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보자는 전일에 박어사담(박어사를 살린처녀)를 해 주었었는데, 이번 부에도 역시 박어사담을 하겠다며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본 설화의 일분은 전일(1979. 5. 18)에 수유노인정에서 김용규 노인이 해 준 꼽째기이야기와 유사한 내용이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5.19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강성도 -
앞서 제보자는 김치열 노인과 함께 미련한 곰에 대해 여러 가지 얘기를 들려 주었다. 조사자가 미련한 사람 얘기 좀 해 달라고 하자 미련하다기""보다는 기억력이 아주 없는 사람 얘기를 하겠다며, 두 개의 내용을 한꺼번에 제공해 주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5.13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용규 -
제보자는 논매기 노래에 이어, 본 민요를 제공해 주었다. 이 노래는 남녀 구분없이 부르며, 여자들은 주로 밭 맬 때 부르나, 남자들은 모심을 때 부른다고 한다. 가창 방법은 서로 같은 가사와 곡조를 주거니 받거니 받으면서 부른다고 한다. 원래의 명칭은 상사소리라고 한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7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전승권 -
앞서 한 제보자가 가오리의 유래에 대하여 얘기하자, 제보자는 벌리(번동)의 유래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하면서 본 자료를 제공해 주었는데, 이 이야기는 다른 노인정에 놀러갔다가 한 노인에게서 들었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할 때 제보자가 녹음을 의식하지 않고 방담을 하는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5.06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현이호 -
제보자는 강성도 노인이 먼저 수수께끼를 푼 아지를 얘기하는 중, 수수께끼 그림의 노인이 자기와 같은 늙은 홀아비라 하자, 역시 늙은 홀애비 얘기인 이 설화를 기억해 내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5.19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장수 -
앞서 한 제보자(김용규노인)가 건망증이 심한 사람에 대한 얘기를 하자 제보자는 거짓말을 잘 하는 사람 얘기를 하겠다면서 봉이 김선달의 얘기를 제공해 주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5.13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치열 -
짧고도 우스운 얘기를 연이어 몇 편 들려 준 제보자는 그런 얘기는 어린애들도 데리고 하는 얘기므로 별 가치가 없다면서, 젊었을 때 고향인 경남 하동에서 들었다는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옆에서 듣던 한 노인은 제보자의 기억력과 얘기를 이끌어 나가는 재질에 놀라기도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6.20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강성도 -
앞서 짧으면서도 재미있는 얘기를 두어 편 얘기해 준 제보자는 그런 얘기는 얼마든지 해 줄 수 있다면서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6.20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강성도 -
조사자가 동화를 들려달라고 청하자 제보자는 곧 본 설화를 기억해 내어 제공해 주었다. 그러나 제보자는 동화 같은 것은 아주 시시한 얘기라고 말하기도 했다.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1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6.20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강성도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1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공명수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1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1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1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1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7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7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동헌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7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용배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설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7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서안열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18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권경호 -
사업구분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조사지역 도봉구 자료구분 민요 채록시도 서울
조사일시 1979.03.25 조사자 조희웅, 이영성, 양혜정 제보자 김해식
입력기
-
부수 검색
-
획수
-
한자목록
| 옛한글 | 입력방법 | 옛한글 | 입력방법 |
|---|---|---|---|
| ㅿ | Shift+ㅁ(또는 ㅁ.) | ㆁ | Shift+ㅇ(또는 ㅇ.) |
| ㆆ | Shift+ㅎ(또는 ㅎ.) | ᄼ | Shift+ㅋ(또는 ㅋ.) |
| ᄾ | Shift+ㅌ(또는 ㅌ.) | ᅎ | Shift+ㅊ(또는 ㅊ.) |
| ᅐ | Shift+ㅍ(또는 ㅍ.) | ᅔ | Shift+ㅠ(또는 ㅠ.) |
| ᅕ | Shift+ㅜ(또는 ㅜ.) | ㆍ | ㅏㅏ |
-
마우스로 한자를
써주세요인식한자-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취할취
90%
-
醉
도움말
닫기한자 및 옛한글을 검색어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기능을 제공 합니다.
한자부수 입력
1. 검색할 한자의 부수의 획수를 알고 있으면 부수검색 > 부수를
선택합니다. 아니면 전체 부수에서 선택합니다.
2. 부수를 제외한 나머지 획수를 ‘획수’
목록에서 선택하면 우측에 부수를 제외한 획수에 해당하는 한자목록이 표시되고 한자를 선택하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
한자음가 입력
1. 검색 하고자 하는 한자의 한글 자음을 선택하면 각 자음의 한글음이
표시됩니다.
2. 한글음을 클릭하면 이에 해당하는 한자 목록이 우측에 표시됩니다.
3. 한자목록에서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를 클릭 하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
4. 위의
검색과정을 거쳐서 여러 한자의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옛한글 입력
1. 화면 안내에 표시된 키보드 조합으로 검색할 옛한글을 입력 합니다.
2. 옛한글 입력시에는 키보드의 ‘한/영’ 키를 한글 상태로 두어야 합니다.
3. 입력한
옛한글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