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고구려 비문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文書體及其比較」,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董峰, 2014, 「『集安高句麗碑』一書出版感言」,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從集安麻線高句麗碑看高句麗守墓制度之完善」,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綿厚, 2014, 「從“集安高句麗碑”的命名論及其內容補釋」,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飛峰, 2014, 「關于集安高句麗碑的幾個問題」,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志敏, 2014, 「淺析集安麻線出土的高句麗碑」,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春燕,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斷想」,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于麗群, 2014, 「‘蟬翼拓’法在集安麻線高句麗碑上的運作用與探討」, 張福有,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周榮順, 2014, 「集安高句麗碑的發現與保護」,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遲龍,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石材産地調査」,

  • 상위자료 고구려 비문
    작성자 여호규, 정호섭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1) 발견 경위와 비석의 제원 「지안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는 2012년 7월 29일에 지안시(集安市) 마셴향(麻線鄕) 마셴촌(麻線村) 5조의 촌민(村民)인 마아소삔(麻紹彬)이 발견했다가지안시문물국(集安市文物局)은 현장 조사와 탁본 판독을 통해 고구려 비석으로 판단한 다음, ‘集安高句麗碑’로 명명했다(9월 22일).수묘비설에 따르면 「지안고구려비」가 광개토왕대에 세워진 조선왕릉의 ‘묘상입비’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고구려가 세운 석비는 「광개토왕릉비」와 「충주고구려비」 등이 전부라 할 만큼 매우 드문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된 「지안고구려비」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새로운 자료라고특히 고구려 수묘제 운용과 관련하여 「광개토왕릉비」와 「지안고구려비」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살펴보아야 보다 그 실제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33집 [東史約 上]
    작성자 이원익(李源益)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 獻俘昭陵分高句麗地爲九, 督府置安東都護府於平壤, 時, 侍御史賈言忠奉使自遼東還, 帝問軍中事, 對, 曰必克先帝問罪不得志者, 虜未有釁也, 今男生兄弟䦧恨爲我鄕導, 且將忠士力何憂, 不克高句麗秘記不及九百年

  • 작성자 김기흥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고구려비고구려비高句麗秘記 김기흥 문헌 고구려의 운수가 다하여 늙은 장군에게 망하게 되리라는 예언적 내용의전해진다.668년(보장왕 27) 요동전선을 살펴보고 돌아간 당나라 시어사(侍御史) 가언충(賈言忠)은 전쟁의 승산에 대해 고종(高宗)이 묻자 당나라의 승리 가능성을 말하는 중에 ≪고구려비기더욱이, 객관적인 사서로서 꼽히고 있는 ≪구당서 舊唐書≫에 이 기사가 전혀 보이지 않는 점도 의구심을 증폭시킨다.그러나 이와같이 ≪고구려비기≫의 존재 가능성이 의심스럽다 하여도 이런『삼국사기』『당회요(唐會要)』『신당서(新唐書)』『일본서기(日本書紀)』「고구려비기고」(이홍직, 『역사학보』 17·18합집, 1962 ; 『한국고대사의 연구』, 신구문화사, 1971)

  • 작성자 정영호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충주 고구려비 충주 고구려비 忠州高句麗碑 정영호 고구려 비|장수왕 남하정책|고구려 관등조직|회맹비|순행비 유적)「중원고구려비에 나타난 고구려 성과 관방체계」(서영일,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중원고구려비와 고구려 금석문의 서체에 대하여」(김양동, 『중원고구려비 연구』,학연문화사, 2000)「중원고구려비와 신라 비와의 비교」(이용현,『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년대」(김창호,『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2000)「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이도학,『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중원고구려비의 발견조사와 의의」(정영호,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중원고구려비의 해독과 이두적 성격」(남풍현,『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염모묘지와 중원고구려비」(耿鐵華,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中原高句麗碑

  • 작성자 조영훈(공주대학교); 권다경(공주대학교); 안재홍(한국과학기술원); 고광의(동북아역사재단)
    분류 연구성과 기타

    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 디지털 판독의 성과와 고찰A Study on the Digital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 디지털 판독의 성과와 고찰조영훈(공주대학교); 권다경(공주대학교); 안재홍(한국과학기술원); 고광의(동북아역사재단)국립문화유산연구원헤리티지:역사와 과학, 54(2),, pp.240-253ART0027284967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2.240Y3022-80853058-2628Article충주고구려비(忠州高句麗碑)는 발견 이후 탁본(拓本)과 적외선 촬영 등을 통해 판독(判讀)을 시도하였으나 여전히판독되지 않거나 서로 이견이 있는 글자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는 실정이다.이처럼 충주고구려비의 디지털 판독은 RTI와 3차원 스캐닝을 통해 선행 판독문을 재검토하는 데 기여하였다.

  • 작성자 강진원(숙명여자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지안 고구려비의 판독과 해석Deciphering and Interpreting the Jian Goguryeo Monument지안 고구려비의 판독과 해석강진원(숙명여자대학교)한국목간학회0(31), , pp.171-197ART0030450960http://dx.doi.org/10.35302/wdis.2023.12.31.171Y2005-4122Article지안 고구려비에지안 고구려비를 통한 역사상 구명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면밀한 판독이 선결되어야 한다.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왕에 제기된 견해를 종합하여 판독·교감과 아울러 해석을 시도하였다.최근 지안 고구려비에 관한 연구가 뜸해졌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