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세종실록 악보
- 작성자 이혜구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용비어천가이혜구2세종대왕기념사업회용비어천가서 ⊙ 용비어천가서(龍飛御天歌序) 【원전】 5 집 609면 용비어천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원전】 5 집 609면ITKC_JT_D0
-
- 상위자료 성호사설(星湖僿說)
- 작성자 이익(李瀷)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정지상이익(李瀷)용비어천가는 우리나라 태조(太祖)와 태종(太宗)의 묘악(廟樂)으로서 대제학 정인지(鄭麟趾) 등이 찬술했는데, 민속에서 칭송한 말을 채택하여 시를
-
- 상위자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용비어천가 권1~10(순치본, 1659) 국립한글박물관 한구-1060 龍飛御天歌 卷1~10 저지 문화예술-문헌-문학-기타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
- 상위자료 국립한글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국문학대계 용비어천가〈시가경전편〉(허웅, 1956) 국립한글박물관 한기-5018 國文學大系 龍飛御天歌〈詩歌經典篇〉 양지 문화예술-문헌-문학-기타 이 자료는
-
-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Yongbi eocheon-gaYongbi ŏch’ŏn’ga문학작품조선조선 세종 때 선조인 목조(穆祖)에서 태종(太宗)에 이르는 여섯 대의 행적을 노래한 서사시.한국학중앙연구원
-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문화재청, 용비어천가 목판본 보물 1,463호로 지정22006-05-01text/xml2011-12-0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2 00:00:00.000문화재청, 용비어천가 목판본 보물 1,463호로 지정
-
- 작성자 최연식(연세대학교); 이승규(연세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조선 건국의 정당화:신화와 역사의 긴장Songs of Flying Dragons and Legitimization of Foundation of Joseon용비어천가의해 예견된 것임을 강조하는 용비어천가의 서사구조는 간결하고 명쾌하다.그러나 용비어천가는 용들의 노래인 동시에 백성의 노래가 되어야 했고, 영웅들의 신화인 동시에 역사의 교훈이 되어야 했다. 이것이 용비어천가에 내재된 긴장의 원천이었다.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역사 기록의 공백을 신화로 보충했고, 그 결과 본가에 등장하는 6명의 건국 주역들은 용으로 승천했다.동시에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에 맡겨진 또 다른 과제는 과거의 신화를 미래의 역사에 합리적으로 전해주는 것이었다.
-
- 작성자 허호익(대전신학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용비어천가』에 함축된 하느님 신관Koreans Views of God in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龍飛御天歌)’『용비어천가』에 함축된(龍飛御天歌)은 한국인의 모국어인 한글이 1446년 창제된 이후1947년에 한글로 기록한 최초의 저서이다.한국인들은 하늘과 하느님을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여왔기 때문에, 이 최초의 한글 문서에는한국인들의 전통적인 신관이 함축되어 있다.용비어천가의 핵심 주제는 다음과 같다.왜냐하면 단군신화의 신관은 유교의 천명과 다르기 때문이다.그러나 용비어천가에 나타나는 한국인의 전통적인 신관과 성서의기독교적 신관 사이에는 많은 차이점이 있다.‘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龍飛御天歌)’ is the first book written in Hangul in 1447 since it w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