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新羅本紀 第十
-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등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新羅本紀 第十[憲德王] 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다(822년 03월18일(음))김부식(金富軾) 등822. 03. 18김헌창의 난을 진압하다(822년 03월18일(음)) 〔14년(822)〕 18일에 완산주(完山州) 장사(長史) 최웅(崔雄)과 주조(州助) 아찬(阿湌) 정련(正連)의 아들 영충(令忠) 등이 왕경으로 도망쳐 와서 김헌창의 반란을 고하자, 왕이 즉시 최웅에게머리가 5살 정도의 어린아이만 했으며, 부리 길이는 1척 5촌에 눈은 사람 같았고, 모이주머니는 5승(升) 정도 되는 그릇만하였다. 3일 만에 죽었으니, 헌창이 패망할 징조였다.김헌창의난을 진압하다(822년 03월18일(음)) 十八日, 完山長史崔雄·助阿湌正連之子令忠等, 遁走王京告之, 王即授崔雄位級湌·速含郡太守, 令忠位級湌, 遂差貟將八人, 守王都八方, 然後出師.以歃良州屈自郡, 近賊不汙於亂, 復七年. 先是, 菁州太守廳事南池中, 有異鳥, 身長五尺, 色黒, 頭如五歳許兒, 喙長一尺五寸, 目如人. 嗉如受五升許噐, 三日而死, 憲昌敗亡兆也.
-
- 상위자료 한국의 금석문
- 분류 고전자료 금석문자료
비문의 주인공 낭혜화상(朗慧和尙)은 태종 무열왕 김춘추의 8대손으로 그의 아버지 범청(範淸)이 김헌창의 반란에 연루되어 진골에서 신분이 득난(得難: 6두품)으로 강등되었다.이 비에는 낭혜화상의 신분과 관련하여 족강(族降), 득난(得難) 등의 말이 기록되어 있어 신라 골품제(骨品制)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낭혜화상의 불교 공부 과정이 당시의아버지는 범청(範淸)으로 골품이 진골에서 한 등급 떨어져서 득난(得難)이 되었다. [나라에 5품이 있는데 성이(聖而), 진골(眞骨), 득난(得難) 등이다.(得難은) 귀성(貴姓)을 얻기 어려움을 이야기한 것이다.그러니 5백년 마다 현인(賢人)이 나타난다는 말대로 성인이 이 세계에 모습을 나타낸 것이 아니겠는가.
-
- 작성자 노명호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김헌창의 난 김헌창의 난 金憲昌─亂 노명호 웅천주도독|제2차왕위계승전 사건 822년(헌덕왕 14) 3월에 신라[역사적 배경]김헌창의 난은 작게는 원성왕(元聖王, 785∼798)계 귀족들과 무열왕(武烈王, 654∼661)계 귀족들 간의 제2차 왕위계승전이었고, 크게는 신라 하대에 계속된 크고[결과와 영향]김헌창의 난으로 무열계 귀족들은 크게 몰락하였다.이로써 무열왕계 후손들은 왕위 계승 쟁탈전에서 완전히 밀려났다.한편, 김헌창의 난과 관련해서는 그것을 백제권역에 새 국가를 건국하려고 시도한 사건으로 보기도 한다.난에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신라 편에 서지도 않았다고 하면서, 훗날 김헌창의 아들 범문(梵文)이 한산(漢山)을 근거로 다시 반란을 일으켰던 데에는 고구려권의 호응을 내심 기대했기
-
- 작성자 김복순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윤응 윤응 允膺 김복순 김헌창의 난|문화관문(蚊火關門) 인물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김헌창의 난 당시의 관리.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역사/고대사 인물 고대/남북국 역사/고대사 고대/남북국 김복순 관리 미상 남 미상 미상 김헌창의난 잡찬 [정의]남북국시대 통일신라 김헌창의 난 당시의 관리.
-
- 작성자 이상훈(경북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김헌창의 난과 신라군의 대응The rebellion of Kim Heon-chang and response of the Silla army김헌창의 난과 신라군의 대응이상훈(경북대학교대치하는 사이 선발대가후방의 보은산성을 점령하면서 전세는 신라쪽으로 기울었다.이후 반란군의 최후 거점인 웅진성은 신라군에게 포위되어 10일 만에 함락당했다.반란을 진압한 신라는 김헌창의추종세력을 제거하고,전후 포상을 실시하였다.일반적으로 김헌창의 난을 진압한 것은 신라 귀족들의 사병(私兵)조직이라고 알려져 있다.그러나 당시 신라군의 편성과 진압과정을 통해서 볼때 신라의 공적 조직 즉 정규군이 상당한 역할을 수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김헌창의 난 이후 신라 귀족들 간의 왕위쟁탈전은 지속되었고,이 과정에서주로 사병들이 동원되었다.치열한 왕위쟁탈전으로
-
- 작성자 김목동(경북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신라 헌덕왕대 副君의 성격과 貞嬌夫人 - 김헌창의 亂과 관련하여 -A study on the character of the Silla Bugun and Jeonggyo신라 헌덕왕대副君의 성격과 貞嬌夫人 - 김헌창의 亂과 관련하여 -김목동(경북대학교)영남문화연구원영남학, 0(88), , pp.79-112ART0030645820Y1738-77602713-8070Article이는 모두 김헌창의 亂과 관련되었다고 하겠다.수종을 부군으로 삼은 것이 그 난이 신속히 진압되는 이유 중의 하나로 귀결되었고, 그 난에 대한 사후 대응책으로 忠恭의 딸 정교부인을 헌덕왕의 차비로 맞이한 것이라 할 수 있다.여기서亂에 功이 있는 충공에 대한 論功行賞의 의미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