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임하필기(林下筆記)
- 작성자 이유원(李裕元)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소학언해(小學諺解)김경희이유원(李裕元)중종(中宗) 18년에 《소학언해》를 인쇄하여 서울과 지방에 두루 배포하도록 명하였다.
-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英祖(朝鮮) 命撰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GK11958_04JRDGK11958_041奎11958의4-v.6G001+KYUC+KSM-WA.1660.1111-20151022.GK11958_04小學諺解소학언해英祖(朝鮮) 命撰영조, 卷頭書名·卷末書名·版心書名:小學諺解英祖가 風敎에 뜻을 두고, 校正廳에서 1586년에 이미 간행되어 보급되어 온 ≪小學諺解≫의 체재와 언해문의 문체는 답습하면서 그 방점을 없애고책의 이름은 교정청본 ≪소학언해≫와 구별하기 위해 ‘영조판 소학언해’? 또는 序文書名에 따라 ‘어제소학언해’라 부른다.그리고 번역 양식에 있어서도 ≪번역소학≫에서 ≪소학언해≫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원문에 충실한 번역 태도가 ≪어제소학언해≫에서는 더 강화되었음을 보여 준다.≪소학언해≫에서 ‘자심을 주검?티 아니?시며(3: 16b)’처럼 언해문에 풀어썼던 내용을 ≪어제소학언해≫에서는 ‘자심애 尸(주검?단 말이라)티 아니?
-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英祖(朝鮮) 命撰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GK11958_05JRDGK11958_051奎11958의5-v.3/4G001+KYUC+KSM-WA.1660.1111-20151022.GK11958_05小學諺解소학언해英祖(朝鮮) 命撰, 卷頭書名·卷末書名·版心書名:小學諺解英祖가 風敎에 뜻을 두고, 校正廳에서 1586년에 이미 간행되어 보급되어 온 ≪小學諺解≫의 체재와 언해문의 문체는 답습하면서 그 방점을 없애고책의 이름은 교정청본 ≪소학언해≫와 구별하기 위해 ‘영조판 소학언해’? 또는 序文書名에 따라 ‘어제소학언해’라 부른다.그리고 번역 양식에 있어서도 ≪번역소학≫에서 ≪소학언해≫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원문에 충실한 번역 태도가 ≪어제소학언해≫에서는 더 강화되었음을 보여 준다.≪소학언해≫에서 ‘자심을 주검?티 아니?시며(3: 16b)’처럼 언해문에 풀어썼던 내용을 ≪어제소학언해≫에서는 ‘자심애 尸(주검?단 말이라)티 아니?
-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英祖(朝鮮) 命撰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GK11958_03SCCGK11958_031奎11958의3-v.5G001+KYUC+KSM-WA.1660.1111-20151022.GK11958_03小學諺解소학언해英祖(朝鮮) 命撰영조, 卷頭書名·卷末書名·版心書名:小學諺解英祖가 風敎에 뜻을 두고, 校正廳에서 1586년에 이미 간행되어 보급되어 온 ≪小學諺解≫의 체재와 언해문의 문체는 답습하면서 그 방점을 없애고책의 이름은 교정청본 ≪소학언해≫와 구별하기 위해 ‘영조판 소학언해’? 또는 序文書名에 따라 ‘어제소학언해’라 부른다.그리고 번역 양식에 있어서도 ≪번역소학≫에서 ≪소학언해≫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원문에 충실한 번역 태도가 ≪어제소학언해≫에서는 더 강화되었음을 보여 준다.≪소학언해≫에서 ‘자심을 주검?티 아니?시며(3: 16b)’처럼 언해문에 풀어썼던 내용을 ≪어제소학언해≫에서는 ‘자심애 尸(주검?단 말이라)티 아니?
-
- 상위자료 규장각소장 고도서
- 작성자 英祖(朝鮮) 命撰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GK11958_01JRDGK11958_014奎11958의1-v.1-4G001+KYUC+KSM-WA.1660.1111-20151022.GK11958_01小學諺解소학언해英祖(朝鮮) 命撰, 卷頭書名·卷末書名·版心書名:小學諺解御製小學諺解序:…歲甲子(1744)春二月下浣.英祖가 風敎에 뜻을 두고, 校正廳에서 1586년에 이미 간행되어 보급되어 온 ≪小學諺解≫의 체재와 언해문의책의 이름은 교정청본 ≪소학언해≫와 구별하기 위해 ‘영조판 소학언해’? 또는 序文書名에 따라 ‘어제소학언해’라 부른다.그리고 번역 양식에 있어서도 ≪번역소학≫에서 ≪소학언해≫로 가는 과정에서 나타났던 원문에 충실한 번역 태도가 ≪어제소학언해≫에서는 더 강화되었음을 보여 준다.≪소학언해≫에서 ‘자심을 주검?티 아니?시며(3: 16b)’처럼 언해문에 풀어썼던 내용을 ≪어제소학언해≫에서는 ‘자심애 尸(주검?단 말이라)티 아니?
-
- 상위자료 대한자강회월보
- 작성자 松村 池錫永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同讀티 與치로 同讀하고 其 字音은 高低의 定准을 失으로 自然히 雪目이 混義고 東動이 同音야 漢文에 原依치 아니면 卞別할 道가 無하니 是엇지 聖人의 作字신 本意리요 英廟甲子本小學諺解凡例
-
- 상위자료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국립민속박물관 민속-27746 소학언해(小學諺解) 사회생활-교육-전통교육-소학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
-
- 상위자료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三) 국립민속박물관 민속-27747 소학언해(小學諺解) 사회생활-교육-전통교육-소학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
- 상위자료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四) 국립민속박물관 민속-27748 소학언해(小學諺解) 사회생활-교육-전통교육-소학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
- 상위자료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소학언해 국립고궁박물관 고궁-130 小學諺解 기타 문화예술-문헌-기타-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 상위자료 국립고궁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소학언해(제1책) 국립고궁박물관 고궁-130 小學諺解 기타 문화예술-문헌-기타-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 상위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
- 작성자 성낙수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소학언해 소학언해 小學諺解 철학 국어학/윤리 문헌 한국 조선 선조[개설] 『소학언해(小學諺解)』는 1587년 왕명의 따라 주자(朱子)의 『소학』을 한글로 풀이하여 교정청에서 간행한 책이다.이에 선조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직역을 위주로 한 『소학언해』를 간행하게 하였다.그리고 이것으로도 만족할 수가 없어서 이후 영조(英祖) 때 『소학언해』를 다시 번역하여,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라는 이름으로 간행하기도 하였다.정호완, 「『소학언해』의 해적이」, 『역주 소학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1.
-
- 작성자 이기문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소학언해 소학언해 小學諺解 이기문 소학|교정청|번역소학|어제소학언해|반치음 문헌 교정청에서 『소학』에 토를 달고그리고 영조 때에 다시 한 번 번역되어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로 간행되었다.본문에서 ‘ㅿ’의 용례는 “복죄여”, “치운 후에” 등 이른바 강세의 ‘’에 국한되어 있다고[의의와 평가]『소학언해』는 교정청에서 간행된 다른 언해본들과 함께 16세기 말엽의 국어 자료로서 큰 가치를 지닌다.「소학의 언해본」(이현희,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1993)「도산서원 소장 교정청본 소학언해 해제」(남풍현, 『퇴계학연구총서』1, 1991)「소학언해의 무인본과 교정청본의비교연구」(이숭녕, 『진단학보』36, 1973)「소학언해에 대하여」(이기문, 『한글』127호, 1960)
-
-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어제소학언해어제소학언해 = 御製小學諺解.[마이크로 형태자료]서울: 國立中央圖書館, 2002마이크로필름 릴: 양화; 35 mm收錄冊數: 2種6冊 내용: 1, 어제소학언해=御製小學諺解, (5冊). -- 2, 敬信錄諺釋, (1冊) 御製小學諺解 原本刊寫年: 1744序 御製小學諺解 原本版種: 活字 t敬信錄諺釋 原本刊寫年: 1880 t敬信錄諺釋 原本版種: 木板本 : 원본소장기관: 프랑스 동양언어문화학교 도서관
-
- 상위자료 조선왕조실록사전
- 작성자 성낙수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여소학언해 여소학언해 女小學諺解 국어 윤리/교육/여성 문헌 한국 조선 고종[개설] 『여소학언해(女小學諺解)』는 호산(壺山) 박문호가 1882년 부녀자들에게 필요한 글을 모아 언해한 6권 6책의 필사본으로 여성용 교육서다.박문호의 『여소학언해』 친필본은 화재로 소실되었고, 그의 후손이 필사한 것으로 보이는 두 이본만이 남아 있다.(小學諺解)』·『오륜행실(五倫行實)』·『안씨가훈(安氏家訓)』·『논어(論語)』 등 고거제서(考據諸書)가 대단히 많다.이상규, 「『여소학』 해제」, 『역주 여소학언해』1ㆍ2ㆍ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4.
-
- 상위자료 小學諺解
- 작성자 英祖(朝鮮) 命撰
-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小學諺解小學諺解 / 英祖(朝鮮) 命撰金屬活字本(丁酉字)[刊寫地未詳]: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2卷1冊(全卷數不分明): 四周雙邊 半郭 25.5 x 17.0 cm, 有界, 半葉10行17字 註雙行, 內向2葉花紋魚尾; 34.9 x 22.5 cm諺解本임 御製序: 世甲子(1744)春二月下浣한에 쓰노라 書名: 卷首題 版心題: 小學諺解 表題: 小學諺解 本文이 한글과 漢文
-
- 작성자 윤용선(명지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81716소학언해의 구결체계에 대한 검토A Studyon the System of 'Kugyeol' in Sohak-eonhae(小學諺解)소학언해의구결체계에 대한 검토진단학회진단학보, 0(102), , pp.179-227ART0010381046G704-000336.2006..102.008Y1013-4719Article小學諺解
-
- 작성자 정수현(건국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2418042『번역소학』, 『소학언해』 비교 연구Analysis of Research Aspects of 『Beonyeoksohak』 and 『Sohakeonhae』『번역소학』, 『소학언해』 비교 연구영주어문학회영주어문, 37(0), , pp.5-32ART0022786052Y1598-9011Article이 연구는 번역소학과 소학언해를 대비하여번역소학과 소학언해 두 문헌 사이에서는 ‘-고’와 ‘-아/어’가 서로 교체되어 나타난다.‘-기’의 사용 빈도 차이는 소학언해가 ‘-기’ 사용과 관련 해서는 구결문을 그대로 직역하고자 하였던 태도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기’를 사용했다는 것에서 ‘-기’의 기능이 ‘-ㅁ’번역소학의 ‘-ㄹ ’가소학언해에서 한 가지 어미만으로 바뀌는 것이 아니라 여러 어미로 바뀌는데 이는 ‘ ’의 쇠퇴로 인해 ‘-ㄹ ’는 이미 어미화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
- 작성자 이영경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조선 후기 순한글본 『소학언해』와 그 언어·문화적 가치」『한국학연구』47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이영경22017-11-00text/xml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8-01-10 00:00:00.000『소학언해』, 순한글본 『소학언해』, 필사본, 다이글로시아1.
-
- 작성자 유필재(울산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oai:kci.go.kr:ARTI/9527510≪小學諺解≫의 傍點 표기와 성조The Accent in Vernacular Exegesis of the “Lesser Learning”(Sohak eonhae 小學諺解)≪小學諺解≫의 傍點 표기와 성조진단학회진단학보, 0(134), , pp.331-360ART0026072970Y1013-4719Article이 논문에서는≪小學諺解≫(1588)의 傍點 표기 양상을 검토하고 이를 통해 16세기말 국어 성조 체계의 一端을 살펴보았다.다른 16세기 간행 한글문헌처럼 ≪소학언해≫에서도 거성과 상성의 混用이 보인다. 이는 상성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으로 생각된다.小學諺解) is the one of the last materials tha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 Korean stage.
-
- 작성자 金重秀
- 분류 연구성과 기타
「尤菴 宋時烈의 『纂定小學諺解』 編纂·刊行 경위」『韓國系譜硏究』6韓國系譜硏究會金重秀22016-12-00text/xml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7-03-22 00:00:00.000찬정소학언해, 소학집설, 소학집주, 송시열, 박세당, 송준길, 이단하, 숙종1.洪命夏의 『소학언해』 ‘찬정’ 건의와 獻議 3.『찬정소학언해』의 편찬과 校勘·監修 및 印出 1) 李端夏와 『찬정소학언해』 2) 편찬 작업과 교감·감수: 朴世堂과 宋時烈·宋浚吉 3) 간행과 보급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