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동인지문사륙 권10(東人之文四六 卷之十)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올리는 표문[進三國史記] 김부식(金富軾)김부식(金富軾)2018. 01. 26동인지문사륙 권10(東人之文四六 卷之十) 進三國史記非四六 金富軾臣某言.區區妄意, 天日照臨.東人之文四六卷之十 『삼국사기(三國史記)』를 올리는 표문[進三國史記]사륙(四六)이 아님 김부식(金富軾)신(臣) 아무개는 말씀드립니다.

  • 상위자료 三國史記目錄
    작성자 김부식(金富軾) 등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三國史記目錄三國史記目錄 김부식(金富軾) 등目錄(목록) 삼국사기 권 제1 신라본기 제1 시조 혁거세거서간 남해차차웅 유리이사금 탈해이사금 파사이사금 지마이사금 일성이사금 삼국사기 권무왕 삼국사기 권 제28 백제본기 제6 의자왕 삼국사기 권 제29 연표 상 삼국사기 권 제30 연표 중 삼국사기 권 제31 연표 하 삼국사기 권 제32 지 제1 제사 악삼국사기 권 제37 지 제6 지리4 고구려 백제 삼국사기 권 제38 지 제7 직관 상 삼국사기 권 제39 지 제8 직관 중 삼국사기 권 제40 지 제9 직관 하 삼국사기三國史記卷第三十二 志第一 祭祀 樂 三國史記卷第三十三 志第二 車服 屋舎 三國史記卷第三十四 志第三 地理二(新羅) 三國史記卷第三十五 志第四 地理二(新羅) 三國史記卷第三十六 志第五地理三(新羅) 三國史記卷第三十七 志第六 地理四(髙句麗 百濟) 三國史記卷第三十八 志第七 職官上 三國史記卷第三十九 志第八 職官中 三國史記卷第四十 志第九 職官下 三國史記卷第四十一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삼국사기 국립중앙박물관 구-5190 三國史記 문화예술-문헌-사서-기타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상위자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유물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삼국사기 제1책 국립한글박물관 한기-156 三國史記 양지 문화예술-문헌-사서-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작성자 심경호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삼국사기표 진삼국사기표 進三國史記表 심경호 작품 1145년(인종 23)에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를고려 문학/한문학 고려 심경호 표(表) 1145년(인종 23) 김부식 [정의]1145년(인종 23)에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내용]1145년(인종 23)에 김부식(金富軾)이 ≪삼국사기≫를 진헌하면서 올린 표(表).≪동문선≫ 권44 표전(表箋)에 수록되어 있으며, 조선 중종조에 간행된 임신본(壬申本, 正德本) 등 조선간본의 ≪삼국사기≫에는 붙어 있지 않다.이 표는 문체면에서 볼 때 대우문(對偶文『삼국사기』(이병도 역주, 을유문화사, 1977)「삼국사기해제」(정구복, 『증수보주삼국사기』, 성암고서박물관, 1984)

  •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삼국사기표進三國史記삼국사기Jin Samguk sagi pyoChin Samguk sagi p’yo역사문헌고려1145년에 김부식(金富軾, 1075-1151)이 《삼국사기》를 진헌하면서

  • 작성자 안금란(소속없음)
    분류 연구성과 기타

    삼국사기의 음악 연구 A Study on the Music of Samguksagi 삼국사기의 음악 연구 안금란(소속없음) 영남퇴계학연구원 퇴계학논집, 0(35), 35, pp.161, 󰡔三國史記󰡕의 음악사상을 밝히는 것이다.󰡔삼국사기󰡕는 신라, 고구려, 백제의 순으로 삼국의 음악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각 국가의 악기 종류와 그 유래 및 관련내용을 설명하였다.󰡔삼국사기󰡕의 음악사상은 첫째, 중국에 대한 事大思想이 있었다. 둘째, 儒學의 禮樂思想이 있었다.이는 󰡔삼국사기󰡕 편찬 책임자인 金富軾이 국가(고려)의 정치와 사회질서 유지 그리고 위정자의 역사적 교훈을 위해 중국 선진 유학을 종용하려는 집필의도 때문이다.

  • 작성자 한규철(경성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三國史記』의 靺鞨 문제The Malgal(靺鞨) of Samguksagi(三國史記)『三國史記』의 靺鞨 문제한규철(경성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인문학논총, 31(0), 31, pp.193지금까지 역사·고고학적 『삼국사기』의 말갈에 관한 연구들의 공통적인 점을 점검하고, 『삼국사기』 靺鞨의 僞靺鞨說이나 濊系說 등도 모두 汎稱·卑稱說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고, 지금까지 『三國史記』의 靺鞨과 『唐書』속의 靺鞨의 실체를 달리 보았던 점들을 반성하고자 하였다.김부식 등은 『唐書』 등에 나오는 ‘靺鞨’의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고 『삼국사기』에 말갈을 기록하였다고 판단하였다.즉 삼국사기의 靺鞨은 가짜의 僞靺鞨도 아니고, 東濊나 貊을 가르키는 것만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