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작성자 정약용(丁若鏞)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書葬三 정약용 丁若鏞 a283何以不書葬。未踰年之君也。有子則廟。廟則書葬。無子 不廟。不廟不書葬。〇鏞案有子無子。有廟無廟。於書葬無與也。昭公死 而無子。故定公殷及。然而書葬。安在其無子不書也。閔公死而有廟。故 夏父躋僖。猶不書葬。安在其有廟則書也。余則曰葬則書葬。不葬則不 書葬。子般死於賊。故葬不備文。

  • 상위자료 승정원일기 인조 8년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진하사 서장관의 서목에서 서장관의 서장 3통을 한꺼번에 보낸다고 보고하였다김종태2진하사 서장관(進賀使書狀官)의 서목은 3통의 서장관의 서장(書狀)을 한꺼번에 보낸다는 일이었는데, 입계하였다.ITKC_ST_P0

  • 상위자료 한국민요대관
    작성자 최종인/강학추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msu_5397 민요 한국민요대관 서장가 최귀례 1981.2.1 최종인/강학추 최종인/강학추 a테잎위치 : 완산1 앞 2003.11.1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동완산동 경로당(서장가, 서장가, 가창유희요 M_5397_1_07A_m.mp3 0분18초

  • 상위자료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문화예술_체육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성화봉송하는 서장훈 前 선수http://archive.much.go.kr/data/03/folderView.do?1041&idnbr=20180237492018서울성화봉송_0021.jpg대한민국역사박물관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평창 동계올림픽 서울 1일차 성화봉송 60번째 주자 서장훈前 농구선수가 '스포츠 드림걸즈'와 함께 성화를 봉송하고 있다.평창동계올림픽,평창올림픽,올림픽,성화,서장훈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없음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서장서장書狀記 대혜|서장|서장요초|혜심|척사해현정견 문헌 고려후기 승려 혜심이 송나라 승려 대혜의 『서장』을 풀이한 주석서.[내용]내용은 「척사해현정견(斥邪解現正見)」이라는 제목아래 『서장요초(書狀要抄)』와 비슷한 내용을 수록하고 있고, 다음에 대혜의 약력을 서술하였다.그러나 이 책에서는 65장(狀)의 서신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중요한 부분을 주석하는 형식을 취하였다.예를 들어 증시랑(曾侍郎)에게 보낸 답서에 있어 『서장요초』에서는 “환(幻)인이것을 보면 혜심이 먼저 이 책을 짓고 뒤에 다시 『서장요초』를 증보, 수정하여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동국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상위자료 集山書藏書目. 卷1-3
    작성자 集山書藏委員會(中國) 編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集山書藏書目. 卷1-3集山書藏書目.卷1-3 / 集山書藏委員會(中國) 編石版本(中國)[中國]: 集山書藏委員會, 19343卷1冊: 揷圖, 四周雙邊 半郭 16.5 x 11.5 cm, 有界, 10行26字 註雙行, 黑口, 無魚尾; 26.3 x 15.5 cm刊記: 甲戌年(1934)九月書藏委員會編印 集山書藏記: 光緖辛卯(1891)秋日錢塘丁丙 集山書藏記: 揚州阮元 版心題: 書目新編

  • 작성자 이은주(안동대학교); 김영선(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이경희(부산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관직자 복식 고증Features of the Costumes of Officials in the King Jeongjo Period Seojangdaeyajodo정조대<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관직자 복식 고증이은주(안동대학교); 김영선(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이경희(부산대학교)국립문화유산연구원헤리티지:역사와 과학, 54(2), 92, pp.7897ART0027284882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2.78Y3022-80853058-2628Article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서장대 안팎에서<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 작성자 문병순(경희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右庶長之璽’ 眞僞 鑑別‘右庶長之璽’ 眞僞 鑑別문병순(경희대학교)중국어문학회중국어문학지, 0(40), , pp.211-222ART0016992600G704-000539.2012..40.008Y1226-735X2672-1031Article遼寧朝陽一市民李川山有一祖傳青銅官印‘右庶長之璽’, 近年對外公開。 據他所言, 羅振玉曾鑑賞過此印, 認爲是春秋戰國時期秦國宰相百里奚的印章。 此印剛一露面,就引來了收藏家的注意。 然與此極爲相似的另一方‘右庶長之璽’早就收書錄於《山東新出土古璽印》, 此二方大小相同, 印文字體亦不類。 本文從外形、 字體、 官名三方面進行對比, 發現此二方極可能是僞品。‘庶長’僅爲秦所獨有, 然印文儳雜戰國各地域的文字, 不可能是春秋戰國時期秦國宰相百里奚的印章。중국어문학회pdf한국어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