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자 謄寫本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 81, 담바귀타령 = 83, 밀양아리랑 = 85, 울산아가씨 = 87, 자진아리 = 89, 엮음수심가 = 91, 수심가 = 92, 쾌지나칭칭나네 = 95, 농부가 = 97, 강강술래
-
- 상위자료 국민보(國民報)
- 작성자 사장 김영내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학교공부에 바쁜 틈을 내어 그동안 꾸준히 준비한 이날 「프로그램」은 장구, 춤, 강강술래 등 한국의 고유한 고전무용과 여러 가지 민요 그리고 노래 등으로 무대를 장식하여 절찬을 받았다
-
- 상위자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문화예술_문화;문화예술_체육;문화예술_민속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강강술래 성화봉송http://archive.much.go.kr/data/03/folderView.do?jobdirSeq=1041&idnbr=20190076022017성화봉송_0087.jpg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평창 동계올림픽 순천 성화봉송 주자와 부주자들이 강강술래를하며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평창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올림픽,성화,이색성화봉송,순천만,국가정원,강강술래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4유형
-
- 상위자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문화예술_문화;문화예술_체육;문화예술_민속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강강술래 성화봉송http://archive.much.go.kr/data/03/folderView.do?jobdirSeq=1041&idnbr=20190076032017성화봉송_0088.jpg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평창 동계올림픽 순천 성화봉송 주자와 부주자들이 강강술래를하며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평창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올림픽,성화,이색성화봉송,순천만,국가정원,강강술래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4유형
-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문교부, 강강술래 무형문화재 8호 지정21966-03-14text/xml2011-12-0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2 00:00:00.000문교부, 강강술래 무형문화재 8호 지정
-
- 작성자 임동권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추석이 가까워지면 소녀들에 의하여 <강강술래>가 시작된다. 이른바 ‘아기 강강술래’이다.○진양조(선창) (후렴)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술래좋다 강강술래 강강술래달떠온다 달떠온다 강강술래동해동창 달떠온다 강강술래팔월이라 한가위날 강강술래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각시님네놀음이라 강강술래(중략)○중모리·중중모리오동추야 달은밝고 강강술래우리임생각 절로난다 강강술래임아임아 노이나마라 강강술래너줄라고 해온보신 강강술래너안주고 누구를줄까 강강술래(중략)○자진모리술래술래 강강술래 강강술래강강좋다 술래돈다 강강술래앞에가는 군사들아 강강술래발맞춰서 뛰어가세 강강술래곁에사람 보기좋게 강강술래먼데사람 듣기좋게 강강술래억신억신 뛰어가세 강강술래처음에는 진양조로 느린 가락에서 시작하는데, 이를 ‘늦은강강술래’, 또는 ‘긴강강술래’라고 한다.
-
- 작성자 황문숙(용인대학교); 유선식(용인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강강술래의 철학적 가치 탐색An Exploration on the Philosophical value of Gang-Gang-Sul-Lae강강술래의 철학적 가치 탐색황문숙(용인대학교연구의 방법은 문헌탐구의 방법으로 강강술래 관련 선행연구와 서적물을 조사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단련놀이로서의 가치가 있다.강강술래는 손에 손을 맞잡고 원무형태로 계속 춤을 추는 형식으로 많은 체력을 필요로 하며, 신체단련이 되는 놀이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남자와 여자, 태양과 달, 좌우, 하늘과 땅, 삶과 죽음 등 강강술래는 음양이 화합 상생하는 의미가 있고, 천신과 지신에게 풍요와 생산을 기원하는 주술적 기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셋째,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의미가 강강술래에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 작성자 김혜정(경인교육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96152733-9386Article강강술래는 한국의 대표적인 놀이 노래로서 해남과 진도의 강강술래가 196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문화재 지정 전에 진강강술래, 자진강강술래와 같은 악곡 중심으로 전승되었고 부수놀이들 역시 독립된 놀이로 존재했다.이후 진도는 세대교체에 따라 새로운 놀이들이 추가되어왔지만 해남은 1975년 형태를 대체로 고수하고 있는 상황이다.그 결과 현재 문화재 강강술래 내에는 ‘해남강강술래’, ‘진도강강술래’, ‘문화재강강술래’가 각기 다른 형태로 연행되고 있다.않고 열린 구조의 강강술래를 지향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