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승정원일기 영조 40년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傳于李得培曰, 尹東柱祭官, 代以前KH.NIKH_SJW.SJW-F40승정원일기 영조 40년21764-03-18L0text/xml1900-01-01 00:00:00.0002013-01-03 00:00:00.0002013-10-18 00:00:00.000李得培|尹東柱
-
- 상위자료 승정원일기 숙종 02년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文穆公鄭逑의 書院에 賜額을 청하는 尹東周 등의 상소KH.NIKH_SJW.SJW-D02승정원일기 숙종 02년21676-11-04L0text/xml1900-01-01 00:00:00.0002013-01-03 00:00:00.0002013-10-18 00:00:00.000慶尙道昌寧|昌寧|白鹿|蜀郡|尙州|昌寧, 尹東周|文穆公鄭逑|李滉|鄭逑|文翁|尹東周|文穆公鄭逑
-
- 상위자료 문예
- 작성자 尹永春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문예 1952년 5·6월(통권 14호; 제3권 제2호)] 故 尹東柱尹永春삼천리사(三千里社)2023. 05. 24.故 尹東柱尹永春1952. 05. 01.문예
-
- 상위자료 平和日報
- 작성자 李鳳九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新刊評, 詩人의 별, 尹東柱詩集을 읽고平和日報 第10號 (1권)平和日報社[서울]李鳳九KH.NLOP.nlop_pwib平和日報21948-02-19image2017-05-17 00:00:
-
- 상위자료 연세대학교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교육과학_교육;교육과학_학술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윤동주기념실 사진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353&idnbr=20160153592014현대사_3219.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2010년대윤동주기념실에 윤동주 관련 사진들이 전시되어있다.윤동주전시실,윤동주기념실,핀슨관,연대,연세대 신촌캠퍼스,연세대학교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상위자료 연세대학교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교육과학_교육;교육과학_학술연세대학교연세대학교 핀슨관 윤동주기념실 원고노트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353&idnbr=20160153562014현대사_3216.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2010년대윤동주기념실에 전시된 윤동주의 두번째 원고노트를모아 만든 책이다.윤동주 노트,윤동주전시실,윤동주기념실,핀슨관,연대,연세대 신촌캠퍼스,연세대학교이미지원본대한민국역사박물관1유형
-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윤동주 시인 조카, 윤동주 시인의 미발표 시 8편 공개21998-06-21text/xml2011-12-0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2 00:00:00.000윤동주 시인 조카, 윤동주 시인의 미발표 시 8편 공개
-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안도현 시인, 제2회 윤동주문학상 수상22007-11-10text/xml2011-12-0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01-02 00:00:00.000안도현 시인, 제2회 윤동주문학상 수상
-
- 분류 연구성과 조사보고서
윤동주시비2text/xml,image/jpeg1900-01-01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3-10-21 00:00:00.000"윤동주시비는도시샤(同志社)대학 재학시절 한글로 시를 짓고 宋夢奎와 함께 민족의식 앙양 및 조선민족 계몽활동 등을 펼친 윤동주의 항일정신을 기려 1995년 2월 건립되었다.尹東柱(1917∼1945)는 도시샤대학 영문과에 재학 중, 1943년 여름방학 때 귀국하다가 사상범으로 일본경찰에 체포되었다. 1944년 6월, 2년형을 선고받고 1945년 후쿠오카
-
- 작성자 김응교(숙명여자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윤동주에 대한 기억-2017년 3월 인터넷 사용자의 윤동주 인식 : 윤동주 연구.10Memory on Poet Yun Dong-ju -March 2017, Survey of InternetUser on Poet Yun Dong-ju윤동주에 대한 기억-2017년 3월 인터넷 사용자의 윤동주 인식 : 윤동주 연구.10김응교(숙명여자대학교)한국문학연구학회현대문학의 연구,현재 많은 응답자들이 윤동주를 ‘자기성찰하며 실천하려는’ 시인으로 ‘성찰=실천’, 이렇게 성찰과 실천은 같은 무게로 보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둘째, 좀더 넓게 윤동주 시를주목받지 못해 왔지만 다시 조명해야 할 윤동주 시를 더 알리고 노래로 만들어 알리는 일이 필요하다.셋째, 윤동주 시집 정본 확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심한 경우는 윤동주 시가 아닌데 윤동주 시인 줄 알고 외워서 답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설문을 마치면서 우리의 시 교육이 너무 관념적으로 시를 가르치지 않았나 생각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