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자 권도경(우석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비애정류 전기소설”의 16세기적 전변작으로서 <대관재기몽>이 지니는 전기소설사적 의의는 “비애정류 전기소설” 작품 목록 확충, “비애정류 전기소설” 중심의 16세기 전기소설사적 차별성
-
- 작성자 송명진(서강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러시아 한인 사회에서 발간된 『권업신문』의 역사·전기소설에 대한 본고의 연구는 그동안 애국계몽기로 한정되어 연구되었던 역사·전기소설 연구의 지평을 확대했다는 의의와 더불어 1910년대
-
- 작성자 권도경(우석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애정전기소설 양식적 미학의 전변 국면이 지니는 시대사적 의의이다.
-
- 작성자 엄태식(숭실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즉 애정전기소설의 여주인공은 처와 첩의 역할을 한 몸에 떠안고 있었던 것인데, 바로 이것이 애정전기소설이 비극적으로 마무리될 수밖에 없는 이유였다. 17세기 중반에 이르면 애정전기소설이
-
- 작성자 이학주(강원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 목적은 전기소설의 판타지를 통해서 전기소설의 주제를 부각하기 위한 설정이었다.This study deals with the writing technique of novel using
-
- 작성자 주수민(한국학중앙연구원 전통한국연구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본고의 논의를 통해 유구한 역사 속에서향유된 전기소설 작품들의 존재 현황을 종합적으로 살피는 가운데 한국 고소설의 배경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제고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is study
-
- 작성자 엄태식(조선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요컨대 전기소설의 奇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그에 따른 비극적 결말은 한국 전기소설의 서사 문법이며, 그 기저에는 儒家的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김시습의 『금오신화』는 모두 비극적 결말이고
-
- 작성자 김승호(동국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따라서 전기소설의 全體相을 위해서라도 불교전기소설의 유형적 설정이 필요하여 그 나름의 서사적 특성을 구체화시킬 필요가 있다.This work is a study of typical
-
- 작성자 정학성(인하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합성되어 있는 작품 내용 및 형식 상의 이중적 성격과 함께, 순절을 미화하는 사대부적 이념을 벗어나지 못하면서도 그 비극적 희생을 비판적으로 형상하고 있는 작가의 이율배반적인 의식 및 전기소설로서
-
전기소설' 개념 변천' style="display:none;">다이쇼・전전 쇼와 시대의 일본 '전기소설' 개념 변천
- 작성자 박기태(교토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まさに戦前は、「非日常的な内容で想像力を刺激する」という「伝奇小説」概念の共通部分と、「何を伝奇小説として、伝奇的なものとしてみなすか」という差集合が明確化した時期であったのである。
-
- 작성자 정길수(인하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구운몽』은 17세기 소설사의 주요 흐름, 즉 비판적 지식인의 현실 인식을 담은 전기소설과 하층민의 새로운 세계인식이 투영된 중편 국문소설에 대한 반론의 성격을 띤다.
-
전기소설' 개념의 변천' style="display:none;">메이지 시대 '전기소설' 개념의 변천
- 작성자 박기태(교토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 결과 오시카와 슌로에 의해 1903년에 ‘상상력을 자극하는 신기한 소설’로서의 ‘전기소설’ 용법이 탄생했다.This paper is about the change of the concept
-
- 작성자 이학주(강원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런 자산계승이 후대로 계속됨을 알 수 있었다.이런 전기소설이 가지고 있는 글쓰기치유로서의 자산계승은 실제 작품에서 유형화 하여 나타나고 있었다.
-
- 작성자 이시찬(청주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 話本體傳奇小說有三個特點:其一, 文本內容的簡潔化和史傳體的稀薄化傾向。 其二, 話本體傳奇文本中增加了對話體以及口語成分。 其三, 對人物形象的描寫的變化, 則以人物描寫的細緻化和人物角色的多樣化尤爲突出
-
- 작성자 서보현(성균관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하였다.우선 17세기 이후 애정 전기소설이 기이성을 상실했음에도 전기소설로 볼 수 있는 근거를 작품에 형상화된 사건이 현실적이지 않고 환상적이라는 것에서 찾았다.
-
- 작성자 권도경(선문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마지막으로 변심 테마를 현실적 미감으로 그려낸 작품군의 전기소설사적 맥락 속에서 <빙허자방화록>의 위치를 되새겨 보는 작업이다.
-
- 작성자 권진옥(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곡강루기우기」가 지닌 17세기 애정 전기소설사적 의의는 계승과 변모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계승의 측면이다.
-
- 상위자료 동양서 단행본
- 작성자 설홍적
- 분류 연구성과 도서
傳寄小說史동양서 단행본설홍적浙江古籍1998823.09 설95ㅈ中國小說史叢書傳寄小說史杭州 : 浙江古籍, 1998
-
- 작성자 簡鎬允(順天鄕大)
- 분류 연구성과 기타
한문전기소설과 국문소설은 결코 對立的이지도 排他的이지도 않다. 漢文小說의 經驗的 土臺 위에 국문소설이 이어졌을 것임은 당연한 귀결이기 때문이다.
-
- 작성자 최지녀(홍익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전기소설 속의 문예 작품의 서사적 역할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점점 약화되는바 「심생전」, 「절화기담」, 「포의교집」 등에 이르면 여성 인물의 신분이 중하층에 가까워지고 이들의 문해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