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중국정사 외국전(中國正史 外國傳)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파라(婆羅)가 당 고종(高宗)과 영락 연간에 조공한 내용 婆羅, 又名文萊, 東洋盡處, 西洋所自起也. 唐時有婆羅國, 高宗時常入貢. 永樂三年十月遣使者齎璽書·綵幣撫諭其王.파라(婆羅)는 문래(文萊)라고도 하며, 동양의 끝이자 서양이 시작되는 곳이다.당나라 당시 파라국(婆羅國)이 있었으며,당(唐)고종(高宗, 628~683; 재위 650~683) 때에 항상
-
- 상위자료 치평요람(治平要覽)
- 작성자 정인지(鄭麟趾)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고종(高宗)]송수경정인지(鄭麟趾)[《송사전문(宋史全文)》 23권 상 〈송 고종(宋高宗)〉] 고종(高宗)이 수조(手詔 제왕이 손수 쓴 조서(詔書))를 내리기를, “근래에 융로(戎虜)
-
- 상위자료 동아일보 1960년01월
- 작성자 동아일보사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1960년 「쑥꽃私語錄」(金晟鎭·尹鼓鍾·李相魯·金鄕岸·崔誠實 共著) ; 凡潮社 발행 윤고종(尹鼓鍾) 1960. 01. 14 2016. 05
-
- 상위자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2권(1914년)
-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高宗의 李貴人이 生男하다. 續陰晴史 卷15 下 P 398 기타, 동정, 소식, 황실, 고종 1914. 07. 04.高宗의 李貴人이 生男하다.續陰晴史 卷15 下 P 398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2권 1914년
-
- 상위자료 경향신문사 소장자료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정치행정_정치경향신문사 소장자료고종 황제 하사 태극기http://archive.much.go.kr/data/04/folderView.do?jobdirSeq=121&idnbr=20140007472012_01_06_015.jpg해당없음1980년대1980년대1981년 6월 23일 구한말 고종 황제가 미국인 외교고문 오웬 데니에게하사한 태극기의 환국 현장이다.고종 황제,오웬 데니,외교고문,태극이미지원본경향신문사(전시,교육,연구 등의 내부이용권)없음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고종옥보 국립중앙박물관 신수-9236 高宗玉寶 전통과학-인장-인장-새인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 작성자 최경현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고종어진 고종어진 高宗御眞 최경현 초상화|고종|고종황제초상 유물 고종 황제가 조복(朝服) 차림으로 의자에 앉아종로구 효자로 12, 국립고궁박물관 근대/개항기 최경현 초상화 1점 비단 바탕에 채색 국립고궁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정의]고종[내용]이 어진은 강사포(絳紗袍)에 통천관(通天冠)을 쓴 고종이 의자에 앉아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전신교의좌상(全身交倚坐像)이다.이밖에 고종의 얼굴이 1907년 9월 순종과 순종비 윤씨의 가례 당시에 촬영한 사진과 매우 유사하여 사진을 보고 그렸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왕의 얼굴』(조선미, 돌베개, 2012)「고종 황제의 초상: 근대 시각매체의 유입과 어진의 변용과정」(권행가,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 작성자 고복남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전고종패옥 전고종패옥 傳高宗佩玉 고복남 고종|패옥 유물 조선 고종이 사용하던 것으로 전하여지는 패옥.의생활 유물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근대 생활/의생활 서울특별시 광진구 군자동 근대 고복남 궁중복식유물|패옥 조선 고종연간 옥|공단|견사 서울시 광진구 군자동 세종대학교 세종대학교 중요민속문화재 제46호 1979년 1월 23일 [정의]조선 고종이
-
- 작성자 김세은
- 분류 연구성과 기타
1866년(고종 3) 고종과 명성후의 國婚과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서울대학교.연구원김세은22005-09-30application/pdf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09-06-11 00:00:00.000키워드 : 高宗, 明成后 閔氏, 《[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 都廳儀軌, 各房 儀軌미상머리말 一. 1866년(고종 3) 高宗의 國婚 1.고종의 즉위와 嘉禮의 거행 2. 明成后 閔氏의 가계와 일생 二.《[高宗明成后]嘉禮都監儀軌》의 구성과 내용 1. 都廳儀軌의 구성과 내용 2.
-
- 작성자 정진숙(서울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高宗實錄資料原簿』의 법률관련 자료와 『高宗實錄』의 편찬The Importance and limitation of Legal Sources in Gojongsillokjaryowonbu『高宗實錄資料原簿』의 법률관련 자료와 『高宗實錄』의 편찬정진숙(서울대학교)한국서지학회1서지학보, 0(33), , pp.259-280ART0013590701G704-SER000009944.2009..33.004YArticle본고에서는 『高宗實錄』을 편찬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할 때 작성된 『高宗實錄資料原簿』에 수록된 법률관계자료를 선택하고 이 자료들의 위상과 한계를 알아보았다그런데 『관보』조차 『고종실록자료원부』에는 나열되어 있지 않다. 『고종실록자료원부』에 나열된 법률 자료들은 1894년 이전의 자료에 편중되어 있고, 이후의 자료는 부족하다.이를 통해 『고종실록』 편수위원들의 조선사회의 법치정책 및 고종시대 후기 개혁의 성과에 대한 무관심을 알 수 있다.This study is aimed to find out the impor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