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송사(宋史)
    작성자 테무르타스(鐵木兒塔識), 장기암(張起岩)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광종이 죽다송사(宋史)테무르타스(鐵木兒塔識), 장기암(張起岩) 등2017. 01. 16975『宋史』卷487 列傳246昭卒, 其子伷權領國事.卷二>世家 卷第二>光宗 26年>5월>왕이 병으로죽다卷2>光宗大成大王>光宗 二十六年>5월>광종이 훙서하다왕소(王昭, 광종)가 죽자 아들 왕주(王伷, 경종)가 권령국사(權領國事)가 되었다.권2>세가 권제2>광종(光宗) 26년>5월>왕이 병으로 죽다권2>광종대성대왕(光宗大成大王)>광종(光宗) 26년>5월>광종이 훙서하다

  • 상위자료 [고려사] 世家 卷第二 광종 총서
    작성자 정인지(鄭麟趾)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광종 총서[고려사] 世家 卷第二 광종 총서정인지(鄭麟趾) 등光宗光宗, 弘道宣烈平世大成大王, 諱昭, 字日華, 定宗母弟.以太祖八年乙酉生, 定宗四年三月丙辰, 受內禪, 卽位.광종(光宗)광종 홍도선열평세대성대왕(光宗 弘道宣烈平世大成大王)의 휘는 소(昭)이고 자는 일화(日華)이며 정종(定宗)의 친아우이다.

  • 상위자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8권(1926년)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금년의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은 朝鮮總督府統計年報 1926年度 第97表 경제,산업, 광공업, 광업, 광업상황 1926. 99. 99.금년의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은 다음과 같다.朝鮮總督府統計年報 1926年度 第97表1926년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8권 1926년

  • 상위자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8권(1928년)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금년의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은 朝鮮總督府統計年報 1928年度 第97表 경제,산업, 광공업, 광업, 광업상황 1928. 99. 99.금년의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은 다음과 같다.朝鮮總督府統計年報 1928年度 第97表1928년 鑛種別 鑛業權 設定狀況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8권 1928년

  • 상위자료 디지털서귀포문화대전
    작성자 백종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광종 영세불망비 김광종 영세불망비 金光宗永世不忘碑 백종진 비|김광종|소부|지혁중|강사종|안덕 계곡|황개천|지혁중|강사종|통정대부[개설] 김광종(金光宗)은 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출신으로, 조선 시대 1832년(순조 32)에서 1841년(헌종 7)에 이르는 만 10년 동안)이 김광종의 공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웠다.전면 (김)해 김광종영세불망비((金)海 金光宗永世不忘碑) 천산인수(穿山引水) 한서개시(漢西開始) 다비기재(多費己財) 이유후세(以裕後世) 식아향칭(食我香稻) 송공덕기이제 우리도 향그러운 쌀밥을 먹고 있으니 이게 모두 김광종 공(公)의 덕을 입은 것이다.

  • 상위자료 기상재해연표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ch_004_0972_02_00(광종 23년) 지진이 일어남≪고려사≫ 오행지지진0972. 02. 99(음)(광종 23년) 지진이 일어남≪고려사≫ 오행지기상재해연표

  • 작성자 윤성재(숙명여자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高麗 光宗의 政治基盤Koryo Kwang Jong(光宗)’s Political Basic高麗 光宗의 政治基盤윤성재(숙명여자대학교)고려사학회韓國史學報, 0(13), , pp.135-160ART0008567764G704-000690.2002.13..006Y1229-62522713-7945ArticleKoryo Kwang Jong(光宗)’s Political BasicKoryo Kwang Jong(光宗)’s Political Basic고려사학회pdf한국어

  • 작성자 정성권(단국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高麗 光宗대 石佛의 특성과 영향A study on the stone Buddha statutes which were made in King of Gwang Jong(光宗) period본문에서 검토대상이 되었던 작품의 조성 시기는 고려 태조 왕건 동상의 경우 광종 2년(951), 안성 매산리 석조보살입상은 광종 11년(960년)~14년(963년), 부여 대조사 석조보살입상은광종1년(950)~11년(960),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 입상은 광종21년(970)~목종9년(1006) 으로 알려져 왔다.이 중 부여 대조사 석조보살입상은 광종대의 발굴성과, 보살상의 양식적 특성 등을 분석하여 조성시기를 광종19년(968)~26년(975)으로 재 비정하였다.광종대 석불의 영향은 주로 양식적 영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