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고서-문집 교육/문화-문학/저술 집부-별집류 보한재집(保閑齋集) L174532-98冊 저지 한자 表題: 保閑齋集版心題: 保閑齋集 書根題: 保閑齋集 底本: 崇禎乙酉(1645)跋 覆刻本 朝鮮史料叢刊 第14 일본 동경대학 오구라문고보한재집(保閑齋集) 조선 초기의 문신 신숙주(申叔舟, 1417-1475)의 시문집이다.
-
- 작성자 신숙주(申叔舟)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보한재집(保閑齋集)한국고전번역원신숙주(申叔舟)11988text/xml2003-09-04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9-02-25 00:00:
-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下]
- 작성자 미상(未詳)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제20집 [輿地圖書 下]2022. 12. 27寺剎行衣寺在郡西二十里今廢黑石寺在郡東十五里凝石寺在郡南十五里淨佛寺今廢浮石寺在鳳凰山弓裔嘗至此寺見壁盡新羅王像拔劍擊之至高麗時其刃跡猶在蓋怨生時見棄也補閑齋集高麗司天監李宣甫以慶州道祭告使歷祀山川旣畢將還暮抵浮石寺客宇瀟然無左右忽有女乍見廊廡間小選蹁躚來庭下拜之拜訖升自階往就室居焉監雖怪之以姿色絶代不忍拒也女曰妾所居去此不遠竊慕高義以來其應對惠利爲留三日而出止郵亭宿焉女苒苒來監日何復來爲女曰腹有君之息一矣乞復添一所以至耳比曉告別行入興州將宿女復來監恐爲後患遂面之而不省女怫然作色卽出戶回風卷地擊毁廳事間一扉截樹抄而去舊增唐高宗儀鳳元年新羅文武王命僧義相創是寺名曰浮石東有善妙井西有食沙龍井旱則禱雨有應朴孝修詩鳥啼花落減芳年客路光陰去忽然何日試茶龍井水滿軒松月共夤緣
-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0집 [輿地圖書 下]
- 작성자 미상(未詳)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世宗朝再登第以書狀官使日本賷屛簇求詩者坌集操筆立就略不經意日本人嘆服每因使者問其安否後奉 命往遼東與 大明前翰林學士黃瓉質問正韻往還凡十三度因撰洪武韻通考 世祖朝持節征野人捷還 上喜曰叔舟予之諸葛亮也四帶功臣再爲首相凡議論常持大體略其苛細爲朝野所倚重者幾二十年卒謚文忠所著保閑齋集行于世申
-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保閑齋集(1)2text/xml2008-06-27 00:00:00.0002004-11-30 00:00:00.0002008-07-03 00:00:00.000申叔舟 朗善君李俉舊藏本, 木版本소장:京城府 稻葉岩吉 조선 전기 문신 保閑齋 申叔舟(1417∼1475)의 詩文集 保閑齋集 권 14, 匪解堂畵像記(安堅傳) 부분으로서, 현재 전하는 奎章閣이나 國立中央圖書館 소장본과는이는 성종 18년(1487) 왕명에 의해 간행되었으며, 양란으로 거의 인몰되자 7세손 潚이 복간하기도 함.保閑齋集(1)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보한재집 국립중앙박물관 구-4652 신숙주의 문집(추가) 문화예술-문헌-문집류-문집류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
-
- 상위자료 분야: 시문집 / 유형: 한문
- 작성자 성낙수
-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보한재집 보한재집 保閑齋集 시문집 한문 한국 조선 성종 성낙수 박종국[개설] 『보한재집(保閑齋集)』은 조선 전기의 문신 신숙주(申叔舟)의 시문집으로 그의 아들 정(瀞)ㆍ준(浚) 등이 유고를 모아 편차한 것을 1487년(성종 18[구성/내용] 『보한재집』은 권1에 부(賦) 6편, 권2ㆍ3에 오언소시(五言小詩) 86수, 권4∼7에 칠언소시 361수, 권8에 오언사운(五言四韻) 36수, 권9에그는 경사에 두루 통달하고 시문에 능했으며, 문집으로 『보한재집(保閑齋集)』이 있다.보한재집 권13에 실린 이 글 서문에서 보한재는, ‘세수문학(世守文學), 충효돈목(忠孝敦睦), 이위가법(以爲家法)’이라고 정리하고 있다.
-
- 상위자료 保閑齋集
- 작성자 申叔舟(朝鮮) 著
-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保閑齋集保閑齋集 / 申叔舟(朝鮮) 著木板本[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仁祖 22(1644)印 後刷18卷 3冊: 四周雙邊 半郭 19.4 × 14.5 cm, 有界, 半葉 12行19字註雙行, 上下向2葉花紋魚尾; 24.3 x 18.6 cm裝訂: 線裝(白絲5綴) 紙質: 楮紙 卷首·板心 : 保閑齋集 表題 : 保閑集 序 : 成化五十年己亥(1479)…徐居正, 庚子(1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