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국가기록영상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e영상역사관 기록영상DB 분야별기록영상 통일전 : 삼국통일의 정신이 깃든 통일전 10분 27초 서라벌,화랑,김유신,무열왕,문무왕,신라,삼국통일,통일전 1977년

  • 상위자료 국가기록영상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e영상역사관 기록영상DB 분야별기록영상 신라천년의 고도 경주 : 삼국통일,무열왕 1분 20초 무열왕,김유신,화랑도 1998년 2006.10.26

  • 상위자료 국가기록영상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e영상역사관 기록영상DB 분야별기록영상 신라천년의 고도 경주 : 삼국통일,문무왕 1분 2초 문무왕,이견대,감은사 1998년 2006.10.26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1120호] 남산 통일원당 건설 신라 경주 남산에 삼국통일 위인 유적으로 통일원당이 건설됨.-삼국통일의 위업을 성취한 김유신, 무열왕, 문무왕들의 통일위업을 선양 -남북통일 성취를 위한 통일원당 -7개 건물과 회랑, 통일 기원비, 사적비 등을 갖추며, 착공 14개월 만에대한뉴스 1977.02.04 1120 대한뉴스 제 1120호 0분 39초 신라경주,남산,삼국통일,통일원당,김유신,무열왕,문무왕,통일위업,남북통일,회랑,통일기원비,사적비

  • 상위자료 한국문화영화
    작성자 이용민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CEN0004173 문화 한국의 야불 1976 이용민 국립영화 제작소 20분 19초 경주를 중심으로 한 삼국통일 이전의 힘찬 선으로 조각된 불상에서부터 신라전성기의

  •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삼국통일三國統一Samguk TongilSamguk T’ongil역사사건고대7세기 중엽에,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키고 통일 정부를 수립한 일 unification of

  • 작성자 임병태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삼국통일 삼국통일 三國統一 임병태 사건 7세기 중엽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하고 통일정부를 수립한 일.이 때 중국대륙의 새로운 통일왕조와 결탁한 신흥 신라에 의하여 차례로 멸망하고 만 것이다.그러나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이 곧 신라의 삼국통일은 아니었다.[의의와 평가](8) 삼국통일의 의의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후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하고 삼국의 백성을 통합한 것은 한국사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신라문화』 2, 동국대학교, 1985)「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신형식, 『신라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김상현, 『신라문화』 2, 동국대학교,1985)「당에서 바라본 신라의 삼국통일」(변인석, 『사학연구』 50, 1995)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삼국통일 이전 신라채색벽화·묘지명 있는 신라석실고분, 영주에서 발견21971-08-20text/xml2011-12-0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2 00:00:00.000삼국통일 이전 신라채색벽화·묘지명 있는 신라석실고분, 영주에서 발견

  • 작성자 문수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삼국통일삼국통일三國統一 문수진 사건 10세기 전반기에 고려가 신라·후백제를 통합하고 발해 유민을 포섭하여태조는 후삼국통일을 최고의 과업으로 인식하여 남방으로 후백제·신라 방면에 시간과 정력을 쏟았을 뿐만 아니라 북방개척에도 힘을 기울였다.그것은 북진정책(北進政策)으로 불리기도 하지만[의의와 평가]7세기 중엽에 신라가 백제와 고구려를 병합하여 이룩한 삼국통일이 종래 고구려의 영토 거의 전부를 상실하고 그 일부만을 가지게 된 불완전한 민족통일이라 한다면, 고려의후삼국통일은 신라와 후백제의 영토와 문화 전부를 통합한 진정한 민족통일이라 할 수 있다.특히, 신라의 통일은 당나라라는 외세를 이용한 것에 비하여 고려의 통일은 우리 민족의 자력에의한 것이기에 더욱 의의가 있다.또, 후삼국통일 이후 신라시대에는 영토의 한쪽에 치우쳐 있던 정치·문화의 중심지가 한반도의 중부지방인 개성으로 옮겨짐으로써 고구려·백제·신라의 옛 영토를

  • 작성자 이익주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박지윤 박지윤 朴遲胤 이익주 평주 호족|십곡성|궁예|대호족|왕건의 후삼국통일|성무부인|박수문|박수경|박경인|박경산 인물고려전기 왕건의 후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신.역사/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역사/고려시대사 고려 이익주 문신 남 미상 미상 평주(平州) 왕건의 후삼국통일[정의]고려전기 왕건의 후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신.이러한 재지적 기반을 바탕으로 왕건의 후삼국통일에 협력하여 벼슬은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르고, 딸이 태조에게 출가하여 성무부인(聖茂夫人)이 되었다.아들 박수문(朴守文)과 박수경(朴守卿

  • 작성자 김수태(충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9946007신라의 삼국통일과 김유신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Kim Yusin신라의 삼국통일과그에 대한 전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는 글들이 나왔기 때문이다.그러나 김유신이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심이 부족한 느낌을 주고필자도 그에 대한 견해를 밝혔지만, 신라의 삼국통일론과 관련해서 계속적으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이다.때문에 김유신의 삼국통일론이 어떠하였는가를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이를 위해서 김유신이 당시의 외교정세에 대해서 어떠한 관심을 가지고서 활동하였는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그가 원광의 ‘세속오계’를 바탕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 작성자 김수태(충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1086233신라의 천하관과 삼국통일론Silla’s World View, the Idea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신라의중대와 관련된 논쟁 가운데에서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주제는 신라의 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제이다.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백제통합만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하는 것이다.신라가 처음부터 삼국통일을 의도하고 전쟁을 벌였던 것은 아니었다.그러나 이후 고구려 내부의 혼란이 진행되자 신라는 고구려멸망까지를 계획하고 주도해나갔다.신라의 삼국통일론이 형성된 시기는 671년 무렵이었다.신라와 고구려와 백제는 이미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한편 신라는 삼국통일론이란 천하관에 이어, 삼한통일론을 새롭게 주장하였다.

  • 작성자 김수태(충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548282일연의 삼한·삼국통일론Iryon’s Discussion of the Unification of Three Hans/Kingdoms일연의삼한·삼국통일론인문과학연구소서강인문논총, 0(43), , pp.155-192ART00202616911G704-SER000014133.2015..43.010Y1226-81782713-한 역사가 가운데 아마도 처음으로 통일의 문제를 중요한 주제로 부각시킨 인물은 『삼국유사』를 저술한 일연일 것이다.신라 중심의 한국사를 강조한 김부식의 『삼국사기』에서도 신라의 삼국통일은더 나아가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신라만의 그것이 아니라, 고려의 삼한통일론 및 삼국통일론까지를 상당한 비중으로 다루었던 점도 크게 주목된다.일연이『삼국유사』의 저술을 통해서따라서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서 고려의 후삼국통일이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드러내는 한편, 고려의 통합을 새로이 강조하고자 했던 것으로 이해된다.Among the historians

  • 작성자 장원섭(경민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3755141신라삼국통일론 논의의 연구사적 검토A Study on the Theory of Silla's Unification신라삼국통일론 논의의연구사적 검토신라사학회신라사학보, 0(43), , pp.67-104ART0023771155Y1738-27422799-4724Article7세기 후반 한반도를 무대로 벌어진 삼국통일이 전쟁의 결과로 신라의 삼국통일이 이루어졌다는 시각이 통일 직후부터 형성되었다.그러나 조선 후기 역사지리학자들에 의해 발해와의 병립에 주목한 남북국시대론과 고려를 최초의 통일왕조로 보는 시각이 제기되면서, 이후 신라의 삼국통일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이 이어졌다.신라삼국통일론에이에 대한 견해는 신라 삼국통일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이어지고, 부정론은 ‘남북국시대론’과 ‘후기신라론’ 그리고 ‘고려 최초 통일론’과 ‘백제통합전쟁론’ 등으로 제기되었다.신라와

  • 작성자 박미선(대림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본 논문에서는 남북 공동의 역사적 경험 속에서 통일교육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삼국통일과 남북국시대에 주목해 보았다.학계에서 일찍부터 삼국통일론과 남북국시대론의 논쟁이 이어져 왔으나,교과서에는 5차 교육과정(1987)부터 현재까지 삼국통일의 의의와 한계를 서술함에 전혀 변화가 없다.물론 북한은 삼국통일을 인정하지 않는다. 삼국통일과 남북국시대를 바라보는 시각에도 남북 분단의 그늘이 드리워져 있는 것이다.그러므로 현재 교과서 서술은 통일교육에 적합하지 않다.신라의 삼국통일 후, 신라와 발해가 공존한 200여 년간 전쟁이 없었다는 역사적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7세기 삼국간의 치열했던 전쟁은 삼국통일로 끝이 났다.이처럼 삼국통일과 남북국시대는 ‘전쟁과 평화’라는 관점에서 오늘날 남북관계에 시사점을 주고 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