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강원권 고문헌자료
    작성자 정명동(鄭鳴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개인-생활-서간 학문과 교유 을사년(乙巳年) 정명동(鄭鳴東) 간찰(簡札) 정명동조선후기 낱장 1장 종이 한자 원주 이정동 원주 이정동 을사년 1월 13일 鄭鳴東이 작성한 간찰 이 문서는 을사년 1월 13일 鄭鳴東명동은 수신자가 상을 지내고 병에 걸렸다는 소식을 듣고 위로하기 위해 간찰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정순교 이 문서는 을사년 1월 13일 정명동(鄭鳴東)이 작성한 간찰이다. 정명동은 수신인이 상을 지내다가 병에 걸렸음을 듣고 위로하기 위해 간찰을 보냈다.鳴東。僅保軀殼。昏聵轉甚。自憐奈何。 餘萬。惟冀 哀中所愼。趁得差復。撓深。不宣。伏惟 哀照。謝上。 乙巳正月十三日。鄭鳴東。省禮。

  • 상위자료 한국의 금석문
    분류 고전자료 금석문자료

    다보사건륭명동종(多寶寺乾隆銘銅鐘) 조선시대 1767년(영조43년) 이 비는 1767년(영조 43년) 전라남도 나주에 만들어진 다보사건륭명동종(多寶寺乾隆銘銅鐘)이다.당시 종의다보사건륭명동종(多寶寺乾隆銘銅鐘) 건륭(乾隆) 32년 정해년(영조 43, 1767년) 3월 일 전라 장흥부(長興府) 지제산(支提山) 천관사(天冠寺) 주종(鑄鐘) 시주질(施主秩)

  • 상위자료 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사회환경_사회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명동거리http://archive.much.go.kr/data/04/folderView.do?jobdirSeq=1165&idnbr=20190148932017전민조_3271.jpg해당없음1970년대1970년대명동 거리 전경이다.명동이미지원본전민조없음

  • 상위자료 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사회환경_사회사진작가 전민조 기증자료명동거리http://archive.much.go.kr/data/04/folderView.do?jobdirSeq=1165&idnbr=20190148942017전민조_3272.jpg해당없음1970년대1970년대명동 거리 전경이다.명동이미지원본전민조없음

  • 작성자 김태국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명동교회 명동교회 明東敎會 김태국 명동학교|김약연 단체 중국 길림성 화룡현 명동촌에 있었던 교회.현재 명동교회 옛터는 명동촌역사전람관으로 이용되고 있다.[연원 및 변천]1909년에 명동학교 교무주임이었던 정재면(鄭載冕) 등이 명동촌(明東村)에 설립하였다.명동촌에는 1908년에 명동촌 개척의 주역인 김약연(金躍淵, 1868∼1942)이 박무림(朴茂林), 김학연(金學淵) 등과 함께 명동학교(明東學校)를 세웠다.그 뒤 1910년에 명동중학교(明東中學校)를 따로 세우고 김약연이 교장을 맡았다.이러한 과정에서 정재면은 명동교회 설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의의와 평가]명동교회는 명동촌에 기독교 문화를 널리 알리고, 명동촌 한인사회를 하나로 묶는 구심점으로 기능하였다.

  • 작성자 김예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명동화랑 명동화랑 明洞畵廊 김예진 김문호|현대미술|권진규 초대전|화랑 단체 1970년에서 1982년까지 김문호가서울 명동에서 운영하였던 화랑.[개설]명동화랑은 1970년 12월 서울 명동성당 건너편에 위치한 건설빌딩에 60평 규모로 개관하였다.같은 해 동산방, 명동, 양지, 조선, 현대 등 화랑들이 모여 한국화랑협회를 결성했을 때 김문호 사장이 초대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80년 관훈동에서 다섯 번째로 재개관을 한 명동화랑은사장 추모 자료전’이 열렸으며, 2013년 화랑미술제에서는 조각가 권진규와 그를 후원했던 김문호 사장을 조명하는 ‘명동화랑과 권진규’전이 개최되었다.

  • 작성자 강영택(우석대)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Kim Yak-yeon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Bukgando- Focused on the Myeongdong School and Myeongdong Village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강영택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중국 땅 북간도에서 설립되고 개척되어 운영되었던 명동마을과 명동학교를 마을교육공동체의 관점에서 탐구하여 오늘날 활발하게 논의 및 실천되고연구 내용 및 방법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의 대표적인 지도자였던 규암 김약연 선생의 생애를 살펴보고 특히 그의 마을공동체 지도자로서의 특성을 알기 위해 그가 평생을 걸쳐 이룩한 명동연구를 위해 김약연, 명동학교, 명동마을에 관한 다양한 사료들과 연구물들을 수집하였고, 특히 당시 명동마을에 살았던 이들의 회고록을 중요한 자료로 이용하였다. 3.

  • 작성자 홍정욱(한국외국어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명동 역사 속 문화적 재구성Cultural Reconstruction of Myoung-dong through Historical Encounter명동 역사 속 문화적 재구성홍정욱(한양의 남촌 지역이었고 한국의 현대사와 함께 했던 명동은 조선시대의 역사적 흔적이 가득한 북촌 및 서촌과 대비되는 장소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명동의 상업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이에, 본 논문에서는 명동의 공간적 변화와 문화적 변천을 마카오 신사복과 맞춤 양장점들이 즐비했던 패션의 본고장이라 칭하기 시작했던 해방 이후의 명동을 비롯해서, 대한민국 문학과 예술의중흥기였던 1950-1960년대의 명동, 청년문화의 요람이었던 1970년대의 명동을 거쳐 현재의 글로벌 공간으로서의 명동이라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키워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이를 통해 명동의 역사 속 문화를 재조명함으로써, 명동의 문화적 자료들을 바탕으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As a space of representing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