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관복재유고(觀復齋遺稿)
    작성자 김구(金構)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石窟菴 김구 金構 b049石窟菴深客到稀。花含古意留前砌。楓帶秋光上 翠微。海門日照金波動。又是登臨一段奇。

  • 상위자료 암서집(巖棲集)
    작성자 조긍섭(曺兢燮)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석굴암石窟庵〕김홍영, 정석태, 김보경조긍섭(曺兢燮)천억 여래의 상이란 / 千億如來相 원래 일체가 공이라 / 元來一切空 형체 이룬 것 참으로 안 무너지니 / 形成苦不壞 너 때문에 사람들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476호] 석굴암 개수 준공 석굴암 복원공사 완료. -준공 기념식, 참배하는 신도들, 석굴암 모습. -국가보조금으로 공사가 이루어짐.대한뉴스 1964.07.11 476 대한뉴스 제 476호 0분 57초 석굴암,석굴암 복원공사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351호] 석굴암 보수 문화재의 보호를 위한 석굴암의 보수 공사 전개. -경주 불국사, 석굴암 보수 공사 전개. -총 공사비 1,970만환.-석굴암 내부의 누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배수 작업. -석굴암 내부의 비좁은 광장과 석축을 헐고 자연스러운 경사를 돌층계로 단장.대한뉴스 1962.02.10 351 대한뉴스 제 351호 0분 44초 석굴암,보수,공사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상위자료 디지털양주문화대전
    작성자 김동규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 양주 석굴암 석조 나한상 楊州 石窟庵 石造羅漢像 김동규 나한상|불상|석굴암|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유물/불상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나한상.519[교현리 1] 조선/조선 후기 김동규 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 제작, 1873년 석굴암, 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 소장,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굴암길519[교현리 1] 불상 석재 60㎝ 석굴암 석굴암 [정의]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개설] 양주 석굴암 석조나한상(楊州石窟庵石造羅漢像)은 석굴암 나한전 중앙 수미단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불상이다.

  • 상위자료 디지털양주문화대전
    작성자 김동규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 양주 석굴암 석조불 좌상 楊州 石窟庵 石造佛坐像 김동규 불좌상|석굴암|육계|석조 불좌상 유물/불상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교현리 석굴암(石窟庵)에 있는 조선 후기의 석조 불좌상.519[교현리 1] 조선/조선 후기 김동규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61호로 지정, 2011년 3월 8일 석굴암,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소장,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굴암길 519[교현리 1] 불상|석조 불좌상 석재 42㎝ 석굴암 석굴암 경기도 문화재 자료 제161호[개설] 양주 석굴암 석조불좌상(楊州石窟庵石造佛坐像)은 석굴암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본존불로, 조선 후기에 조성된 소형 불상이다.

  • 작성자 남동신(서울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Seokkuram as a Heavenly Palace천궁(天宮)으로서의 석굴암(石窟庵)남동신(서울대학교)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미술사와 시각문화, 0(13), , pp.84-127ART00187784212G704-001712.2014..13.004Y1599-7324Article이 글은 석굴암이 지상의 인간이 아니라 천상의 초월적존재를 위한 공간이라는 관점에서 육하원칙에 따라 석굴암의 유일무이함을 분석하였다.방법론상 석굴암에 대하여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자료인 『삼국유사(三國遺事)』에 근거하여, 누가, 언제, 어디서, 왜, 그리고 무엇을 창건하고자 하였는가를 논증하며, 마지막으로 ‘천궁’을 중심 개념으로 삼아 석굴암의 성격과 몇 가지 특징을 새롭게 조명한다.Seokkuram (Sǒkkuram石窟庵), located on the eastern summit of Mt

  • 작성자 강희정(서강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야나기 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A Perspective of Yanagi Muneyoshi on the Sokkul-am야나기무네요시의 석굴암 인식 - 20세기초 일본인 지식인에 의한 최초의 석굴암론 -강희정(서강대학교)진단학회진단학보, 0(110), , pp.191-215ART0015053081G704-이 글은 야나기가 쓴 최초의 조선 미술 소개글이며, 석굴암에 관한 근대의 첫 저작에 해당한다.석굴암과 관련된 글이 활자화되기 시작한 것이 석굴암의 근대적 ‘재발견’ 이후였으며, 특히 야나기의 글 이후 더욱 활발해졌다는 점에서 야나기의 석굴암론에 관심을 가질 필요는 충분하다.이는 석굴암에 대한 우리 인식의 지평을 넓히고, 석굴암에 관한 인식을 객관화하는데 의미 있는 역할을 할 것이다.Yanagi Muneyoshi(柳宗悅, 1889-1961), one of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