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구 소록도갱생원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사회환경_사회운동구 소록도갱생원소록도 항공사진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1213&idnbr=20190082252018현대사1차_0756.jpg인디비전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하늘에서 내려다 본 소록도 중앙리 마을과 국립소록도병원, 멀리 보이는 소록대교와 고흥 녹동항이다.국립소록도병원,소록도,소록도 수탄장,한센병,한센인,고흥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상위자료 구 소록도갱생원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사회환경_사회운동구 소록도갱생원소록도 북쪽 해안.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1213&idnbr=20190082422018현대사1차_0773.jpg인디비전2010년대일제강점기(1910~1945)국립소록도병원 진입로에서 본 소록도 북쪽 해안이다.국립소록도병원,소록도,소록도 수탄장,한센병,한센인,고흥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작성자 박승필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소록도 소록도 小鹿島 박승필 자혜의원(慈惠醫院)|소록도등대|소록도해수욕장 지명/지명 전라남도 고흥군 도양읍에[현황]2007년 말 현재 소록도가 속해 있는 도양읍의 전체 인구는 1만 2,609명(남 6,235명, 여 6,374명)이고 세대수는 5,472호이다.교통은 소록도병원 전용도선과 일반용도선이 수시로 운항된다.교육기관으로는 녹동초등학교 소록도분교가 있다.그 밖의 시설로 1916년 나병원(癩病院)인 소록도자혜의원(慈惠醫院)이 처음 설립되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시설이 잘된 국립소록도병원이 있다.있고 남쪽 끝에는 소록도등대가 있다.『2008년 고흥통계연보』(고흥군, 2008)『전남의 섬』(전라남도, 2002)『한국도서백서(韓國島嶼白書)』(전라남도, 1996)『도서지(島嶼誌

  • 상위자료 근대질병의료연표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ch_003_1916_02_24전라남도 소록도(小鹿島)자혜의원 설치≪조선총독부관보≫ 1065호, 1916년 2월 24일(아세아문화사 영인본 23, 903쪽)병원1916. 02. 24전라남도소록도(小鹿島)자혜의원 설치≪조선총독부관보≫ 1065호, 1916년 2월 24일(아세아문화사 영인본 23, 903쪽)근대질병의료연표

  • 작성자 한순미(조선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미공개된 사실”-한센병 환자 심전황의 『소록도 반세기(小鹿島 半世紀)』Undisclosed Facts : Focusing on Half a Century of Sorok Island[小鹿島 半世紀] by Hansen’s Disease Patient Shim Jeon-hwang(沈田潢)“미공개된 사실”-한센병 환자 심전황의 『소록도 반세기(小鹿島 半世紀)』한순미『소록도 반세기』(1979)에는 소록도/병원에 거주했던 환자, 의사, 간호사, 종교인, 문화예술인 등을 비롯해 소록도병원을 방문한 학계 전문가, 정치인, 국내외 의료 관계자들의 다채로운그 지연된 시간 동안, 『소록도 반세기』의 일부는 잡지 『새빛』에 연재되었고 단행본으로 출간되기 전까지의 소록도 역사가 추가되었다.“소록도 문예실”은 소록도 안/밖을 연결하면서 나병 계몽운동을 주도하는 공간으로 자리했다.해방 후 일본으로 건너간 한센인들에게, 소록도 반세기는 역사와 이야기 사이에서 어떻게 기억/

  • 작성자 장성곤(경성대학교); 강동진(경성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소록도 100년의 변천과정과 특성 도출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 of SOROKDO during the 100 Years소록도 100년의 변천과정과 특성, pp.105-123ART0023822380http://dx.doi.org/10.38195/judik.2018.08.19.4.105Y1598-06502713-6671Article소록도는바라보고 보호하려는 긍정적인 노력과 결과들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총체적인 소록도 보전에 이르지 못한 채 분야별 단위사업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작업의 하나로, 소록도 변천과정 분석을 통해 지난 100년 동안의 소록도 변천 특성을 도출하는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한다.본 연구는 크게 3단계로 진행한다. 1단계에서는 한센병의 개념과 계기적 사건에 따른 소록도의 변천 시기를 구분한다. 2단계에서는 소록도의 시대별 변천과정을 분석한다. 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의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