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金紹行(朝鮮) 著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현재까지 확인된 <三韓拾遺>의 이본은 모두 5종인데 간혹 이본간에 글자의 誤脫이 있을 뿐 구조적인 차이는 거의 없다. 규장각에 소장된 <義烈女傳>은 74張本이다.
-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洪顯周(朝鮮) 著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그 가운데 자신의 書畵벽 등이 소개되어 있는 「癖說贈方幼能」 및 『三韓拾遺』라는 제목으로 많이 알려진 김소행의 『義烈女傳』을 읽고 쓴 「書三韓義烈女傳後」 등이 눈에 띈다.
-
- 상위자료 三韓拾遺
- 작성자 金紹行(朝鮮) 著
-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三韓拾遺三韓拾遺 / 金紹行(朝鮮) 著筆寫本[刊寫地未詳]: [刊寫者未詳], [1933]1冊(74張); 35.8 ×23.4 cm卷末: 書義烈女傳後, 淵泉, 沆瀣子房, 臺山子房.
-
- 작성자 소재영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증보조선소설사』(김태준, 학예사, 1939)「삼한습유연구」(조혜란, 이화여자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4)「삼한습유」(『필사본고전소설전집』1, 아세아문화사, 1980)「향낭전(삼한습유
-
- 작성자 이승수(한양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Three Description Methods in Samhanseupyu(三韓拾遺)한국고소설학회pdf
-
- 작성자 이승수(한양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또 미시적인 관점에서, 『삼한습유』에 있어 시공간의 전환이 어떻게 주제의 변화와 상관되는가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