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한국의 금석문
    분류 고전자료 금석문자료

    김유신묘표(金庾信墓表) 조선시대 1710년(숙종36년) 이 비는 1710년에 건립된 김유신묘표(金庾信墓表)이다.김유신의 본관 김해(金海)이고, 아버지는 소판(蘇判)·대량주도독(大梁州都督)을 역임한 김서현(金舒玄), 어머니는 숙흘종(肅訖宗:葛文王立宗의 아들)의 딸 만명(萬明)이다.천년이 지난후 경주의 부윤인 남지훈(南志熏)이 김유신을 기려 비를 세우게 된 것이다.신라태대각간(新羅太大角干) 김유신묘(金庾信墓) 동사(東史)를 살펴보니 공(公)은 문무왕(文武王) 때에 돌아가셨다.

  • 상위자료 列傳 第一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列傳 第一[金庾信 上] 김유신의 가계 김유신(金庾信)김부식(金富軾) 등김유신의 가계 김유신(金庾信)은 왕경(王京) 사람이다.유신비(庾信碑)에서도 또한 “헌원(軒轅)의 후예요 소호(少昊)의 자손이다.”라 하였으니, 곧 남가야(南加耶) 시조(始祖)인 수로와 신라〔왕〕는 같은 성이었다.김유신의 가계 金庾信,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486호] 김유신 장군의 존상 김유신 장군 존상 제막식. -충북 진천, 진천중학교에서는 이 고장 출신 김유신 장군의 존상 제막식이 열림.대한뉴스 1964.09.20 486 대한뉴스 제 486호 0분 29초 김유신 장군 동상,충북 진천 중학교 https://www.ehistory.go.kr/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김유신 집터 비석 탑본 국립중앙박물관 본관-397 金庾信遺墟碑記(慶州) 문화예술-서화-탁본-비문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작성자 김선숙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주김유신묘 경주김유신묘 慶州金庾信墓 김선숙 김유신|흥무대왕|십이지신상|둘레돌|묘상(卯像)|오상(午像)|기공비편 유적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장수 김유신의 무덤.[의의와 평가]『삼국유사』에 의하면 “김유신 장군을 흥무대왕으로 추봉하였는데, 그 능은 서산(西山) 모지사(毛只寺) 동향(東向)한 산봉에 있다”고 하였으니 곧 태대각간(太大角干) 김유신묘를‘태대각’이라 새긴 신라비편(新羅碑片)이 경주 교동에서 발견되어 김유신의 기공비편(紀功碑片)으로 추정되기도 했으나 확실하지는 않다.다만 이 비편에 의해 김유신이 죽자 당시 문무왕이그런데 학계 일각에서 이 무덤은 김유신묘가 아니고 신무왕의 무덤이라는 설도 있다.

  • 상위자료 디지털부천문화대전
    작성자 김상철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까치가 물고 간 김유신의 화살」 「까치가 물고 간 김유신의 화살」 -金庾信- Gim Yusin's Arrow Which Magpie bites and went김상철 김유신|까치|화살|까치울|지명|삼국통일|신라 작품/설화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서 김유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까치 까치울 김유신이 쏜 화살|화살을 물고 날아간 까치 [정의] 경기도 부천시 작동에서 김유신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김유신이 활을 쏠 차례가 되었다. 김유신이 막 활에 살을 먹여 시위를 잡아당겼을 때 어디선가 난데없이 까치 떼가 화살을 향해 몰려왔다.[모티프 분석] 「까치가 물고 간 김유신의 화살」의 주요 모티프는 ‘김유신이 쏜 화살’과 ‘화살을 물고 간 까치’이다.

  • 작성자 윤경진(경상국립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김유신행록(金庾信行錄)󰡕의 서사 구성 방식과 의미The Method of Narrative Composition of Kimyusin-Haengrok and it’s Meaning󰡔김유신행록(金庾信行錄)󰡕의 서사 구성 방식과 의미윤경진(경상국립대학교)역사실학회역사와 실학, 0(81), , pp.5-54ART0029924900Y1976-1023Article이연구는 『삼국사기』 김유신열전의 저본이 된 『김유신행록』의 서사 구성 방식과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이 책은 꾸며낸 이야기가 많다고 지적되었는데, 크게 세 가지 방식으로 가공되었다.첫째, 다른 사람의 사적을 가져와 김유신의 것으로 바꾸거나 김유신을 끼워 넣어 서사의 중심으로 만드는김춘추의 백제병합을 투영한 642년 대고구려 청병 사적을 김유신의 양국평정(兩國平正)과 연결한 것과 동타천(冬陁川)의 한산성 방어 사적을 김유신의 주술적 능력 덕으로 바꾸어 놓은 것이

  • 작성자 范永聰(香港浸會大學)
    분류 연구성과 기타

    金庾信「仙化」探微A Study on the “Mythification” of Kim Yushin金庾信「仙化」探微范永聰(香港浸會大學)영남문화연구원영남학, 0(26), , pp.425-金庾信既有王族血統,且為國家立下豐功偉業,更位極人臣,官至史無前例的「太大角干」(太大舒發翰),出將入相,堪稱新羅史上第一人。金庾信的傳奇一生,成為他「成仙」的最重要條件。在這兩部古籍中,金庾信被「仙化」——他的出生、成長、學藝、從軍,以至逝世,都帶著濃厚的神仙色彩。事實上,現今的韓國人都已經把金庾信奉為神仙,他是韓國著名傳統節日「江陵端午祭」所拜祭的「十二山神」之一。本文嘗試以文獻資料為本,描繪金庾信的「仙化」面貌、追尋其「成仙」歷程,並分析他「成仙」的原因,從而闡釋這一獨特歷史現象的文化意涵。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