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호남국학종합DB 고문서
    작성자 신윤옥(申允玉)
    분류 고전자료 고문서

    그리고 지주(地主) 이용기(李容器)의 이름을 적시하여 이 계약서가 이용기와 소작인과의 소작계약서라는 점을 밝혀놓고 있다. 1920년대 일제는 산미증식계획에이는 산미증식계획이 한국 농민의 식량을 약탈하여 일본인들의 배를 채우는 제국주의 식량수탈정책의 표본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특히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된 토지개량사업은 대지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수리조합 설치비용을 중소지주·자작농·자소작농, 심지어 소작농민들에게까지 전가함으로써따라서 1920년대 농촌은 산미증식계획에 따른 수리조합 건설비의 부담과 고율 소작료 등으로 농민층은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갔고, 거기에 더한 마름의 횡포로 인해 소작농민의 궁핍화는 가속화되었다

  • 상위자료 호남국학종합DB 고문서
    작성자 김영래(金永來)
    분류 고전자료 고문서

    요컨대 사실상 백지 계약서나 다름없는 토지소작계약서인 셈이다. 1920년대 일제는 산미증식계획에 따라 생산량의 증대를 꾀하면서 미곡의 본격적인 수탈에이는 산미증식계획이 한국 농민의 식량을 약탈하여 일본인들의 배를 채우는 제국주의 식량수탈정책의 표본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특히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의 일환으로 시행된 토지개량사업은 대지주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는 수리조합 설치비용을 중소지주·자작농·자소작농, 심지어 소작농민들에게까지 전가함으로써따라서 1920년대 농촌은 산미증식계획에 따른 수리조합 건설비의 부담과 고율 소작료 등으로 농민층은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갔고, 거기에 더한 마름의 횡포로 인해 소작농민의 궁핍화는 가속화되었다

  • 상위자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7권(1924년)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産米增殖計劃에 의거 금년도에 사용 朝鮮總督府施政年報 1924年度 경제,산업, 농업, 정책법령, 산미증식계획 1924. 99. 99.産米增殖計劃에 의거 금년도에 사용된 灌漑 及 開墾事業 助成費는 270萬圓이다.朝鮮總督府施政年報 1924年度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7권 1924년

  • 상위자료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2권(1939년)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總督府에서는 日本의 産米增殖計劃에 東亞日報 1939.3.11 경제,산업, 농업, 정책법령, 산미증식계획 1939. 03. 10.總督府에서는 日本의 産米增殖計劃에 따라 금년도 70萬石 增産計劃에 50萬石을 추가하다.東亞日報 1939.3.11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12권 1939년

  • 상위자료 디지털 철원문화대전
    작성자 김영규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산미증식계획 산미증식계획 産米增殖計劃 Plan to Increase Rice Production 김영규 일제 강점기|철원평야개발|식량증산|경제적 수탈|노동력 착취|수리조합|산미증식계획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일제 강점기 일제가 본토 식량 부족 해결을 위해 강원도 철원 지역을 비롯한 한반도에서발표, 1920년 산미증식계획, 수리시설 확충, 저수지 축조, 강원도 철원군 철원평야 일대 [정의] 일제 강점기 일제가 본토 식량 부족산미증식계획의 목표는 일본으로의 쌀 유출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쌀을 약탈하기 위한 것이었다.하지만 산미증식계획은 한국에서 쌀을 증산하는 데는 실패하였고 일본으로 쌀을 유출하는 데는 성공하였다.

  • 상위자료 식량식생활연표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ch_009_1920_04_00제 1차 산미증식계획 실시고바야가와 규로우(小早川九郞), ≪朝鮮農業發達史 (資料篇)≫, 友邦協會, 1960 , 49쪽식량정책1920. 04. 99제 1차산미증식계획 실시고바야가와 규로우(小早川九郞), ≪朝鮮農業發達史 (資料篇)≫, 友邦協會, 1960 , 49쪽식량식생활연표

  • 상위자료 동양서 단행본
    작성자 Kawai, Kazuo
    분류 연구성과 도서

    朝鮮における産米増殖計画동양서 단행본Kawai, Kazuo未来社1986911.06 K22c朝鮮近代史研究双書5朝鮮における産米増殖計画東京 : 未来社, 1986

  • 작성자 이송순(고려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산미증식계획 실행과 농업기술관료Implementation of 'Campaign to increase Rice Production' and AgriculturalTechnocrat in 1920s, the Colony Joseon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산미증식계획 실행과 농업기술관료이송순(고려대학교)역사연구소史叢(사총), 0(94),222ART0023488172http://dx.doi.org/10.16957/sa..94.201805.177Y1229-44462671-583XArticle이 글에서는 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시행된 산미증식계획의담당자였던 조선총독부 농업기술관료의 구성과 활동, 지방단위의 실무관료였던 지방비관리의 신설 및 활동을 살펴보았다.조선총독부의 농업부서는 식민농정의 컨트롤타워로서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