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국외 항일운동 관련 자료:일본 외무성기록》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12
    작성자 일본 외무성
    분류 근현대자료 문서

    [鄭安立 等의 東三省獨立問題 密議][정안립 등의 동삼성독립문제 밀의]森田寬藏(길림총영사)佐藤尙武鄭安立鄭安立 等의 東三省 獨立問題 密議吉林哈爾濱東三省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部 12吉林, 哈爾濱, 東三省佐藤尙武, 鄭安立鄭安立 等의 東三省 獨立問題 密議森田寬藏(길림총영사)內田康哉(외무대신)1919. 10. 10.1919. 10. 10.문서16019(暗)

  • 상위자료 독립신문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愛蘭獨立問題KH.IDP.IDP-NP-002독립신문21919-08-29text/xml1900-01-01 00:00:00.0002005-11-24 00:00:00.0002013-10-2100:00:00.000愛蘭獨立問題는 其後 顯著한 發展은 無하나 最近의 形勢를 觀察하면 英首相은 此際愛蘭獨立問題에 全然 傍觀策을 取함에 反하여 美國上院은 신폐인黨(愛蘭의 絶對 獨立黨

  • 상위자료 구 서대문형무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정치행정_식민통치;정치행정_독립운동구 서대문형무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독립문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518&idnbr=20160325492015현대사_0368.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개항~대한제국(1910)통일로에서 본 독립문의 모습이다.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상위자료 구 서대문형무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정치행정_식민통치;정치행정_독립운동구 서대문형무소(서대문형무소역사관)독립문 전경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518&idnbr=20160325522015현대사_0371.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개항~대한제국(1910)독립문 전경이다.독립문,서대문형무소역사관,서대문형무소

  • 상위자료 분야: 문화 / 유형: 건축·능 원 묘
    작성자 안창모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독립문 독립문 獨立門 개선문(凱旋門), 독립관(獨立館), 모화관(慕華館), 영은문하고 독립문 건설의 의미를 명확히 전달하고 있다.독립문이여, 성공하라! 그리고 다음 세대로 하여금 잊지 않게 하라.” 하며 독립문 건설이 갖는 의미를 후세들이 명심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독립문에는 전통 건축과 달리 편액이 걸리지 않고, 독립문 상부에 글이 새겨졌다.독립문의 앞과 뒤에는 한글과 한자로 각각 ‘독립문’과 ‘獨立門’이 새겨져 있다. 1924년 7월 15일 『동아일보』의 ‘내동리 명물’ 연재에 독립문에 관한 기사가 실렸다.

  •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독립문獨立門서울 독립문DongnimmunTongnimmun예술·체육유적근대사적 제32호. 1897년 독립협회가 세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에 있는 한말(韓末)의 석조문.국사편찬위원회

  • 작성자 유선미(경기대학교); 성인근(경기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독립문 편액 서자(書者) 연구A Study on the Written Writers of Independent Literature독립문 편액 서자(書者) 연구유선미(경기대학교); 성인근독립문은 1896년 독립협회가 『독립신문』을 통해 독립문의 건립을 주창한 이래 청(淸)의 사신들을 맞이했던 영은문(迎恩門)을 헐고 높이 14.2m, 넓이 11.48m 규모의 석축문(독립문의 남면(南面)은 한글로 북면(北面)은 한자로 ‘독립문(獨立門)’ 세 글자를 새겨 넣었다.이완용과 김가진은 당대 제일의 명필로 알려진 인물이었던 만큼 독립문 편액 서자로서의 가능성은지위 또한 독립문 편액의 서자로 거론되기에 흠집이 없다.본고는 독립문 서자에 대한 두 가지 이설을 바탕으로 이완용과 김가진의 서예사적 맥락과 이들이 남긴 유사 필적의 서체적 특징을 분석하여 독립문 편액의 서자를 비정한다.There are

  • 작성자 박성호(원광대학교 한중관계연구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전북지역의 독립문화콘텐츠 분석An Analysis of Independent Cultural Contents in Jeonbuk Regional Province전북지역의 독립문화콘텐츠연구를 위해 커뮤니티 공간의 ‘방랑싸롱’, 플랫폼 공간의 ‘전주문화통신사협동조합’, 코워킹 공간의 ‘꽃일다청년공예협동조합’의 독립문화를 살펴보았다.특히, 독립문화가 지역문화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하고 살펴보았다. 지역만의 독특한 정체성은 독립적인 문화에 뿌리를 두었을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그 결과 전북지역의 독립문화콘텐츠는 문화를 향유하는 주체가 독립적인 문화를 구축하면서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다.전북지역의 문화 주체는 자신들만의 문화를 구축하고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독립문화콘텐츠를 활성화시키고 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