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정조실록
- 작성자 권정안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누선을 거북선으로 고칠 것을 경상좌도 수군 절도사 최동악이 치계하다권정안2한국고전번역원경상좌도 수군 절도사 최동악(崔東岳)이 치계(馳啓)하기를, “누선(樓船)은 거북선처럼 민첩하지못한데, 본영에는 누선만 많고 거북선은 적습니다.누선 6척을 거북선으로 고치소...ITKC_JT_V0_A15정조실록1791.11.21(음)2005.12.12
-
- 상위자료 정조실록 33권[1791년]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정조실록 33권정조실록 33권, 정조 15년 11월 21일 壬辰 2번째기사1791. 11. 21.11월 21일1791년1791년 청 건륭(乾隆) 56년누선을 거북선으로 고칠 것을 경상좌도수군 절도사 최동악이 치계하다 경상좌도 수군 절도사 최동악(崔東岳)이 치계(馳啓)하기를, "누선(樓船)은 거북선처럼 민첩하지 못한데, 본영에는 누선만 많고 거북선은 적습니다.누선 6척을 거북선으로 고치소서." 하였는데, 비변사가 아뢰기를, "누선 10척 가운데 3척을 거북선으로 만들면 적절할 듯합니다." 하니, 따랐다.
-
- 상위자료 삼천리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삼천리 제10호] 거북船삼천리사(三千里社)2023. 05. 24.거북船 壬辰亂때에 사용하든 忠武公의 거북선은 실로 현대 潛航艇의 시조로 西洋에서 가장 몬저 발명하엿다는 철갑선이 西歷
-
- 상위자료 문화일보
- 작성자 김성환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996-06-19 가짜 거북선 총통 사회환경_사회 문화일보 1996년 6월 19일 문화일보 게재 김성환의 만화 「고바우영감」가짜 거북선 총통을 국보로 지정한 혐의로 수사를 받는 황동환 대령이 자살을 할 것이라며 총구로 수사관을 겨누어 황당해하는 고바우영감을 묘사한 내용임. 6월 18일 국보 274호로 지정된
-
- 상위자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문화예술_문화;문화예술_체육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강구안 선착장 거북선http://archive.much.go.kr/data/03/folderView.do?jobdirSeq=1041&idnbr=20190075162017성화봉송_0001.jpg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평창 동계올림픽 통영 성화봉송에 사용될 거북선모습이다.평창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올림픽,성화,거북선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상위자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문화예술_문화;문화예술_체육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강구안 선착장 거북선http://archive.much.go.kr/data/03/folderView.do?jobdirSeq=1041&idnbr=20190075172017성화봉송_0002.jpg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평창 동계올림픽 통영 성화봉송에 사용될 거북선모습이다.평창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올림픽,성화,거북선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작성자 박혜일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거북선 거북선 거북船 박혜일 귀갑선|수전|전투선|통제영거북선|전라좌수영거북선||돌격선|돌격용전함|철갑선 유물두 개의 거북선은 통제영 거북선과 전라좌수영 거북선인데, 이 가운데 통제영에 있던 거북선이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에서 유래한 것이며, 다만 치수에 가감이 있다고 하였다.흔히 ‘통제영(統制營) 거북선’과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거북선’으로 불리는 것이다.따라서 임진왜란 때의 거북선은 이순신과 그의 부하 군관들이 종래의 거북선을 개조하여 실용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두 번째 문제는 거북선이 과연 ‘철갑선’인가 하는 점이다거북선 축제전라남도 여수시는 거북선을 하나의 축제로 승화시켜 ‘여수거북선축제’를 매년 시행하고 있다. 이 축제는 1967년부터 시작하여 2013년 현재 47회에 이르고 있다.
-
- 작성자 김상배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거북선해진도 거북선해진도 ─船海陣圖 김상배 유물 거북선과 여러 종류의 전선(戰船)들의 포진상황을 나타낸 그림조선/조선 후기 김상배 그림|진도(陣圖) 미상 1점 세로 120㎝|가로 40㎝의 병풍식 10폭 해군사관학교박물관 [정의]거북선과‘帥(수)'자 깃발을 단 좌선(座船)을 중심으로 하여 거북선 43척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배가 그려져 있는데 배의 숫자는 548척이며, 첨자진(尖字陣)을 이루고 있다.조선시대, 특히 임진왜란 이후부터 조선 말기까지의 수군발전상과 거북선연구에 귀중한 사료(史料)로 평가받고 있다.
-
- 작성자 홍순구(순천향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높이해석에 의한 임진왜란 거북선 선형 연구Study on the shape for turtle ship in Imjin War by the height interpretationof Tongjeyoung Turtle Ship in 17951795년 통제영 거북선의 높이해석에 의한 임진왜란 거북선 선형 연구홍순구(순천향대학교)한국일러스아트학회조형미디어학,있을 뿐 거북선 전체의 높이나 추정할만한 근거가 되는 치수의 기록이 없기 때문이다. 4.3척의 2층 높이는 조선시대 신장이 160cm 정도의 노군이 서서 노를 젓기 어려운 높이로 거북선거북선 복원을 위해 연구된 2층의 높이에 관한 주장은 두 가지로 분류된다.또한 통제영 거북선의 구조와 특징들은 임진왜란 해전의 기록과 일치되는 것으로 통제영 거북선이 이순신의 거북선에 가깝다는 문헌의 내용을 고증하였다.The arguments whether
-
- 작성자 홍순구(순천향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임진왜란 거북선 개판(蓋板)의 구조Structures of the Cover of Geobukseon for Imjin War임진왜란 거북선 개판(蓋板)의 구조홍순구(순천향대학교)한국콘텐츠학회한국콘텐츠학회현재 복원된 거북선은 정조 19년(1795)에 왕명으로 편찬된 이충무공전서의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의 목판화 그림과 설명문, 사료의 내용을 토대로 복원되었으나 두 거북선은 임진왜란후 203년 뒤인 정조대의 거북선으로 임진왜란 당시의 거북선과는 같지 않고, 현재 복원된 임진왜란 이순신의 거북선은 임진왜란 당시의 문헌의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 구조적, 형태적인문헌에 나타난 최초의 거북선 그림인 1593년 이덕홍 귀갑선도는 그동안 거북선의 연구에서 중요시 되지 않았으나 임진왜란과 시기적으로 일치하고 그림 해석을 통한 구조분석과 판옥선, 전라좌수영, 통제영 거북선과의 관계를 분석하면 개판 윗면의 중앙부분은 평면구조이고, 전후좌우로 창검이 꽂혀있는 구조로 임진왜란 당시 기록의 내용에 접근된 거북선의 구조와 형태를 도출할 수 있다.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