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선조실록
- 작성자 권영대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듣건대 내의원의 의녀(醫女) 애종(愛鍾)은 매우 음탕하여 본디 내전(內殿) 곁에 가까이 있게 할 수 없는 자인데 약방에서 여러 차례 입진(入診)...ITKC_JT_N0_A33선조실록1600.06.30
-
- 상위자료 선조실록 126권[1600년]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此人若爲內醫女, 出入闕中, 則他日未必不誤人矣。 宮中上下, 莫不痛憤曰: ‘與其旣不能救, 寧使此女, 勿視玉體。’ 愛鍾削去內醫女之籍。"
-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상궁과 시녀는 조라(皁羅) 너울[汝火], 의녀는 황상립(黃箱笠)을 각기 쓰고 있어 여성들의 복색과 관련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내전의 의장은 모두 의녀나 침선비(針線婢), 비자(婢子) 등 여성들이 들었으므로 여성들을 등장시키지 않고 의장만 나열한 특이한 의장도가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
-
- 상위자료 전근대여성연표
-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의녀에 대해 언급하고 있음(서울역사박물관, 2002, ≪조선 여인의 삶과 문화≫, 60쪽)전근대여성연표
-
- 상위자료 전근대여성연표
-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문종실록≫ 권7의녀1451. 04. 12(음)의녀에게 기녀에 준해서 매년 쌀 각 1석을 주도록 함.≪문종실록≫ 권7전근대여성연표
-
- 작성자 이미숙(청주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의녀는 이렇게 의원을 보좌하는 것이 주 임무였지만, 때로는 증후를 의관과 같이 파악하는 등 의원 못지않은 실력을 갖고 있는 의녀도 있었다.
-
- 작성자 홍세영(한국전통의학사연구소)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의녀들의 정체성에 접근하였다.Chosun Dynasty had a particular system of women doctor from the begin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