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작성자 [編者未詳]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GR33688_00ORIGR33688_001古5120-32G001+KYUC+KSM-WA.1660.1111-20151022.GR33688_00景福宮경복궁지[編者未詳][편자미상]筆寫本다시 책 끝부분에 고종대 경복궁 중건 이후의 기사를 싣고 있는 것으로 보아 경복궁 중건 이전에 일차로 경복궁지를 지은 다음 중건 후에 기사를 追錄한 것으로 생각된다.본서의 내용을 보면 먼저 太祖가 鄭道傳 등에게 명하여 궁터를 정하게 한 경위와 경복궁의 명칭 유래? 경복궁 각 건물의 이름 등을 기록하였다.이어서 각 왕대별로 경복궁의 연혁을 기록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世祖대에 兼藝文館을 설치하고 경복궁에서 講經한 일? 成宗·中宗대에 경복궁의 후원에서 親耕·親蠶을 행한 일?그리고 책의 끝 부분에 고종대에 경복궁을 중수한 내용을 기록하였는데?

  • 상위자료 고종실록 9권[1872년]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고종실록 9권고종실록 9권, 고종 9년 3월 8일 壬辰 3번째기사1872. 3. 8.3월 8일1872년1872년 조선 개국(開國) 481년경복궁에 환어하다 경복궁(景福宮)에 환어(【분류】 왕실-행행(行幸) 還御景福宮

  • 상위자료 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정치행정_정치;사회환경_사회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경복궁 어버이날 행사http://archive.much.go.kr/data/04/folderView.do?jobdirSeq=1165&idnbr=20190018672017전민조_0268.jpg해당없음1970년대1970년대경복궁에서 열린 어버이날 행사 모습이다.경복궁,어버이날이미지원본전민조없음

  • 상위자료 광화문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경제산업_건설(토목);교육과학_역사광화문경복궁 담장과 해치상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365&idnbr=20160157802014현대사_3640.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2010년대경복궁의 담장과 해치상이다.광화문삼거리,해치상,경복궁,광화문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작성자 조재모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복궁영추문 경복궁영추문 景福宮迎秋門 조재모 경복궁|궁장문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전기 겹처마/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경복궁) 조재모 문(門), 궁궐문루 197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 37(경복궁) 문화재청문화재청 경복궁관리소 [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전기 겹처마 우진각지붕 형태의 문(門).[역사적 변천]경복궁은 1395년(태조 4)에 완공되었는데, 궁성과 성문은 미쳐 완성되지 않았다.[의의와 평가]이 성문은 원래의 모습과 위치를 유지하고 있지는 않지만, 경복궁을 둘러싼 성벽과 함께 성문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유적이다.

  • 작성자 조재모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복궁태원전 경복궁태원전 景福宮泰元殿 조재모 경복궁|상장례|혼전|빈전 유적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정의]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 빈전으로 사용된 궁궐건물.[개설]조선 고종 때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이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새로 건립하였다. 주로 빈전(殯殿)으로 사용되었으며, 복도를 통해 주변의 건물과 연결되었다.[역사적 변천]임진왜란 이전에는 없었는데, 1867년(고종 4)에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처음으로 건립되었다. 1872년에 조선 건국 480주년을 기념하여 태조의 존호(尊號)를 올리면서[의의와 평가]이 건물은 경복궁 서북쪽의 혼전과 빈전 영역을 대표하는 건물로, 당시 궁궐 공간을 활용한 양상을 살필 수 있는 건물이다.

  • 작성자 김민규(동국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A Study on the Daily Record of the Construction of Gyeongbokgung Palaceand Symbolic Images in the Palace Architecture『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와 경복궁의 여러 상징 연구김민규(동국대학교)국립고궁박물관고궁문화,景福宮의 재건은 19세기 후반 조선 최대의 공역工役이었다.형태의 『경복궁영건일기景福宮營建日記』 총 9권 완질이 일본日本 와세다대학早稻田大學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이 『경복궁영건일기』는 영건도감營建都監 초기낭청草記郎廳 원세철(元世澈, 1817이 『경복궁영건일기』에는 경복궁 영건과정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그 안에서경복궁의 여러 상징을 발견할 수 있고 그 중 제화制火와 서수瑞獸의 의미를 이 논문에 정리했다.목조건축의

  • 작성자 조재모(경북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景福宮營建日記』의 건축기록과 경복궁 중건공역Gyeongbokgung-yeonggeon-ilgi as Architectural Record and the Reconstructionof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營建日記』의 건축기록과 경복궁 중건공역조재모(경북대학교)서울역사편찬원서울과 역사, 0(103), , pp.159-205ART0025171020http://dx.doi.org/10.22827/seoul.2019..103.004Y2466-1465Article본고는 『경복궁영건일기』를 분석하여 경복궁 중건공역의 전체적인 관리 체계를그간 경복궁 중건에 대해서는 『일성록』, 조선왕조실록, 『영건일감』 부분으로만 확인된 『경복궁영건일기』 등의 문헌사료와 「북궐도형」, 「경복궁배치도」 등의 도판 사료를 통해 이해되어이러한 점은 『경복궁영건일기』의 기록 방식에도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