 은단평{銀丹甁}에 서단마게 막앙 이리 둥글이곡 저레 둥글여도 웃음이 아니 난다. 웃음이 아니 나난 [음영] 야 이건 를날은 야 이건 아기 없는 이디 가도 아기 없는 야 놀림을 받곡 저디 가도 아기 없는 놀림을 받아가는 것이 은단평에 서단마게 실 줴 끈 무껑{(+묶어서)} 이리저리 둥글여도 웃음이 아니 난다. 그떼옌 어늣동안 먼동금동 데명천지{大明天地} 앗구나 [음영] 데서님 네려오라 “원불수룩 드려봅서.”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연 석 열흘 원불수룩을 드련 야 이거 데추남 은저울데로 저울연 보난 벡근이 못네 차난 “집으로 강 양도 부베간이 합궁일을 청허여 천상베포를 무어보민 알 도레가 잇수덴.” 일러나 가옵데다. 그떼엔 양도 부베간이 절간 법당 하직허여 집으로 돌아오란 저 합궁일을 보아간다 천상베폴 무어간다. [음영] 아닌 게 아니라 두 연 석 뒈여가난 밥에 밥네 물에 펄네 나간다 여 장칼네도 나간다 세금 틀틀난, 오미저{五味子} 틀레 정갈레{(+정금나무 열매)} 먹고저 허여간다. 아호{아홉} 열 득 창 나는 건 바려보난, [음영] 물 알에 옥돌 뜬 아기여 제비새 알아구리{(+아래턱)} 튼 곱닥헌{(+고운)} 야 월궁여{月宮女} 선여{仙女} 가튼 아기씨가 솟아나는구나예-. 이 아기 솟아나난 여름에는 상다락 노념시겨간다. 봄 을엔 중다락에 노념을 시겨간다. 하절{夏節}은 나민 이 아기 추울 새라 하다락에 야 노념을 시경 키와간다. 이 아기 어늣동안 점메찡 좀메찡 던데찡도 허여가는 것이 [음영] 아이고 이 아기 도골도골 앉음징 김징 걸음징 말 아가난 “이름이나 지와사 헐 걸.” 이름을 집는{(+짓는} 게, 아바님 지운 이름은 아이고 가련허다 가령비로 이름을 지와간다. 어머님 지운 이름은 이 아기 비록 여식{女子息}이라도 이 아기 설엉{(+임신해서)} 낳젠 허난 우리 양도 부베간 절간 법당에 간 석 열흘 청{自請}허연 낫져 청비로 이름 셍명{姓名} 지와가는구나에-. 를날은 청비는 어늣동안 아호 열 설이 넘어가는 것이 [음영] 오렌만간이 금마답에{(+마당에)} 나고보난 늦인덕 정하님이 연서답을 허연 오란 너는 건 보난 하도 손이 고와지난, “늦인덕 정하님아 늰 어떵 허연 손이 경 고와졈시니?” “아이고 아기씨 상전임아, 모른 말 맙서. 종이 한집도 메일 연서답을 와라차라 허여가난 손광 머리 야 들들 고와졈수덴.” 일러가는구나에-. 그떼에는 어 청비 아기씨도 “늦인덕 정하님아 [음영] 아이고 경 허덴 허민 나도 연서답 갈 떼에랑 찌 앙가기 어찌허겟느냐?” “어서 걸랑 기영 헙서.” 를날은 청비 아기씨는 늦인덕 정하님 거니리고 [음영] 연서답을, 간 와라차라 허노렌 허난 하늘옥황 문곡성{文曲星} 아덜 문왕성{文王星} 문도령{文道令} 서천약국 거부선셍앞이 연삼년{連三年} 글광{글과} 활을 베우레 지알{地下}에 네려사단 바려보난 난데 엇이 곱닥헌 선녀 아기씨가 처녀 아기씨가 앚안 연서답을 허염시난 그데로 넘어갈 수가 엇어 “물이라도 [심방, 목이 마른지 물을 마신다.] 주박 떠주면 [음영] 마셩 가쿠덴.”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서.”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포주박에 물을 떤 야 이건 문도령 얼굴을 바려보난 하도 이거 고와지난 야 그뗀 말이라도 번 건네보저 야 물 우티 포주박에 물을 거련 야 물 우티 버드낭 썹을 하나 동골동골 띄완 양손 받제허연 주어가는구나에-. 문도령님은 [음영] 그 말 그 물을 먹단 “어떵 허난 남자에 데장부{大丈夫} 먹는 물에 야 나무 이파릴{(+잎을)} 띄완 줨수겐?” 허난 “아이고 질럴 끈어 먼 질 가는 도령님아, 모른 말 맙서. 야 길을 가당 물에 물을 먹당 물에 체헌 건 약방약{藥房藥}도 없습니덴.” 허난 “아이고, 음만 얼굴만 고운 중 아니 음도 천하일섹{天下一色}이 뒈엿구나.” “어디레 가는 도령이 뒙네까?” [말] “나는 하늘옥황 문곡성 아덜 문왕성 문도령인디, 지알에 서천약국 거부선셍앞이 연삼년 글을 활을 베 글광 활을 베우레 네려사는 길이옌.” 허난, 청비 아기씨도 “아이고, 우리 집이 오라바님이 잇인디, 글공부 가젠 허건 디가 연삼년이 뒈연 못 가난, 나 저 집으로 강 우리 오라바님 보네커메, 친구 벗을 허영 찌 글공부를 가기가 어찌 허오리까?” “어서 걸랑 기영 헙서.” 청비는 허단 서답 버려두고, 집으로 오란은 여자 방에 려들어 여자 입성 벗어두고 남자 방에, 려들어, 남자 입성 입언, [음영] 아바님 어머님 방에 간 “아이고, 아바님아 어머님아. 우리 어느 오라바님도 엇곡 아바님 어머님도 나이 연만{年晩} 뒈여가곡, 야 나도 글을 알앙 나둬얄 거난, 어느 이루후제 예문예장{禮文禮狀} 막펜지{(+議婚이 되어 신랑집에서 신부집으로 찾아갈 때 의례적으로 가지고 가는 편지.)}가 와도 누구가 볼 겁니까. 날이라도 글을 베왕 나두쿠다.” “어서 걸랑 기영 허렌.” 허난, 그떼에는 청비 아기씨는 아바님 어머님앞이 허급{許給}을 받안 [음영] 야 오란 “난 이거 야 지알에 청비도령옌 헌다.” “나는 옥항에 문왕성 문도령옌…….” 야 이거 친구 벗을 허연 둘이가 그떼에는 서천약국 거부선셍앞이 글광 활을 야 베우레 들어나가는굿나. 들어가난 그떼에는 거부선셍 말이로다. [음영] “너이덜 꼭 찌 친구 벗을 허연 날 시에 글공부 오라시난, 상에 앚앙 공부허곡, 첵상에서 공부허곡, 상에서 밥을 먹곡, 번 방을 쓰멍 글공불 잘 베우렌.”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서.” 낮이는 첵상에 앚앙 글공부를 허곡 상에 앚앙 밥 먹곡 밤이는 야 방에 앚앙 을 자젠 허난 [음영] 청비는 만이{가만히} 여산{생각}을 허는 게 ‘아이고 나가 포주박에 물을 떠주 떠주던, 야 이거 청비 처녀야 여자로 타 이거 탄로{綻露}나 나민 그떼는, 아방 눈에 리 나곡 어멍 눈에 신지 나곡, 야 이거 글공부도 못 허영 갈게 뒐 거난 없는 꿰나 부려보준.’ 허연, 그떼에는 야 청비가 은데양{은대야}에 물을 북허게 떤 가운디 간 놘, 야 은젯가락을 야 은데양드레 똑허게 걸이쳔{걸쳐서}, “야 문도령아 문도령아, [말] 우리 을 자민 멩심허영 자사켜. 은데양에 은젯가락 걸친 거 물데레 떨어지민 [음영] 글도 활도 못 허영 그떼는 양친 부모 눈에 리 날 거난 메우 멩심허영 을 자게.” “어서 걸랑 기영 허게.” 문도령은 야 이거 [음영] 은데양에 걸친 은젯가락만 물르레 털어지덴 야 지카부덴 허당보민 을 못 장 설쳐간다. 청비는 을 자 간다. 뒷날은 거부선셍앞이 가면 문도령은 청비보단 글도 자원{壯元} 활도 자원 제주 자원 허여간다. 허여 가는 것이 [음영] 를날은 아명허여도 거부선셍님은 문도령은 틀림엇이 남자로 붸우나, 청비는 여자로도 뷉곡 남자로도 뷉곡 구별헐 수가 엇이난, ‘이거 남자 여자 구별이나 이거 허준.’ 허영, 야 그뗀 둘이 불러다 놓안 “너히들 넬날랑{내일은} [음영] 헤 돋아 오는 디레 야 돌아상 소변{小便} 길락이나{(+갈기기나)} 번 허는 거 보민 야 알 도레{道理}가 잇덴.”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난, 그떼에 청비는 왕데 목데 허연은 옷에 놓앗단 [음영] 뒷날은 야 이거 오줌을 길락 허는 것이 청 문도령은 힘껏 겨도 아홉 방축 벳기 아니 나가곡, 청빈 여상{如常} 오줌을 겨도 열두 방축을 나간다. [말] 상{(+서서)} 오줌 기는 건 보난 분명히 남자로 베엇구나. 를 겅{(+그렇게)} 허는 것이 [음영] 문도령은 청비보단 소변 눌락허여도 떨어지곡 글공부도 떨어지곡 활공부 제주 공부 떨어지여 가는굿나. 를날은 어어어 문도령님 금마답에 나고보난 가메기 젓게{(+겨드랑이)}에 편지 문안 보네엿더라. [음영] 야 문도령은 그걸 보난, “지알에 거부선셍앞이 연삼년 글광 활을 베우레 네려산 문도령아, 너 이젠 연삼년 글도 베울 만이 베와실 거, 활도 베울 만이 베와실 거, 제주도 베울 만이 베와실 거난 글공부 활공부 제주 공부 그만 허영 저저 옥항에 도올랑 약속헌 데로 서수왕에 입장갈림 시기게 뒈엇저. 서수왕에 입장갈림 들렌.” 허난, 그떼에는 문도령 [음영] 야 이거 옥항에 도올게레게 뒈게 뒈난 청비도 “야, 거부선셍님아. 우리 올 떼 똑치 찌 야 오곡 찌 공부허곡 꼭뜬 첵을 앚엉 공부허여시메 [음영] 문도령 가가민 나도 어서 집으로나 가쿠덴.” 허여간다. “어서 걸랑 기영 허렌.” 허연 문도령 나고 가는구나. 나고 가단 보난 어느 틈에 [음영] 야 이거 오란 모욕사{(+沐浴이야)} 허여나신디 세수사{洗手야} 허여나신디 야 써 가 문도령 여∼ 이거 오랏구나. [말] 오란, 야 청비가 허는 말이 “문도령아 문도령아. [음영] 야 널라근 나보단 글도 떨어지곡 활도 떨어지곡 제주 자원 다 떨어져시난 널랑 알통에 강 으라. 날랑 웃통에서 으마.” “어서 걸랑 기영 허렌.” 허연 그떼에는 문도령은 [음영] 알통에서 옷광 들락허게 벗어동 이레 참방 저레 참방 몸을 단 바려보난 [음영] 웃통에서 미 야 옷 소메만 올련 물소리만 퐁당퐁당 넵단{(+내다가)} 알러렌{(+아래로는)} 바려 알통드렌 바려봇난 문도령이 이레 참방 저레 참방 몸을 암시난{(+&암시난&의 잘못)} 그떼예는 청비가 물 우트레 야 나무썹{나뭇잎}을 허연 [음영] 글빨을 띄우는 게, “야 이거 멍텅헌 일을 알곡 두 일 모른 멍텅헌 문도령아 야 니는 [음영] 글도 떨어지곡 활도 떨어지난 야 몸을 암샤? 닐라근 야 어서 몸을 시피 앙 오라. 날랑 집으로 저 가키여. [음영] 연삼년을 니영 나영 상에서 첵상에 앚앙 공부허곡 상에서 밥을 먹곡 방에 앚앙 을 자멍 연삼년 살멍 공부를 헤여도 남자 여자 구별 하나 못 허는 멍텅헌 문도령아-.” 글빨을 썬 네려보네엿더라. 문도령은 이레 참방 저레 참방 모욕허단 바려보난 글빨이 있엇굿나. [음영] 바련 보난 청비가 야 이거 ‘니영 나영 연삼년 야 방에서 공부허멍 살아도 남자 여자 구별 못헌 멍텅헌 문도령엔.’ 허연 글빨을 썬 보네엿굿나. 문도령은 그떼에야 [음영] ‘아이고, 이거 청비 야 나가 옥항에서 젤체얌 네려줄 아 네려살 떼예 포주박에 물을 떤 야 이거 청비 처녀 아기씨인 중을 나가 몰란 야 쏙아졋구나. 저 웃통드레 올라왕 저 말이라도 마디 더 아보저 홀목이라도 잡아보젠.’ 허연 급허게 물 벳깃디 나오란 야 옷을 입젠 헌 게 양착{양쪽} 가 가달에 양착 가달 디물랸 삼월 넉메말 둥글 듯 둥글어 가는굿나. 웃통에 오란 [음영] 보난 야 어늣동안 양아 이거 청비 아기씨는 천방지축 집으로 가간다. 들어갓난 문도령이 그떼옛는 여어허 물 벳깃디 나오란 오라근 청비 홀목을 잡젠 허난 [음영] 아이고 이건 청비 말이로다. [음영] “이 이걸 알민 우리 아바님 어머님신디 눈에 리 나곡 신지 나곡 난 이거 야 집 안트레 들어가지 못헐 경이난, 야 문 벳깃디{바깥에} 시민{(+있으면)} 나가 어머님 아바님신디 강 딱{모두} 문안인사 올려동 말쩨랑 니도 오렌.” 허멍 “어서 걸랑 기영 허라.” 문도령 문 벳기 세와돈 청비는 안으로 들어가근 그떼옌 남자 옷을 벗어 여 걸쳐두고 여자 입성 입어앚언 청비, 야 그떼옌, [음영] 야 이거, 야 청비신디 오라시란, 청비, 야 이번, [음영] 아바님 어머님신디 문안 디려돈 야 “친구가, 찌 상에 앚안 공부허엿는디 나만 이거 떨어지젠 허난 야 넬 는 날 직시{卽時} 옥황드레 [말] 잘 가게 허쿠다.” “어서 걸랑 기영 허렌.” 영 허연, 그떼에는 문도령은 안으로 들어간 [말] 청비신디 날은 초경 이경 야사삼경이 깊어지곡 문도령은 [음영] 옥황드레 도오를 시간이 야 뒈엿구나예-. 도올를 시간이 뒈여붓난 그떼옌 문도령이 청비신디 앞이 “청비야 이 이거∼ 야 도실{桃實} 씨를 하나 줄 테니 [음영] 이걸 창문 밧겻{바깥} 싱겅{심어} 나 보듯 밤시민 야 나가 옥황에 도올랑 아바님 씨어머님신디 강 허급을 허영 지알에 청비 너를 아가켄.” 일러가는구나. “어서 걸랑 기영 헙서.” 그떼예는 어어어, 문도령은 도실 씰 줘돈 옥항더레 상천{上天}을 헤여간다. 뒷날부떠는 야 그떼에는 [음영] 야 이건 이 날이나 저 날이나 야 문도령 보고프민 창문 밖을 앙{(+열어서)} 문도령 준 씨를 싱겅{(+심어서)} [음영] 야 도실꼿이나 활짝 피민 올 건가. 잎이 열려도 올 건가 아니 오곡, 꽃이 피어도 아니 오곡, 야 도실 열메가 야 이거 으민 올 건가 허여도 아니 오라가는 것이 [음영] 어늣동안 옥황에 문도령 따문에 청비는 지알에서 상사병{相思病}이 나다시피 허여가는굿나. 를날은 [말] 은 아니 오고 문도령 셍각에 창문 밖을 안 보난, [음영] 어늣동안 야 이거 초경 이경 야사삼경이 아가난 헤변사름덜은 시{(+말)} 쉐시{(+소)} 거니령 산중산중{山中山中} 낭{(+나무)} 허레 들어간다. 낭 허레 들어갓난, [음영] 야 이거 청비 아기씨 상전임 “정술덱아, 야아 어늣동안 날이 아가난 헤변사름덜토 야 이거 시 쉐시 거니령 산중산중 낭 허레 가는디, 야 정이 엇인 정수남이도 만 자지 말앙 저 드르에{(+들에)} 강 낭이나 허영 오렝 허라.” “어서 걸랑 기영 헙서-.” 저어∼ 정술덱인 정이 엇인 정수남이신디 간 [말] “정수남아 정수남아, 너 만 자지 말앙 헤변사람덜토 어늣동안 시 쉐시 거니령 산중산중 낭 허레 가는디, 야 이거 청비 아기씨 상전임 너도 만 자지 말앙 저 강 낭이나 허영 오렌 허염젠.” 허난, “아이고 오널은 이거 날은 늦어불고, 넬날랑 [음영] 쉐 아홉허곡 아홉허곡 잘 이거 정심영{(+점심이랑)} 잘 려주민 야 헤변사람덜 치 강 헤여오는 거 나 넬은 르 야 이건 를에{하루에} 강 야 헤변사름덜 치 낭 허여당 데민{쌓은} 거만이 데미켄{(+쌓겠다고)} 강 일리라{이르라}.” “어서 걸랑 기영 허렌.” 허연 정술덱인 [음영] 야 오란 “아이고,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정 정이 엇인 정수남이신디 간 으난 오널은 날은 늦어불곡 네일날은 쉐 아홉 아홉 령 네여놓곡 정심을 잘 려주민 야 이거 헤변사름덜 치 낭 허여오는 거 넬 를에 치 강 치 헤여당 눈 건만이 눌켄{(+露積하겠다고)} 허염수다.” “어서 걸랑 기영 허라에-.” 를날은 정이 엇인 정수남이 낭 곶이 보네젠 허난 아홉도 질메{길마} 지왕 네여놓아간다. 쉐 아홉도 질메 지왕 네여놓아가는굿나. 정심도 려주어간다. 정이 엇인 정수남인 아홉 쉐 아홉 거니리곡 산중산중 낭 허레 들어간다. 낭 허레 올라가는 것이 [말] 먼 길 걸어나난 시장도 허곡 베도 고프곡 먼 길 걸어나난 [음영] ‘야 이젠 야 이거 밥이 정심이나 먹엉 낭이나 허영 가준.’ 허연 동드레 벋은 가지엔 쉐 아홉도 메곡 서르레 벋은 가지에 아홉도 메여두고 [음영] 정심이나 먹엉 낭 허영 가준 헌 게, [말] 먼 길 걸어난 디 정심은 먹으난 끈{勞困}허연, 도 오고 일어살 셍각도 엇이난 이젠 아이고 이젠 베도 부르곡 허난 헨 중천{中天}에 떤 질 날 멀어시난 [음영] ‘에 점이나 장, 낭을 허영 가주긴.’ 허영 드끈{잔뜩} 일어 을 잔 일어난 바려보난 [음영] 헤는 어늣동안 일럭서산{日落西山} 기울어지곡 동드레 멘 쉐 아홉도 소들소들 서르레 [음영] 야 이거 야 아 이거 야 아홉 머리도 소들소들 허여시난, 야 동서르레 이거 드러눈 쉐광 을 바려보난, 궤기 셍각이 바싹 난, ‘에이 이젤랑 궤기 이거 쉐 머리 잡앙 먹엉 간 것사 몰르주긴.’ 허영 멩데낭 아 가시자왈{가시덤불} 허여다 [음영] 멩게낭 벡탄숫불{白炭--} 잉얼잉얼 피와놘 황기 도치{도끼}로 점점이 썰멍{(+썰면서)} 야 이거 쉐 아홉도 구엉 먹어간다. 아홉 [음영] ‘요것만 먹엉 말주. 요것만 멀고 먹엉 말준.’ 헌 것이 정이 엇인 정수남이 야 쉐 아홉도 다 구웡 먹어불엇구나. 아홉도 다 구웡 먹어가는구나에-. 쉐 아홉 아홉 [음영] 이구십팔{二九十八} 열여덥 머린 다 구원 먹언 나산 보난, 헤는 이젠 다 지언 날도 어둑아지곡, ‘이젠 황기 도치라도 둘러메영, 어서 집더레 네려사준.’ 헤연 황기 도치만 둘러메연 집더레 네려사단 바려보난, 야 이거 물 우티 올리{오리} 쌍이 앚앗굿나. 정이 엇인 정수남이 [음영] 물 우티 앚인 올리 쌍을 바련 보난 ‘아이고, 이젤랑 야 저거라도 올리 쌍이라도 마추왕 강 [말] 상전임 눈에 들영 들어가준.’ 허영, 황기 도치로 물 우티 앚인 올리 쌍을 다락허게 야 물 우터레 던지난, 올리 쌍은 물 우트레 푸드등 허게 안 어드레사 아나불어신디 몰르곡, 황기 도치는 물 우 물 알러레 톡 풍당허게 빠져부난, [음영] ‘아이고 이젠 이거 야 황기 도치라도 앙 가준.’ 허연 입엇던 가죽 점벵이는 [음영] 낭 우티 걸쳐동 물르레 들어산 이레 참방 저레 참방 물속을 헤쳔 뎅겨도 황기 도치는 야 어느 펄 속드레사 들어가불어신디 못 곡, 물 우티 벳깃디레 나오란 가죽 점벵인 [음영] 입젠 바려보난 야 이거 헤변사름덜 낭 허연 가단 ‘아이고, 요 거 구불텡이 허기 좋다.’ 허연, 구불텡이 허연 네려가부난 동더레 바려보아도 입이 넙은 게낭입만 번들번들 서르레 바려바도 입이 넙은 게낭입만{(+&게낭&은 누리장나무)} 번들번들 허엿굿나. [말] 께낭입으로 아이고 알을 추완{감추고} 집으로 들어오진 못 허곡, [음영] ‘야 이건 이 밤 저 밤 저 장항두{장독대}에라도 강 곱앗당은엥에{(+숨었다가)} 야∼ 아기씨 상전임이영 딱 들건 나 눅는{눕는} 방드레 짝허게 들어가준.’ 허연, 야 장항두에 간 보난 빈 항이 시난, 빈 항 속에 앚안 야 앚아시난 마침 야 이거 정술덱인 [말] 장이라도 거려당{떠다가} 장쿡이라도 끓령 정수남이 낭 허영 오민 주젠 장 거리레 간 보난 난 디 엇이 빈 항 뚜겡이가 싹싹 허염시난 겁이 바락 난, [음영] 아이고 확 허게 집으로 안체로 들어간 [말] “야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숭시{凶事} 아니민 제휍{災害}니다.” “미신 일고?” “장 거리레 이거 정이 엇인 정수남이 장쿡이라도 낋령 주젠 장 거리레 간 보난, [음영] 아닌 게 아니라 빈 항 뚜껭이가 싹싹 춤을 췀수덴.” 허난 그떼엣는 수장남{首長男}을 수벨캄{首別監}을 다 불런 [음영] “야 귀신이냐 셍인이녠?” 허난, “아이고, 이건 야 난 정이 엇인 정수남이렌.” 허난, [말] “아이고 이거 미신 일이녠? 너 어떵 허난 낭 허레 간 쉐 아홉은 어떵 허엿느냐? 아홉은 어떵 허엿느냐? 바른 말을 허렌.” 하도 죽일 팔로 둘러가난, 그떼에는 “아이고,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죽을지라도 나 오널 [음영] 야 좋은 구경거리라도 본 거 마디 헤동 죽으쿠다.” [말] “무슨 좋은 구경거릴 헤엿느냐?” 야 청비 아기씨 상전임이 문도령 따문에 상삿병이 난 거 가트난{같으니} “아이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그런 것이 아니고 오널 쉐 아홉 아홉 [음영] 열여 머리 거느리고 [말] 산중산중 낭 허레 올라가단 보난, 테역단풍 좋은 디서 하늘옥황 문왕성 문도령이 궁여청 시녀청 거니령 북 장귀 두드리멍 야 노는 것이 하도 좋안 구경허단 바려보난, 아홉도 간간무레 일러불엇수다. 쉐 아홉도 간간무레 일러불엇수다. [음영] 나 이젠 이거 좋은 구경허여시난 나 이거 죽이고 죽어도, [말] 원이 엇수덴.” 허난, 그떼에는 죽일 팔로 둘르단 문도령옌 허난 귀가 오짝허연, [음영] 야 청비 아기씨 상전임이 [말] “정이 엇인 정수남아, 게민 이번만은 너 살려 줄 테니, [음영] 문도령 잇인 디 [말] 리칠 수 잇겟느녠?”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서.” 그떼옛는 어허어 문도령이 [말] “아기씨 상전임아, 문도령 잇인 디 가젠 허민 나사 드릇 노변{路邊} 메날{매일} 뎅기난 걸엉 뎅기주만은 아기씨 상전임은 걸엉 못 감, [음영] 야 이거 을 타야 [말] 걸어야 갑니덴.”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허라.” “넬날랑, 필을 네여놓아근 야하하 안장을 잘 리고 정심을 허여봅서만은 [말] 상전임 먹을 정심이랑 은젠를{(+&는젱이를&의 잘못)} 뒈건 소금도 뒈, 나 먹을 정심이랑 은젱를 말 허거들랑 소금이랑 노는 둥 마는 둥 허영 기자, 헤야 정심을 헙서.” “어서 걸랑 기영 허게.” 뒷날은 마굿간에 간 필을 이꺼{(+이끌어)} 네여간다. [음영] 야 안장을 지는 첵 허멍, 구젱깃닥살을{(+소라껍질을)}, 야 장 안트레 [말] 쏙허게 디물랸, “아이고 상전임아 요 안장드레 탑센.” 허연 톡 타난 구젱깃닥살로 등은 꽉꽉 누뜨려가난 [음영] 야 을 갑자기 잇단 야 앞발 들싹 뒷발 들싹 허여가난 [말] “아이고 어떠난 영 허염시?” “아이고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도 먼 길을 가젠 허민 머리코서를 헤야 헙니다.” “어떵 허영 머리코서를 허느닌?” 허난 그떼예는 정이 엇인 정수남이가 앞으로 간 [말] 야 람질{(+주저리를)} 싹 페완, 야 {鷄} 머리 허여단 려놓고 술을 허여다근 [음영] 잔을 비완 머리 앞으로 간 허부적기 절을 허여돈, 야 이건, 야 술 잔을 귀레 [말] 소로록허게 질으난 은 마니 닥닥 털어가난, “아이고 상전임아, 이거 봅서. [음영] 도 머리코서를 허난, 이젠 그만 먹켄 허염수게. 먹단 나머진 종이 한집이나 먹읍네다에-.” 발 벋언 앚안 머리코시 허여난 거, 다 먹언 안장을 자 고찌는 척 허멍 [음영] 구젱깃닥살을 탁 허게 양하 네류와가는구나. 네류와돈 정이 엇인 정수남이 [음영] 정심은 짊어지곡 이녁은 야 을 이끄곡 청비 아기씨는 안장드레 테왕 [말] “어서 옵서 우리, 문왕성 문도령 노는 디 가게마씸.” 허멍 을 이껑{(+이끌어서)} 가가는구나에-. 어어 가가는 것이 그떼예는 가단가단 보난 애가 랏굿나. “야 정수남아, [음영] 아이고 우리 오라, [말] 야 이거 먼 길 걸어나난 정심이나 먹엉 가게.” “어서 걸랑 기영 헙서.” 그뗀 안장드레 네련, “야, 정수남아. 오라 우리 저 낭 끄늘 알에 가민 야 이거 정심 먹기 조켜.” “아이고, 아기씨 상전임아. 모른 말씀 맙서.” “거 미신 말곤?” 허난, [음영] “우리가 저 그늘에 앚앙, 맞앚앙 밥을 먹엄시민 [말] 먼 딧 사름은 보민 우릴 두갓이옌 헙니께. 두갓이가 낭 허레 오랏당 밥을 먹엄덴 허곡, [음영] 끗디 사름 보민 야 상전광 종이 디 앚앙 밥을 먹엄덴 숭을 헙니다.” “게멘 어떵 허민 밥을 야 이거 정심을 먹느니?” [말] “상전임이랑 상전임이메 높은높은 동산에 강 앚앙 밥을 먹읍서. 날랑 종이 한집이난 아무 굴렁드레라도 네려상 기자 야 밥을 먹쿠다.” “어서 걸랑 기영 허라예-.” 그떼에는 청비 상전 아기씨 상전임은 [말] 벳{볕} 와랑와랑 나는 높은높은 동산에 앚안 범벅을 하나 뚝허게 끊어 먹으난, 경 안 허여도 먼 길 걸어나곡 벳 와랑와랑 나는 동산에 앚앙 애가 른디, 범벅을 덩어리 뚝 끊 뚝허게 끊어 먹으난, 짠짠허연 목 알르레 네려가질 못 허연, 야 먹을 수가 엇구나. [음영] 알르렌 바려보난, 꿩비에기만썩{(+까투리만큼)} 야 이거 밥을 먹어간다. [말] 만이 보단, “정수남아.” “예.” “아이고, 난 경 안 허여도 먼 길 걸어나난, 경 안 허여도 애가 른디 야 이거 소금광 야 를은 찌 노렌 허난 적 끊어 먹으난 짠짠허영 먹어 지크냐? 닌 정심 어떵 맛이 어떵 허느니?” “아이고, 아기씨 상전임아 모른 말 맙서. 기자 놈이 집이 머심살이 허는 종이 한집이 기자 정심을 령 먹읍니까. 난 아무 굴렁지라도 들어상 기자 베만 불르민 그만입니덴.” 허난, [음영] “아이고 게거들랑 [말] 이것도 갖당 먹어불라.” 아이고서 와랑와랑 아올라오라 동산드레 올라오라, “아이고 상전임아 고맙습니다. 상전임 먹다 네분 건 아니 먹켄 헌 건 종이 먹곡 종이 먹다 남은 건 개나 먹읍네다.” [음영] 그떼에는 청비 아기씨 상전임 먹다 남은 건, [말] 굴렁데레 갖언 네려간, 상전임 먹다 남은 거는 반찬 삼곡 이녁 범벅은, 밥을 삼안 [말] 눈이 멜라지도록 꿩비에기 만썩, 어루에 두루헤에 밥을 먹어간다. 밥을 먹언 [음영] 동산드레 올라오란 [말] “아이고 갈 길이 멀어시냐?” “아이고 상전임아, 문도령 만나젠 허민 갈 길이 멀엇수다. 저 르레 탑센.” 허연, 탕 가는 것이, [음영] 하도 애가 라지난, [말] “정수남아, 아이고 오라 우리 여기 물이 잇져.” 물으멍 “아이고 상전임아, [음영] 드릇 노변 오면 아무 상 엇이 물을 먹지 못 헙니다.” [말] “이 물은 무신 물고?” [음영] “이 물은 궁여청 시녀청 손발 씻은 물입네다.” 가단 보난 물이 잇엇구나. [말] “아이고 요 물은 미신 물고?” “아이고 요 물은 야 이거 야 소 덜이 들어상 야 이녁 냥으로 이녁 몸뎅이{몸뚱이} 시치멍{(+씻으면서)} 먹은 물입네다.” 가단가단 바려봇난 시네방에 [음영] 물이 라시난{(+고여 있으니)}, [말] “정수남아, 요 물은 어떵 허느니?” “아이고, 상전임아. 방 안네서 살아난 셍각만 허지 맙서. 드릇 노변 오민 아무 상 엇이 물도 먹지 못 헙니다.” “어떵 허민 먹느니?” [음영] “아이고 상전임아, [말] 나가 이 물을 먹는 전레{典例}를 아주커메{(+말해 줄 테니)} 꼭 나가 먼저 먹엉 일어사건 똑 나 허는 데로 허영 상전임도 물을 먹읍서-.” “어서 걸랑 기영 허라.” 그떼예는 [음영] 정이 엇인 정수남이 웃도릴 확 허게 벗언 [말] 높은 가지레 휙 허게 걸쳐돈, 야 엎더젼 괄락괄락 물을 봉끄랑케 먹어놘 [음영] 확 허게 일어산 “상전임도 나와치 꼭치 물을 먹읍센.”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허게.” [음영] 그떼예는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야 것저고릴 벗언, [말] 남 얖은 낭에 톡 허게 걸쳐돈, 야 이거 물러레 간 엎더젼 물을 야 이거 물을 먹노렌 허난 정이 엇인 정수남이가 확 허게 려들언, [음영] “아이고 청비 아기씨 상전임아, [말] 물만 먹지 말앙 그 물굴메로 바려봅서. 하늘옥황 문국성 아덜 문왕성 문도령이, 궁여 시녀청 거니령 북 장귀 두드리멍, 노는 구경이 얼마나 좋수가-.” [말] 청비 아이고 물 먹단 확 일어산 ‘나 요것앞이 지금지 속아졋구나-.’ [부엌에서 무엇이 타는 바람에 그것에 대하여 이야기 하느라 잠시 멈춘다.] 그떼에는 어어 그떼에는 [음영] 나 요것앞이 속아졋구넨 확 일어산 야 것저구린 입젠 바려봇난 [음영] 어늣동안 정이 엇인 정수남이 청비 야 이거 야 것저구린 벗은 거 높은 낭에 걸쳐불엇구나. [말] ‘아이고 요만 허민 어떵 허리.’ “정수남아, 저 저구리나 나 네류와 주라.” 그떼는 동서르레 바려도 아무도 엇이난, ‘에이고 나도 번 곱닥헌 아기씨 상전이나 안아보젠.’ 허연 정이 엇인 정수남이가 확 허게 려들언, 청비 아기씨 상전임을 확 허게 품에 안젠 허난, 그떼에는 청비 아기씨 상전임이 셍각을 허는 게 ‘아이고 엿날 역력허고 똑독헌 문왕성 문도령도 첵상에 앚앙 공부허곡, 상에 앚앙 밥 먹곡, 이불 속에서 을 자도 연삼년 나가 수절을 지켜연 야 살아오랏는디 겜으로{(+아무려면)} 종이 한집 요거 하낫사 나가 넹겨치지 못 허리야.’ 정이 엇이 확 려들엉 안젱 허민 “정이 엇인 정수남아, [음영] 나 안젱 허지 말앙 나 눅는 방에 강 보라 나 더끄던{(+덮던)} 공단이불, 서단이불이, [말] 더꺼보민 나 안는 거보단 더 푹신푹신 좋아지다.” 아이고 경 허여도 확 허게 려들엉 가심도 직아{(+만져)} 보젱 허민 “아이고 정이 엇인 정수남아, 나 가심 직지{만지지} 말앙 나 누는 방에 강 보민 요런 가짓겡이{바리뚜껑} 직아 보라. 들들들. [음영] 아이고 나 가심 직는 거보단 더 좋아지다.” [말] 아이고 그뗀 확 허게 려들엉 입도 번 쪽허게 맞추젠 허민, [음영] “정이 엇인 정수남아, [말] 아이고 나 입 맞추젠 허지 말앙 나 누는 방에 강 보민 꿀단지가 잇져. 야 꿀이라도 숫구락 떠먹어보라. 나 입 맞추는 거보단 알콤달콤 더 좋아지다.” [말] 영 헤도 확 허게 려들엉 안아보저. [음영] 정 허여도 확 허게 려들엉 안아보젠 허여가난 [말] ‘아이고 이만 허민 어떵 허리. 아이고 이젠 아니 뒐로구나.’ “정이 엇인 정수남아, 영 허지 말앙 오널은 헤도 일럭서산{日落西山} 기울어지곡 아명허여도 집인 못 네려갈 거난, 호롱담을 줏어당 움막을 지엉, 니영 나영 움막 안네서 룻밤을 지세영 가기가 어찌 허겟느냐?” 그떼는 “어서 걸랑 기영 헙서-.” 정이 엇인 정수남이 [음영] 호롱담을 줏어다가 움막을 짓어가는구나. 움막을 짓언, “정이 엇인 정수남아, 아이고 닐랑 야 이거 움막 안트레 름쌀이라도 아니 들어오게 [말] 야 궁기 막암시라. 날랑 움막 안네서 [음영] 불이라도 살뢈시켜.” “어서 걸랑 기영 헙서.” 그떼에는 [음영]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움막 안네서, 야 이거 불을 살루는 게 정이 엇인 정수남이는 세영{띠랑} 어욱이영{(+억새랑)} 허여당, 움막 ‘아이고 요 궁기만 막아동 움막 안트레 들어강 청비영 제미나 보저.’ [말] 요 궁기 막으민 안네선 청비는 저 궁기엣 거 확 빵 불살랑 치와불곡, 야 저 궁기 막으민 요 궁기 안넷 거 확 허영 불살랑 치와부는 게 정이 엇인 정수남인 기자 ‘어욱영 세영 허여당 요 궁기 저 궁기나 막아도 움막 안트레 들어강 청비영 제미나 보젠.’ 헌 것이 야 궁기만 막단 움막 안만 벵벵벵벵 돌단 보난 어늣동안 먼동금동 데명천진 아 불엇구나-. [말] 아부난 정이 엇인 정수남인 엇인 부에{부아}가 난 움막 안네 들어갓난 청비 아기씨 상전임이 [음영] “아이고 정이 정이 엇인 정수남아, 경 용심만 나지 말앙 나 동무립 이거 베게 삼앙 누라. 이나 잘 잘 거여.” [말] “어서 걸랑 기영 헙서.” 그떼에는 야 이거 청비 아기씨 동무립 비영 누렌 허난 서른 늿바디{(+잇몸)} 허우덩싹{(+기뻐서 입이 크게 벌어지는 모양)} 허멍, 확 허게 동무립을{(+무릎을)} 비난{베니}, 엿날은 야 이거, 품에 찻던 은장도{銀粧刀}로 [음영] 옛날은 부젯칩이 아가씨덜 [말] 요디 요만큼헌 칼 허연 영 허연 허여낫주. 요만큼헌 칼양. [음영] 야 이거 품에 찻단 [말] 은장도로 웬 귀로 단 귀레 단 귀로 웬 귀레 쏙허게 찔르난 할라산{漢拏山}에 저 산 구름 녹듯 얼음 녹듯 스르르허게 죽어간다. 움막 안네서 죽어도 죽으난 [음영] 어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을 탄 야 집으로 가는 것이 넘어가는 선비청마다 “어떵 허난 낭네 핏네가 나고, 저 야 이거 [말] 아기씨 탕 가는 꼴랑이예 무지럭총각이 바짝허게 라 부텃덴.” 보여 일러간다. [음영] 그 말 들언 집으로 간 먼정으로 간 야 이건 야 을 메여돈 집으로 들어간, [말] “아버님아 어머님아. 여쭐 말이 잇습니다.” “나 미신 말을 여쭈울 거니?” “아바님아 어머님아. 그런 것이 아니고, 정이 엇인 정수남인 어떵 셍각허곡 난 어떵 셍각허염수겐?” 허난, “아이고 설은 나 아 거 미신 말고? 아명 루 열두 팟을 잘 갈곡 일을 잘 허는 [음영] 정이 엇인 정수남인들 이녁 애기광 찌 거느냐? 거 미신 말곡?” 허난, “어머님아 아바님아, 그런 것이 아니고 오널 어어허 [음영] 정이 엇인 정수남이앞이 속안, 이만 저만 허연 나 살아나젠 움막 속에서 정이 엇인 정수남이 죽여돈 오랏수덴.” 허난, [말] “아이고 이 년아 저 년아, 죽일 년아 잡을 년아, 데동강에 목벨 년아. 멍에 씌왕 밧갈 년아. [음영] 어떵 야 기집년이 남도 낫져. 독험도 저 독허다. 어떵 야 이녁 집이 사는 종이 한집을 이녁 손으로 죽이곡 살리느니. 어서어서 나고 가렌.” 허난 그떼에는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아방 눈에 리 나곡 어멍 눈에 신지 난 ‘어딜로 가리요?’ 가단가단 보난 주모땅이 근당헌다. 주모땅을, 근당허고 바려봇난 [음영] 여 주모땅에 주모할마님이 비단클에 앚안 왈칵찰칵 [말] 비단을 짬시난 ‘물이나 사발 빌어먹엉 가주.’ “아이고 할마님아, 질 넘어가는 길손인디, [음영] 애도 라지난 물이나 이거 야 사발 빌어먹엉 가젠 허염수덴.”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허라.” [말] 할마님은 비단을 짜단 정제레 물 거리레 가분 이예, 청비 아기씨는 할마님 짜단 비단클에 앚안 왈갈찰각 비단을 차간다. [말] 물 거련 오란 보난 야 이거 비단클에 앚안 비단을 짬시난, “아이고 설운 애기야. 비단이라는 건 새간 걸리민 마딱 [음영] 이거 다 틀리는 거여.” [말] 야 오란 보난 할마님 짠 비단보단 더 손메가 고왓더라. 아이고 그떼는 할마님도 욕심난, “어드레 가는 길손인디?” 허난, “난 지알에 청빈데 이만 저만 허연 아방 눈에 리 나곡 어멍 눈에 신지 난 몸 뒈엿수덴.” 허난, [음영] “아이고 느도 나도 웨로운 몸이난 게건 우리 집이 야 나영 찌 수양 양 이거 수양 애기라도 들엉 비단클에 앚앙 비단을 짜멍 찌 살기가 어찌 허겟느냐?” “어서 걸랑 기영 헙서.” 여어 주모땅에 주모할마님이, 수양 양제 들언, 비단클에 앚아근 왈각찰각, 비단을 짜간다. 비단을 짜가는 것이 를날은 [음영] 야 이거 새신랑 입을 관복{官服}을 짜가난, [말] “아이고 할마님아. 이건 누게 입을 건디 영 정성을 드렴수겐?” 허난, [음영] “아이고 그런 것이 아니고, 하늘옥황 문국성 아덜 문왕성 문도령 서수왕에 장게 가젠 야 입을 관복이옌.” 허난, “아이고, 할마님이 아이고 이건 나가 이거 치우쿠덴.”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허렌.” 허연 [음영] 그떼에사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비새치 울멍 ‘아이고, 문도령 야 이거 지알에 날 셍각허영 앙오켄 헌 것이, 야 이거 언약{言約}헌 디가 잇이난 나를 잊혓구나.’ 비새치 울멍 문도령 장게 갈 떼 입을 관복엔 허난 야 도폭{道袍}을 지우멍 [음영] 도폭 마주막 안썸{안섶}에 청비 야 이름을 수를 세겨가는굿나. 도폭을 지언 그떼에는 야 주모할마님은 도폭을 갖언 부연질을 부연줄로 [음영] 야 이거 옥황에 도올란 [말] 문도령신디 간 “아이고, 저 이거 입어봅센.” 허연 문도령님을 입지난, 마지막에 문도령이 도폭을 입으멍 입언 안썸 안을 메젠 탁 허게 바려보난, 청비 이름 석자가 싹 허게 이거 수꼿을 이거 세겨져시난, “할마님아, 이거 누게가 입언 지은 도폭입니껜?” 허난, “야 지알에 청비 우리 집이 수양 애기가 지은 도폭이옌.” 허난, [음영] ‘아차 나가 지알에 청비 지금지 잊혀졋구나.’ “할마님아, [음영] 청비신디 강 이 밤 저 밤 새에, 야 문을 열렌 허건 옥황에 문도령인 중 알앙 문을 열려줍센 허영 강 일러줍센.”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여 어어 할마님은 오란 “청비야 [말] 어떵 허난 니 지은 도폭을 입단 이건 누구가 지은 도폭이꿴 허난 아이고 지알에 청비 니가 [음영] 야 이거 지은 도폭옌 허난 야 옥황 사름이난 이 밤 저 밤 야 이거 이 밤 저 밤 새에 [말] 문을 열렌 허건 하늘 옥황 문도령인 중 알앙 문을 열려도렌 허여라.” 아야 “알앗수덴.” 허연 아닌 게 아니라 이 밤 저 밤 [음영] 새예 뒈난 야 이거 창문 밧것딜로 엇인 듯이 군멜{(+그림자를)} 비추와 간다. [음영] “하늘 옥황 문도령이메 문을 열려줍센.” 허난, [말] “아이고, 하늘 옥황 문도령님이민 [음영] 야 이거 문도령 따문에 정이 엇인 정수남이 움막에서 죽어시난 야 옥항 사름이니 옥항 서천꼿밧 들어강, 사름 살릴 꼿이나 헤여다 주민 문을 열려주켄.”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여 따시 제처 문도령은 옥항에 도올란 서천꼿밧 들어간 말 을 꼿 피 오를 꼿 오장육부 오를 꼿 [음영] 사름 살릴 꼿 헤여다 주난 [말] 야 이 밤 저 밤 새예 네려산 “사름 살릴 꼿을 헨 왓수덴. 문을 열려줍센.” 허난, [음영] 야 그뗀 야 이건 야 차 이거 문을 열련 [말] 사름 살리는 꼿만 확 허게 받아앚언 문을 톡 닫으난, “어떵 허난 사름 살리는 꼿을 허민 문을 앙 상봉을 허여주켄 허난 어떵 허난 또 문을 닫암신?” 허난, “문도령님이건 야 이거 창궁기로 상손가락을 네물민 알쿠덴.” 허난, 야 창궁기로 상손가락을 톡 허게 문도령이 네무난, [음영] 침데질 허던 바농으로, 꼭꼭 삼시번 찔러부난, 야 피가 끈 나난, 문도령은 옥항 사름이메 부정이 탕심허연 옥항드레 상천허여 불엇수다에-. 상천허여부난 그떼예는 뒷날은 주모할마님 [음영] 아이고 영영 허연 “야 문도령 오라시닌?” 허난 “아이고, 할마님아. 그런 것이 아니고 나 이만 저만 허연 아방 눈에 리 나곡 어멍 눈에 신지 난, 야 이거 야 옥항에 도올란 사름 살릴 꼿지 헤오렌 허연 헤오란, 야 이거 [말] 아멩헤여도 인연이 아니 뒌 것 가트난 침데질 허단 바농으로 상손가락을 세 번 찔런 네물렌 허연 찔르난, 옥항드레 도올라 불엇수덴.” 허난, “아이고 니 헹실도 나쁘다. 니 헹실이 오죽헤여사 어멍 눈에 리 나곡 아방 눈에 신지 나느냐. 나 눈 벳깃디도 어서 나고 가렌.” 허여가는구나에-. 그떼예는 청비 아기씨 상전임은 사름 살릴 꼿 허연 주막{(+&움막&의 잘못.)}으로 안 들어간 뻬 오를 꼿 오를 꼿 말 을 꼿 피 오를 꼿 오장육부 오를 꼿 [음영] 근근 놘 소낭 목쳉이로 삼시번을 확 허게 후리난 야 움막 안네서 야 정이 엇인 정수남이 “봄이라 너미 잔 오 자졋구나.” 와들랑이 도살아 나옵데다에-. 정이 엇인 정수남이 살려근 집으로 안 들어간 [음영] “아버님아 어머님아, 정이 엇인 정수남이 살련 오랏수덴.” 말을 허난 [음영] “아이고 다다 허여가난 기집년이 남도 낫져. 독험도 독허다. 야하 어떵 사람을 죽이곡 살리느닌, 어서 우리 야 셍전 눈 벳깃디 나고 가렌.” 허난, 정이 엇인 정수남이 살령 오라시민 어머님 아버님 야 이거 받아드려 주카부덴 허단 보난, 더 구박을 허난 아명허민 나 살아지리야. 그떼에는 야 이거 독허게 아방 눈에 리 나곡 어멍 눈에 신지 난, 아명허민 야 집안간 들여 맞으랴. 설 적에 두 설 적에 열 설 열다섯 입단 옷 입성 싸앚언 나갈 길이 어딜런고 동으로 들어서 서으로 난다 서으로 들어 동으로 난다. 나던 나고 나단 보난 [음영] 삼도전 시커리 궁여 선여청 찾안 비새치 울엄시난, [말] “아이고, 어떵 허연 울엄신?” 허난, “그런 것이 아니고 하늘 옥항 문왕성 아덜 문도령님 야 청비 [음영] 야 지알에 청비 따문에 상삿병이 난 신엣 병이 나시난, 청비 먹던 물이라도 떠오렌 허연 야 비새치 앚안 울엄수덴.” 허난, “야 게민 나도 청비 먹 야 물을 떠줄 떼니 나도 찌 부줄을 탕 옥황에 도올를 수가 잇겟느녠?” 허난, “어서 걸랑 기영 헙서-.” 포주박에 물을 떤 부줄을 탄 [음영] 아이고 여기는 문도령 아바님 어머님 이건 문도령 눈 방안이 뒈엿수덴 허난 초경 이경 야사삼경 깊은 밤이 뒈난 야 청비 아기씨는 [음영] 아기씨 사 아기씨는 야 문도령 야 사는 방 앞으로 간 [말] 초경 이경 야사삼경이 뒈난, 야 휘양나무 우티 올라간, 휘왕찬란허게 초싱이 떠올라가난, [음영] “저 달은 곱긴 곱다만은, 달 가운데 게수나무 박히고 하늘 옥황 문도령만이 얼굴이 곱지 못 허덴.” 서창허게 야 노레를 불러가옵데다에-. 놀레를 불러나 가는굿나. 불러가난 [음영] 야 그뗀 야 “이건 야 [말] 요상헌 말이로구나.” 그떼는 밧갓디 문을 확 허게 안 나오란 보난, “귀신이냐 셍인이냐? [음영] 귀신이건 옥황드레 도올르곡 셍인이건 낭 알르레 네려오렌.” 허난, “아이고, 난 지알에 청비가 뒈덴.” 허난, [말] “청비건 낭 알르레 네려오렌 저.” [음영] 낭 알러레 네려오는 건 보난, 아닌 게 아니라 지알에 청비가 뒈엿구나에-. 그떼에는 방으로 안 들어간 니 사랑 나 사랑 베풀어가는 것이 [음영] 야 낮이는 펭풍 뒤에 야아 살리곡, 밤인 뒈면, 방에서 부베간법 마련허영 살아가는 것이 [음영] 야 엿날은 세숫물도 떠당 야 궁여청덜 주민 더 더러와지곡, 야 수건귀도 귀야지만 젖단 양 귀야지 젖어가는구나. 서수왕에선 [음영] 막편지 갖어 들이렌 저저 야 이거 [말] 를이 바쁘게 연락을 오라가곡 헤여가난 야 아니 뒐로구나. 를날은 청비가 문도령신디 “야 설은 낭군님아, [음영] 아명 우리가 이거 기냥 지네영은 [말] 아니 뒐 거난, 아바님신디 강 예숙이나 제꼉 옵서.” [음영] “미시거옌 강 예숙을 제꼉 오느닌?” “야 아바님신디 강 묵은 것이 다 좋덴 허건 서수왕에 장게 못 가켄 허곡, 아버지가, 야 새것이 좋덴 허건 날 놔동 서수왕에 장게 들엉 삽서-.” “어서 걸랑 기영 허겐.” 허연 문도령이 [음영] 아바님신디 간 “아바님아 아바님아. 예숙 제낄 일이 잇습니다.” “먼 예숙을 제끼겟느냐?” “아바님아, 묵은 장 맛이 좁니까 새장 맛이 좁니껜?” 허난, “산뜻헌 맛은 묵은 장이 좋아도 깊은 맛은 새장만 못 헌다.” “묵은 옷이 좁니까 새옷이 좁니껜?” 허난 [음영] “산뜻허게 입엉 번 나가는 건 야 새옷이 좋아도 방장 이 야 방장 무장 입는 건 묵은 옷만 못 허다.” “새 사람이 좁네까 묵은 사람이 좁네까?” [음영] “루 풋사랑은 새 사람이 좋아도 방장 무장 기냥 싸우멍 튿으멍 갈리멍 엎으멍 데쓰멍이라도 허게 사는 건 묵은 사람만 못 헌다.” [말] “아바님이 다 묵은 것이 좋덴 허민 나 서수왕에 장게 못 가게 뒈엿수다-.” 그떼예 “이거 미신 말이러냐?” 그떼예는 문곡성 아바님이 [음영] 청비신디 완, “야, 청비야 너가 우리 집이 메누리가 근시 야 적실허덴 허면, 야하 벡단싯풀 잉얼잉얼 피와놩 칼썬다리를 바라 낫곡 야 곱게 발아 들면 메누리로 야 받아 들이켄.” 허난, 어디 영이라 거역헐 수 없어 벡탄숫불, 잉얼잉얼 피와노는구나. 청비가 명청{明天} 뜬 하늘님아 벡탄숫풀 잉얼잉얼 피왕 [음영] “칼썬다리{(+신칼점의 하나로 칼날이 모두 위로 향한 점괘.)} 발아 나곡 발아 들게 헤여줍서. 랑빗발 세빗발이나 네리와 줍센.” 허여가는 것이 벡탄숫풀 잉얼잉얼 피와놘 칼썬리 [음영] 발아 낫곡 발아 오단 마지막에 야 휘 야 다 이거 발꿈치로 휘청허난 피가 긋허게 나난, 문도령 아바님이 벡탄숫풀을 잉얼잉얼 피와놘 칼썬릴 발아 낫곡 곱게 발아 들면 메누리로 받아들이켄 허난, “어떵 허난 낭네 핏네가 것듯 허느녠?” 허난, “아이고 아바님아. 모른 말 맙서. 여자라 헌 건, 열다섯 십오세가 뒈여가민 전보름 후보름 법도 마련 뒈엿수다예-.” “그 말도 들언 보난, 그럴 듯 헤여지다.” 서수왕에선 막편지 갖어 들이렌 [말] 야 르가 멀덴 독촉을 허여가난, 야 청비가 아이고 설은 문도령신디레 “설은 낭군님아 아무 떼 강 오라도 올 거난, 강 을 이거 탕 강 아멩이나 아멩이나 거기서 잔 술에 [음영] 야 이거 티가 걸엉 죽어질 거난 아무리 권헤여도 잔 술을 먹지 말앙 아명헤여도 난 서수왕에 장게 입장갈림 못 허켄 허여동 돌아상 오라붑서.” “어서 걸랑 기영 허겐.” 허연 문도령은 을 안장에 을 탄 [음영] 서수왕에 들어사난, [말] 젤 체얌은 일가방상덜이 아이고 이거 없는 웃음을 웃으멍 막편지 갖어 들이젠 [음영] “저저 네여노렌.” 헤여간다. [말] “못 가져 오랏덴.” 번은 죽일 팔 둘러간다 번은 잡을 팔 둘러간다. “야하 장게 못 오게 뒛수다.” [음영] “야, 막잔이여 첫 잔이여 마지막으로 게민 이별주여 작별주여 잔이라도 잔 받앙 가렌.” 허여도 나오 뿌리쳔 나오는 게 먼정 올레 들어사난 코 착 눈 착 없는 열두 빙신 뒌 사람이 [말] “아이고, 나 술이라도 받앙 갑센.” 하도하도 [음영] 권헤여 가난, 야 그럴 수 없언, ‘야하 겜으로사 [말] 야 벡비 벡보 벳깃디 나오랏는디 나가 잔 술에 죽어질 일이옌.’ 허연 하도 권에 부데껸 야 이거 잔 술을 먹은 게, 아 알르레 툭 허게 털어지난 죽음이 뒈난, 은 역마이 김승이난 만 집이 오랏구나에-. 청비, [음영] 야 만 집이 오라시난, ‘아이고 설운 낭군님 이만허민 죽엇구나. 어떵 허리.’ 그떼예는 야하 청비 [음영] 을 탄 간 보난 아닌 게 아니라 [말] 쏙곡허난 죽어시난 우터레 야 이거 문도령 테와단 방 안네 눅져 놓아간다. 놓아두고 문도령 죽엇덴 허난, 아이고 이거 동네 금방상 일청년 일남자덜 [말] 청비가 하도 얼굴이 고와지난, ‘나도 번 말을 아보저. 얼굴을 보저.’ 영 허여가는 게, [음영] ‘아이고, 나가 음을 독헤여야 살주 이데론 아니 뒐로구넨.’ 영 허여근 를날은 여허 무쉣를 헤여다 무세 베길 허여놓아 간다. 허연 허연 이거 앞이서 먹언 허멍 [음영] “야, 이거 독험도 독허다. 야 우리 이거 두 번 다시, 야 이 여자영 말을 헐 수가 없는 거렌.” 허연 동서르레 다 도망치다시피 허여가는구나. ‘이만허민 어떵 허리. 엿날, 정이 엇인 정수남이도 움막에서 죽어 서천꼿밧 들어가 사름 살리는 꼿 허여다가 사람 [음영] 살려 놓아나시난, 야 나도 [음영] 야 서천꼿밧을 앙 강 아멩이나 사름 살리는 꼿을 헤여당 문도령을 살리주긴.’ 영 허시여 그떼에는 청비 남자로 남자 허, 려 앚언 을 탄 가단 보난 [음영] 죽은 학이새가{(+鶴이)} 잇이난, “야 어느 것이 서천꼿밧고?” 허난 “요것이 서천꼿밧옌.” 허난, 죽은 학이새를 서천꼿밧덜 가운데레 휙 허게 데껸 야 이거 서천꼿밧디 야 이거 넘보노렌 영 허난 그떼예, 그떼예는 [말] 야 이거 마침 서천꼿밧디 푸성감덱이 “어떵 허난 놈이 서천꼿밧을 넘보느녠?” 허난, “야 그런 것이 아닙네다. 아가는 학이새를 화살에 맞촷는디 서천꼿밧 저 가운디 털어젼 그걸 야 보젠 헴수덴.” 허난, “경 안 헤여도 학이새가 우리 서천꼿밧디 들엉 마딱 금뉴울꼿을 주어 부는디, [음영] 야 번 너 제주도 제주다. [말] 아보젠.” 허연, 푸성감덱영 찌 앙 간 보난 아닌 게 아니라 씨 멸망시길 야 수레악심 불러주는, 학이새가 서천꼿밧데 화살에 확 꼬주완 탁 허게 가운디 떨어졋구나. “너 제주도 제주만 허난 우리 집이 원사우로 들어사라-.” “어서 걸랑 기영 헙센.” 허연 그떼예는 청비 서천꼿밧, 부성감집이, 원사우로 들어산다. “서천꼿밧 구경간 요 꼿은 미신 꼿입네까?” “말 을 꼿, 이 꼿은 피 오를 꼿, 오를 꼿 오장육부 오를 꼿 뻬 오를 꼿이로다.” [말] 그걸 오독독기 꺼껀 딱 가슴에 품언, 전보름 후보름 살아도 남자 전례를 안 헤여가난, 서천꼿밧 부성감칩 이 를은 아버님신디 간, “아이고 아바님아, 원사우도 잘 허엿수다. 전보름이 넘은 들 후보름이 넘은 들, 야 어떵 허연 남자 구실을 못 헤염수겐.” 헤연. 야 허난 그떼에는 청비를 불러다 “어떠 허난 너 결혼허건 디가 전보름 후보름 넘어도, 야 이거 남자 구실을 안 허느냐?” 허난, “아이고 아바님아 장인어른님아, 그런 말을 맙서. 넬 모리 서울 상시관에 과거 보레 가젠 허난 몸정성을 허염수다.” [음영] 아이고 그 말도 들언 보난 그럴 듯허다. 를날은 어어허 서천꼿밧 [말] 야 이거 서울 상시관에 과거 보레 가게 뒈난, 부성감칩이 이, 아이고 청비신디 “아이고 설운 낭군님아, 결혼헤여낭 안적은 얼굴도 알까말까 허는디, 강은에 일년사 살띠 이년사 살띠 삼년사 살띠 몰르난, [음영] 용얼레기 반착 똑기 꺼껑은엥에 본메본짱으로 줄 테니, 요 걸 갖엉 이러 이루후제 [말] 당신도 반착 나도 반착 갖엉, 이루후제, [음영] 일년이 뒈엿건 이년이 뒈엿건 삼년이 뒈엿건 [말] 야 날 앙 오랑 본메본짱 네여놉센 헤영, 진꾹진짱 맞이민 설운 낭군으로 받아들이쿠다.” “어서 걸랑 기영 허게-.” 그걸 갖언 청비 집으로 돌아오란 [음영] 야 사름 살릴 꼿 허연, 문도령 살려근 [음영] “아이고 설은 낭군님아, 설은 낭군 살리젠 [말] 서천꼿밧 부성감집이 나 남정네로 련, 야 이거 원사우로 헤여시난, 그디랑 전보름 이디랑 후보름, 야 영 허멍 가멍오멍 기자, 큰각시네 집으로 족은각시네 집으로 멩이나 오레 잇엉 삽센.” 허연 보네연 나두난, 전보름 뒈여도 아니 오곡, 후보름 뒈여도 아니 오곡, 아이고 예 이 뒈여도 아니 오곡 두 이 뒈여도 아니 오곡 석 이 뒈여도 아니 오라가난, ‘아이고 요 놈으 근 놈 어떵 허염신고? 번이나 앙 강 보저.’ 허여근엥에, [음영] 야 그뗀 열두 복 홋단치마 곱게곱게 단장허여 앙 간 보난 [말] 아이고 이거 뭐, 남자는 남자는 웨음, 가는 거 가민 간 딧 음 오민 온 딧 음, 눈 번 큰각시 가시난 눈도 번 영 버롱이 턴 아니 보난, [음영] 아이고 이만 허민 나 살아지리야. 영 허여도 이거 [말] 영 헤도 소식 안 오곡 정 헤도 소식 안 오난 이제 가분 거주. 영 허연 아이고 이제는 ‘이왕지서 와시난 [음영] 인간에 네려사젠 허민 열두 시만곡 씨나 갖엉 강 야 이거 세경땅에 야 이거 씨뿌령 농서나 허영 살기 마련허주긴.’ 영 허여근 염주 실농씨 들어 간 [말] 열두 시만곡을 다 받안, 말젠 모멀씬 젤 말제 받안, 어딜 놓고. 놀 디 엇이난, 엣따 모르겟다 소중길 확 벗언, [음영] 야 이거 모물씨 놔난 법으로 모물씨는 늬귀 나귀 소중깃귀 뒈엿수다. 오단 보난 지알 네려사단 바려보난 그떼예는 일곱 쉐 일곱 장남 [말] 밧가는 디, “아이고 넘어가는 길손인디 정심이나 먹단 거…….” “아이고 우리 집이 장남 줄 것도 엇덴.” 허난, 아이고 요 밧디랑 기자 첨 부젯칩이 밧이여만은 밧갈당 벳보섭에 쌀기쌀성도 [음영] 불러주어불곡, [말] 장남덜 기자 갑자기 밧갈당 막 베아팡 광랑잇징 들리게 헤영, 베도 아프게 헤여 불렌 허곡 검질씨도 지어 불게 허라. 오단 보난 노인 부베간 [말] “아이고 어떵 허민 뒙네까?” “아이고 우리는 기자 두 늙은이가 죽도록죽도록 농서를 헐 게 잇습니까. 기자 거른이 공 거른 공으로 자 기자 부지런헌 공으로 일년 네네 농서 지엉, 감은 암쉐에 기자 잔뜩 짐 실으민 맙니덴.” 허난, 요 밧디랑 오곡 난열 육곡 번성시겨 주기 마련헌다. 집으로 들어산 바려보난, 정이 엇인 정수남이가 벳깃딜로 저 문에 가난, [말] 아이고 아바님은 아니 볼 뗀 죽일 팔로 헤여돈 막상 보난 못 허연 “아이고 아기씨 상전임아, [음영] 아바님도 죽은 디 오레엿수다 어머님도 죽은 디 오레엿수덴.” 허난, 아바님이랑 제석하르바님으로 들어상 상 밥읍서. 어머님은 제석할마님으로 [음영] 들어상 상 받읍서. 정이 엇인 정수남이랑, 칠월 열나흘 벡중사리로 들어상 상 받기 마련헌다. 또 이젠 청빈 세경신중 마누라 들어사근 이 순덜 만민순덜 세경땅에 농업허영 살기 마련시겨주던 세경 은덕 아닙네까. 세경본풀이]비념 살아서도 세경이 덕 죽어서도 세경이 덕 헹궁발신 허기도 세경이 덕입네다. 먹엉 먹고 입고 살아가기 세경이 덕입니다. 세경땅에 농업허기 공업허기 좋은 농서허여 살기 세경이 덕 아닙니까만은 옛날 남원읍 저 경줏김덱에도 엿날 [음영] 야 이거 독자로 독자로만 네려오단 씨아이 든섯님 하르바님 떼부떠 아덜 니 성제 탄싱허연 바리로 [말] 도 벡 쉐 쉐도 벡 쉐 야 수장남 수벨캄을 거니리연 천하거부로 잘 살아오던 집안입네다. 또 이 양덱으로도 제주시에 살아도 옛날은 세경에 마딱 농서허연 살앗수다. 영 허시난 이 순덜 하다이 금년 양씨 안전 든섯님 금번 [음영] 야 세경땅 저 요왕도 세경이요 저 요왕 한강 바당을 는 비헹기 탕 아가곡 아오곡, 퍼짝허민 일본 가곡 퍼짝허민 고향 오랑 이거, 요 일 허염수다 영 허난, 하다이 오고가는 길에 세경땅에서 야 넘어질 일 푸더질 일 넉날 일 혼날 일 [음영] 나게 맙서 일본 주년국 저 아기덜 구루마{자동차} 탕 뎅기당 어느 구루마에 찍구 당헐 일덜 겍지{客地}에서 넉날 일덜 나게나 맙서. 어느 야 지전소 탄기 지전소 탕 뎅기다 는 구루마에 오도바에{(+오토바이에)} 인빨에 넉날 일 혼날 일 겁날 일 인명 축허곡 제명 낙루헐 일 나게나 맙서. 이 순덜 [음영] 이거 옛날 흩어분 금전 제물 돌아오게 세경에서 금전은 돈 부군 시겨줍서. 제물 부군 시겨줍서. 순 부군 시겨나 줍서. 여순덜 먹고 입고 헹궁발신{行窮發身} 시겨나 줍서. 이 순덜 가지가지 송에송에 세경에서 갑을동방 오는 엑 경신서방 병오남방 건술건방 순일러라 순일워라. 천앙 가민 천왕손 지왕 가면 지왕손 인왕 가면 인왕손 곳불 헹불손에 염질{染疾} 토질{吐疾} 상한{傷寒}아 열병 꿈에 선몽{現夢}허고 낭에일몽{南柯一夢}헐 일 [음영] 주사야몽{晝思夜夢} 들일 일덜 막아가며 세경신중 낭에 야 마누라서 이 순덜 야 돈 부군 제물 부군을 멩과 복을 다 제겨줍서-. 세경본풀이]주잔넘김 [장구를 멈춘다.] 세경신중 과광성 난소셍 신을 풀엇습네다. 세경신중 난소셍질로, [지사빔][장구를 다시 치기 시작한다.] 받다 남은 주잔 저먼정 나사면 동경 가림페 서경 부림페에 놀아오던 일소장 천앙테우리 지왕테우리 인왕테우리덜 일소장에 이소장에 삼소장에 놀던 테우리청덜이나 제주시 조천 선흘목장 손당목장에 성읍리 목장에 테양리 목장에 놀아오던 테우리청덜 벳보섭에{(+벳과 보섭에)} 쌀기쌀성 불러주곡 광랑잇징 불러주던 테우리청덜 주잔헙네다 야 정이 엇인 정수남이 정술덱이 뒤으로 일월 정월이여 이월이여 삼월이여 월이여 오월 유월청덜 저먼정 주잔헙네다 어는 제랑 세경 난소셍 신을 풀어 얻어먹저 수장남에 수벨캄에 펫보섭에 놀아오던 테우리청덜 저먼정 주잔권잔 드립네다. 세경본풀이]산받음 [장구를 멈춘다.] 주잔권잔 드려가며 세경신중 마누라에서도∼, [제비점] 이 순덜 입을 연 먹을 연, 아명이나 둘 셋 넷 다섯 열두 방울. [아리가도 고자이마쓰.] [본주 : 아이고, 아리가도 고자이마쓰.] 고맙수다 영 허민, 아명이나 세경에서 울고 물 어느 순 세경에 발 벋어 앚앙 울고 물 어느 순 아기로 허영 울고 물 일이나, [제비점] 엇어지곡∼, 하나 두게 세게 네게, 세경신중에선, [제비점] 옛날 경줏김덱에, 부제로 살고, 섯, 넷, 열 방울. [아이, 아리가도. 영 봅서만은양, 저 지금지는 멧년깐, 웨팔방문이 딱 닫현 운이 딱 닫혀분 넉시라. 굿 헷덴 허는 것이, 이 기훼{機會}를 잘 탄 굿을 허염수다, 삼춘. 기훼를.] [본주 : 눤 자단 두렁청이{(+갑작스럽게)} 굿 허염주게(웃음)] [예. 아니, 기훼를 잘 탄 굿 헤염수다.] [본주 : 아이고, 고맙수다.] [이 저, 굿도양 무지껀 헷덴 뭐허는 것이 아니고, 이 첨 리를 잘 탄양, 봅서만은 지금지는 모든 것이 머 뒛수다만은 아까도 앗주만은, 끔영 가지 소원씩 일루와줭, 겐찬으쿠다. 굿 굿 헷덴 경 허는 것이 아니고, 굿 헌 덕을 보쿠다양.] [본주 : 아이고 고맙수다.] [첨, 인간, 인간으로도 기뿐 소식이요 돈으로도 기쁜 소식이요. 지금진 막양 멧년깐 막 답답허게 살앗수다게. 예, 멧년깐. 견디양, 게난 오죽 라 헷과게. 궨찬으쿠다. [본주 : 우리 집이 조케도 끔 봐줍서.] 조케 조케∼, 영등산에 덕들 남, [(조카며느리에게) 메자 멧 설이꽈. 아방 멧 설이꽈.] [칠십 나.] [예?] [칠십나.] 이른하난∼, 김씨로 이른하나님 뒈엿수다. [산판점] 몸이나 펜안허곡∼, [산판점] 허는 일이난, 영 허민 삼시왕 군문질로, 좋아 군문, [산판점] 영 허면, [산판점] [몸이 쪼끔 안 좋던가양, 아방이. 예.] [본주 : 눳수게.] [양] [본주 : 누원.] [게메 나가 압니까, 눠신디 앚아신디게. 쪼끔 가진 이런 넉시라.] 몸이 안 좋안, [어멍은 멧이꽈?] [조카며느리 : 둘마씀.] [칠십 둘] [조카며느리 : 나 알.] [성은 미신 것과?] [조카며느리 : 오씨.] [오씨.] 오씨로 이른둘님이나∼, [산판점] [다리엣 병은 뭐 아는 병이난.] 아는 병이난 헤여도, [막 어제께도 말 들으난 막 아뎅겸젠만 헴수다만은양, 돈으로도 손헤여 사름으로도 쫌 손헤여, 저 쪼끔 가지는 운이라양. 겨곡 아방도, 에 몸이 쪼끔 안 좋수다.] [조카며느리 : 안 좁니다.] [예. 몸이 안 좋아. 게난, 병원에도 잘 뎅기곡 어멍은 아픈 다리는 수가 없는 거라 이거, 이건. 아는 병이난 헌디, 아방이 쪼끔 안 좋아마씨. 예.] [본주 : 막아줍센 헤줍서.] [막아불민 살아집니까 터불어사주.] [웃음] [아덜 멧 살이꽈?] [조카며느리 : 저 족은아덜 말고 큰아덜 장게 안 간 것도 잇인디게.] [에, 장게사 미신 안 가는 거 미신. 저양…….] 큰아덜 마은둘이나∼, [산판점] [족은아덜은?] [조카며느리 : 마은마씀.] [ 설 머지로구나게양.] [산판점] [조카며느리 : 두 설 머지.] [두 설 머지. 아 마은.] [조카며느리 : 예.] [산판점] [야이도양, 올리{올해}, 올리양 미신 걸 상은에 막 기냥 이름을 날리와불던가, 경 아니민 점 장겔 보네영 집안에 운을 께여 불던가, 경 안 허민 네년지 이 아덜이 장게 못 가민 아방이 지든가 아덜이 지든가 끔 집안에 어멍이 끔, 막 드 끔이 아니고 끔 하영 들 일이 있어. 예.] [조카며느리 : 아덜. 아덜 세각시만 시만 갈 거주만은 저놈이 세끼가 가지 아녀켄 허당 올린 가켄은 헙디다게.] [게난, 경 허고예, 경 허곡, 자꾸 그 헤말림이, 헤말림이 자꾸 뒈부는 거라. 예.] [조카며느리 : 장게를 가벼사.]{(+가버려야)} [예.] [조카며느리 : 풀어질 거주게.] 세경본풀이]제차끔 세경 난소셍 과광선 신풀엇수다. 불법이 우주가 뒈엿수다. 불법전이랑, 불법전드레 위가 돌아 가겟습네다. 나 영{(+이렇게)} 굿 헤엿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