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작성자 歸隱(朝鮮) 編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記, 跋:淸乾隆三十二年丁亥(1767)三月三日門人沙彌萬淵跋於白雲室中表題紙:古今歷代記慶州佛國寺朝鮮後期에 佛國寺 僧侶 歸隱(生沒年 未詳)이 慶州의 여러 古誌들을 모아 편찬한 ≪佛國寺蹟≫을book_cd=GK03796_00佛國寺 僧인 歸隱이 慶州의 여러 古誌들을 모아 편찬한 ≪佛國寺蹟≫을 저본으로 하여 불국사의 시말을 기록한 책이다.귀은은 불국사의 승려로서 일찍이 東京古誌를 참고하여 불국사에 관한 주요 사적들을 모아서 ≪佛國寺蹟≫이란 책을 지었는데?일명 ‘佛國寺古今歷代記’·‘佛國寺古今創記’라고도 한다. 절의 창건과 중수에 관한 사적을 신라부터 연대순으로 실었는데?이 때문에 불국사를 華嚴法流寺라고도 하며? 영제부인이 불국사 창건을 명했다.

  • 상위자료 호남국학종합DB 고문서
    작성자 ()
    분류 고전자료 고문서

    경주불국사 여행경로(慶州佛國寺 旅行徑路) 고문서-치부기록류-근현대문서 경제-회계/금융-치부책고흥 고흥류씨 류탁 후손가 (재)한국학호남진흥원 경주 불국사여행경로 경주 불국사 여행경로.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916호] 불국사 복원 불국사 복원. -경주 불국사 3년여에 걸친 복원공사 끝에 단장된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대웅전, 관음전의 모습.대한뉴스 1973.01.27 916 대한뉴스 제 916호 0분 39초 불국사,복원,다보탑,석가탑,대웅전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939호] 불국사 복원 신라의 고도, 경주 불국사 복원. -박정희 대통령 불이문 앞에서 "토함산 불국사" 현판 제작 및 경내를 살펴봄.-불국사 내부 소개:무설전, 관음전, 비로전, 석가탑, 다보탑, 90간의 회랑. -화랑의 집 개원(경주 남산). -청소년들의 수련장. -경주 미추왕릉지구 고분 발굴 현장.대한뉴스 1973.07.07 939 대한뉴스 제 939호 2분 55초 경주,불국사,화랑의 집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작성자 정영호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주 불국사 사리탑 경주 불국사 사리탑 慶州佛國寺舍利塔 정영호 불국사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고려전기사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예술·체육/건축 유적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진현동) 불국사 고려 예술·체육/건축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진현동) 불국사 고려 정영호 불탑, 부도 고려 초기 높이 2.06m 경상북도 경주시 불국로 385(진현동) 불국사 불국사 보물 제61호 1963년 1월 21일 [정의]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고려전기 에 건립된 석조 불탑.겉모양은 석등과 비슷하며,「불국사사적기(佛國寺事蹟記)」에 기록된 ‘광학부도(光學浮屠)’가 바로 이것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탑은 받침돌 위에 몸돌과 지붕돌을 올려놓은 모습이다.

  • 작성자 정영호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慶州佛國寺三層石塔 정영호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無垢淨光塔重修記) 유적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일반형 석조 불탑.불국로 385(진현동) 불국사 불국사 불국사 국보 제21호 1962년 12월 20일 [정의]경상북도 경주시 불국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따라서 다보탑은 다보여래상주증명(多寶如來常住證明)의 탑이요, 석가탑은 곧 석가여래상주설법(釋迦如來常住說法)의 탑이다.그러나 이 탑에서 나온 「불국사무구정광탑중수기(佛國寺無垢淨光塔重修記불국사의 두 탑이 석가탑이나 다보탑으로 불려지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그동안 『불국사고금역대기』에 의해서 석가탑 창건을 751년으로 보았으나, 묵서지편에서 나온 두 종류의 중수기

  • 작성자 강석근(동국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佛國寺 題詠詩 硏究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佛國寺) temple佛國寺 題詠詩 硏究강석근(동국대학교)온지학회온지논총,성격을 연구한 글이다.불국사와 관련된 대표 기록은 최치원이 지은 <佛像讚> 3편과 『삼국유사』의 「大城孝二世父母 神文代」조이고, 또한 조선후기에 편집된 불국사 寺誌인 『華嚴佛國寺古今歷代諸賢繼創記그리고 조선의 여러 문인들이 남긴 수십 편의 불국사 관련 시문들이다.최치원의 글은 <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讚 幷序> 외 2편이다, 최치원의 이 작품들은 불국사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대화엄종불국사아미타불상찬 병서>와 그 <讚詩>는 불국사 창건자인 김대성, 화엄사상과 아미타사상으로 대표되는 불국사의 종파적 특성을 확인시켜 주었고, <大華嚴宗佛國寺毘盧遮那文殊普賢像讚또한 草衣 意恂의 <佛國寺懷古> 9수는 불국사를 노래한 시들 가운데 가장 다채로운 성격의 작품으로, 무영탑, 헌강왕 고사 등 불국사를 심층적으로 노래하였으며, 초의의 시를 보고 쓴

  • 작성자 황상일(경북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불국사 지역의 지형특성과 불국사의 내진 구조The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Bulguksa-region and the earthquake resistantstructure of the Bulguksa-Temple불국사 지역의 지형특성과 불국사의 내진 구조황상일(경북대학교)대한지리학회대한지리학회지, 42(3), , pp.315-331ART0010599446G704-000550.2007.42.3.008Y1225-6633Article한국 불교 사찰을 대표하는 불국사는 활단층인 불국사(울산)단층선이 통과하는 한반도에서 지반이 가장 불안정한 곳에불국사에 적용된 내진 구조는 그렝이법, 목조건축 기법을 적용한 석조구조(결구), 주두석(동틀돌, 첨차석)의 이용,유공초석의 사용이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