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고구려 비문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文書體及其比較」,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董峰, 2014, 「『集安高句麗碑』一書出版感言」,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從集安麻線高句麗碑看高句麗守墓制度之完善」,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綿厚, 2014, 「從“集安高句麗碑”的命名論及其內容補釋」,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飛峰, 2014, 「關于集安高句麗碑的幾個問題」,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志敏, 2014, 「淺析集安麻線出土的高句麗碑」,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王春燕,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斷想」,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于麗群, 2014, 「‘蟬翼拓’法在集安麻線高句麗碑上的運作用與探討」, 張福有,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周榮順, 2014, 「集安高句麗碑的發現與保護」, 張福有 編著, 『集安麻線高句麗碑』, 文物出版社 遲龍, 2014, 「集安麻線高句麗碑石材産地調査」,
-
- 상위자료 고구려 비문
- 작성자 여호규, 정호섭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1) 발견 경위와 비석의 제원 「지안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는 2012년 7월 29일에 지안시(集安市) 마셴향(麻線鄕) 마셴촌(麻線村) 5조의 촌민(村民)인 마아소삔(麻紹彬)이 발견했다가지안시문물국(集安市文物局)은 현장 조사와 탁본 판독을 통해 고구려 비석으로 판단한 다음, ‘集安高句麗碑’로 명명했다(9월 22일).수묘비설에 따르면 「지안고구려비」가 광개토왕대에 세워진 조선왕릉의 ‘묘상입비’ 가운데 하나라는 것이다.고구려가 세운 석비는 「광개토왕릉비」와 「충주고구려비」 등이 전부라 할 만큼 매우 드문 상황에서 새롭게 발견된 「지안고구려비」는 고구려사 연구의 지평을 넓혀줄 수 있는 새로운 자료라고특히 고구려 수묘제 운용과 관련하여 「광개토왕릉비」와 「지안고구려비」의 비교 검토를 통해 살펴보아야 보다 그 실제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것이다.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중원 고구려비 탁본 국립중앙박물관 신수-8003 中原高句麗碑拓本 문화예술-서화-탁본-비문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 상위자료 대한뉴스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_KC 제 1235호] 고구려비 발견 고구려비 발견(4.23) -관계자의 고구려비에 대한 설명 -고구려비 탁본 작업 미공개대한뉴스 1979.04.28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