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작성자 김선숙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김해 대성동 고분군 김해 대성동 고분군 金海大成洞古墳群 김선숙 대성동|금관가야|널무덤|덧널무덤|주부곽식덧널무덤| 유적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대성동 고분군 역사/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434 일대 고대/삼국/가야대성동 고분군은 경상남도 김해시 중심부에 있는 수장층의 무덤떼로서 구지봉(龜旨峯)과 회현리 조개더미의 중간지점, 수로왕릉(首露王陵)의 서북쪽에 위치해 있다.『한국고고학사전』(국립문화재연구소, 2001)『김해의 고분문화』(김해시, 1998)『국립중앙박물관도록』(국립중앙박물관, 1996)「김해대성동고분군Ⅰ」(경성대학교박물관, 2000)「김해대성동고분군Ⅱ」(신경철·김재우, 경성대학교박물관, 2000)「김해대성동고분군주변지역시굴조사」(김해시·경성대학교박물관, 2000)「김해구지로분묘군」(경성대학교박물관, 2000)「김해대성동 제13호분
-
- 작성자 심재용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대성동고분박물관 대성동고분박물관 大成洞古墳博物館 심재용 대성동고분군|금관가야|철|순장 단체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에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가야의 길126 현대/현대 심재용 박물관 2003년 8월 29일 김해시 055-330-6881 경상남도 김해시가야의 길126(대성동) ds.gimhae.go.kr [정의]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에 있는 시립 박물관.[연원 및 변천]1999년 가야종합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다가 2001년에 대성동고분군 정비사업이 승인되어, 같은 해 대성동고분박물관 공사가 착공되었다. 2003년 7월에 준공되어중요 유물로 김해 대성동고분46호 출토 동복과 옥장 등 대성동고분군 3·4차 발굴유물들과 김해 율하리·본산리유적 출토유물, 그리고 김해부내지도 등이 있다.상설전시관은 도입의 장, 개관의
-
- 작성자 武末純一(日本 福岡大學 敎授)
- 분류 연구성과 기타
新鳳洞古墳群にみられる日本文化系要素新鳳洞古墳群にみられる日本文化系要素武末純一(日本 福岡大學 敎授)백제학회백제학보, 0(8), , pp.149-176ART0019777830G704-SER000003883.2012古墳時代前期(3世紀後半~4世紀)の土師器系土器は、金海大成洞古墳群や東萊福泉古墳群など金官加耶の主要古墳群で見られるほかに、金海市鳳凰台遺跡、釜山市東萊貝塚といった集落で大量に出土した。古墳時代中期(5世紀)の韓半島では、金海・釜山地域の中心部だった大成洞や福泉洞から出る土師器系土器は、古墳時代前期からのなれの果てがほとんどである。新鳳洞古墳群の5世紀後半の須恵器系土器を置くと、まず流入経路は、湖南地域の海岸沿いを経るよりも、小加耶から大加耶を経たとみられる。新鳳洞古墳群は純粋な百済人だけで構成された軍団ではなく、加耶人や倭人も含み、国際的な緊張関係の中で存在した軍団とみられる。.백제학회pdf일본어
-
- 작성자 민경선(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김다빈(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김다빈(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한국고고학회한국고고학보, 0(109), , pp.106-141ART0024202396Y1015-373X2714-058XArticle김해 봉황동 유적은 김해시의북쪽에는 대성동고분군이 위치하고, 남쪽은 고김해만을 접하고 있다. 1907년 회현리패총의 발견, 조사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봉황동 유적 주변 일대는 70여 차례의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