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삼국통일三國統一Samguk TongilSamguk T’ongil역사사건고대7세기 중엽에,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망시키고 통일 정부를 수립한 일 unification of

  • 작성자 임병태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삼국통일 삼국통일 三國統一 임병태 사건 7세기 중엽 신라가 백제·고구려를 멸하고 통일정부를 수립한 일.이 때 중국대륙의 새로운 통일왕조와 결탁한 신흥 신라에 의하여 차례로 멸망하고 만 것이다.그러나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이 곧 신라의 삼국통일은 아니었다.[의의와 평가](8) 삼국통일의 의의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후 신라가 한반도를 통일하고 삼국의 백성을 통합한 것은 한국사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신라문화』 2, 동국대학교, 1985)「삼국통일의 역사적 의의」(신형식, 『신라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삼국통일의 정신적 기반」(김상현, 『신라문화』 2, 동국대학교,1985)「당에서 바라본 신라의 삼국통일」(변인석, 『사학연구』 50, 1995)

  • 작성자 정덕기(서울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 통일인식 Silla's Handling of Post-wars and Its Perception of the Unification 신라의 삼국통일 전후처리와서울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중원문화연구, 33(0), , pp.229-266 ART003154575 0 Y 1226-7422 Article 이 글은 신라가 643년에 인식한 삼국통일전쟁의연속성, 660・668~669년에 진행한 양국 멸망 전후처리의 관계를 검토하고, 양국 평정 교서의 함의를 통해 신라의 삼국통일 인식을 논의하였다.신라는 중고기 전반 삼국정립을 추구하였다따라서 신라의 삼국통일전쟁은 연속성을 가지고 있었다.이것은 삼국통일전쟁 전후처리에 영향을 미쳤다. 668년 신라는 양국 멸망에 대한 헌부례를 시행하였다. 669년 신라는 양국 평정양국 평정 교서 반포의 함의는 신라의 양국 멸망・평정 인식을 삼국통일 인식으로 전환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 작성자 김수태(충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신라의 삼국통일과 김유신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and Kim Yusin신라의 삼국통일과 김유신김수태(충남대학교)영남문화연구원영남학그에 대한 전체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는 글들이 나왔기 때문이다.그러나 김유신이 신라의 삼국통일에 대해서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해서는 여전히 관심이 부족한 느낌을 주고필자도 그에 대한 견해를 밝혔지만, 신라의 삼국통일론과 관련해서 계속적으로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이다.때문에 김유신의 삼국통일론이 어떠하였는가를 정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이를 위해서 김유신이 당시의 외교정세에 대해서 어떠한 관심을 가지고서 활동하였는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그가 원광의 ‘세속오계’를 바탕으로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끌었기 때문이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