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동명집(東溟集)
    작성자 정두경(鄭斗卿)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무령왕〔趙武靈王〕정선용정두경(鄭斗卿)〇 무령왕이 사구(沙丘)에 갇혀 있으면서 참새 새끼를 찾아다니다가 3개월 만에 굶어 죽었습니다. 누가 무령왕을 굶어 죽게 하였습니까?

  • 상위자료 [일본육국사 한국관계기사 ] 日本書紀
    작성자 川島皇子, 忍璧皇子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百濟 武寧王의 즉위[武寧王의 출생]川島皇子, 忍璧皇子 등[일본육국사 한국관계기사 ] 日本書紀502. 99.(四年) 是歲 百濟末多王無道 暴虐百姓 國人遂除 而立嶋王 是爲武寧王百濟新撰云 末多王無道 暴虐百姓 國人共除 武寧王立 諱斯麻王 是琨支王子之子 則末多王異母兄也 琨支向倭 時至筑紫嶋 生斯麻王嶋王是蓋鹵王之子也 末多王 是琨支王之子也 此曰異母兄 未詳也 (4년, 502) 이 해 백제 末多王이 無道하여 백성들에게 포학했으므로 나라사람들이 마침내 제거하고 嶋王을 세우니 바로 武寧王武寧王이 즉위하였는데 諱는 斯麻王이고 琨支王子의 아들이니 末多王의 異母兄이다.武寧王이 ∼ 異母兄이다『三國史記』 권 26에서 武寧王의 諱는 斯摩(또는 隆)이고 牟大王 즉 東城王(479그러므로 『日本書紀』에는 무령왕이 문주왕의 아우 곤지의 아들로서 末多 즉 동성왕의 異母兄으로 되어 있고 『三國史記』에는 모대 즉 동성왕의 둘째 아들로 되어 있어 서로 다르다.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33집 [東史約 上]
    작성자 이원익(李源益)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乙酉, 이원익(李源益)한국사료총서 제33집 [東史約 上]2022. 10. 06乙酉, 四年新羅智證王六年高句麗文咨明王十五年百濟武寧王五年新羅定州郡名.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33집 [東史約 上]
    작성자 이원익(李源益)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戊子, 이원익(李源益)한국사료총서 제33집 [東史約 上]2022. 10. 06戊子, 七年新羅智證王九年高句麗文咨明王十八年百濟武寧王八年梁, 遣使冊高句麗王.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836호] 백제의 신비 무령왕릉 발굴 충남 공주에서 백제 25대 무령왕릉이 처음으로 발굴. -넓이 3.5M, 길이 7M 돔형식의 돌무덤.대한뉴스 1971.07.17 836 대한뉴스 제 836호 1분 38초 무령왕릉,백제,출토,발굴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百濟 武寧王 銅鏡(隅田八幡畵像鏡)2text/xml2008-06-27 00:00:00.0002004-11-30 00:00:00.0002008-07-03 00:00:00.000백제 무령왕(503) 2, 한문 背面 및 側面, 일본국보 고고2호 소장:隅田八幡社, 현재 일본동경국립박물관百濟 武寧王 銅鏡(隅田八幡畵像鏡)서기 503년 백제무령왕이 일본 제왕(繼體天皇)에게

  • 작성자 이송란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무령왕비 금귀걸이 무령왕비 금귀걸이 武寧王妃金製耳飾 이송란 무령왕릉 유물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귀걸이8.8㎝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국립공주박물관 국유 국립공주박물관 국보 제157호 1974년 7월 9일 [정의]백제 무령왕릉에서무령왕릉에서는 모두 5쌍의 금귀걸이가 출토되었는데 이 중 왕의 것은 1쌍이고 나머지는 모두 왕비의 것이다. 왕비 귀걸이는 머리 쪽에서 2쌍, 발치 쪽에서 2쌍이 출토되었다.[내용]하나의 고리에 두 줄의 장식이 매달린 형식은 무령왕의 금귀걸이처럼 그 예를 찾기 어려운 편이나, 귀에 걸리는 중심 고리처럼 금판을 둥글게 말아 접합하는 형태로 속이 비어 있게, 예경산업사, 1983)『무녕왕릉』(문화재관리국, 1973)『무령왕릉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3)「무령왕릉 장신구의 국제적 성격」(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 작성자 이송란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무령왕비 은팔찌 무령왕비 은팔찌 武寧王妃銀製釧 이송란 무령왕릉|다리 유물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비의 은팔찌[개설]국보 제160호. 1971년 송산리 5호 무덤과 6호 무덤 사이의 배수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령왕릉은 무령왕과 왕비의 무덤이었음을 알리는 묘지석과 함께 모두두 점 모두 6세기 신라의 것으로 무령왕릉의 팔찌와 시기적으로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문화재대관 국보 금속공예』(문화재청 동산문화재과, 2008)『신라황금』(국립경주박물관, 2001)『백제무령왕릉』(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1991)『무령왕릉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73)「무령왕릉 장신구의 국제적성격」(이한상, 『무령왕릉과 동아세아문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외, 2001)

  • 작성자 田中俊明(滋賀縣立大學)
    분류 연구성과 기타

    武寧王代百済の対倭関係武寧王代百済の対倭関係田中俊明(滋賀縣立大學)백제문화연구소백제문화, 1(46), , pp.145-181ART0016356600http://dx.doi.org/10.35300/bjclab.1.46.201202.145G704-SER000011111.2012.1.46.006Y1598-2963Article武寧王は倭國で生まれた。文周王のむすめの子であり、武寧王の異母弟である東城王は、同時に帰國したと考えられるが、武寧王が同時に帰國したかどうかは問題である。武寧王の対倭外交について考える場合、そのこととを前提にして考える必要がある。武寧王陵の陵墓の構造や、出土遺物からみれば、強い梁志向がうかがわれるが、生前の外交政策に関しては、倭國と強く深い関係をもとにして進めたと考えることができる。

  • 작성자 이경화(문화재청)
    분류 연구성과 기타

    백제 무령왕릉 干支圖의 해석A new interpretation of Kanjido in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백제 무령왕릉 干支圖의 해석이경화(문화재청본고에서는 干支圖가 무령왕릉의 중요 문제를 풀 수 있는 열쇠가 될 수 있다고 보고 무령왕릉 誌石 2개 4면의 상호관계에 집중하여 간지도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무령왕릉 간지도는 서쪽 7개 방위가 표시되지 않은 특별한 지도이다.무령왕릉 간지도는 단순한 방위도가 아니고 무령왕과 백제인의 삶과 염원이 함축되어 있는 비밀지도이다. 간지도의 서쪽은 최종적으로 북쪽 한성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된다.무령왕의 의중에는 가고자 한 한성이 곧 西方淨土였고, 죽어서도 한성백제에서 부활하겠다는 무령왕의 뜻과 백제인의 의지가 함축되어 있는 것이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