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한국의 금석문
- 분류 고전자료 금석문자료
이차돈순교비(異次頓殉敎碑) 통일신라시대 818년(헌덕왕 10년, 당(唐) 헌종(憲宗) 원화(元和)13년) / 817년(헌덕왕9년, 당(唐) 헌종(憲宗) 원화(元和)12년)이차돈순교비는 본래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소금강산 백률사터에 있었던 것인데, 현재는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보관하고 있다.순교비는 527년(법흥왕(法興王) 14)에 불교의 공인을 위하여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기 위하여 817년(헌덕왕 9) 또는 818년(헌덕왕 10)에 건립하였으며, 비문을 지은 사람과순교비는 모두 6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제1면에는 이차돈이 순교할 때 목에서 흰 피가 솟구치고 하늘에 꽃비가 흩날리는 장면을 음각으로 새겼다.)』에 전하는 이차돈의 순교 관련 기록과 크게 차이가 없다.
-
- 상위자료 통일신라 비문
- 작성자 南東信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栢栗寺石幢記 : 槪觀gskh_005_0010통일신라 비문南東信비문통일신라槪觀 이 석당기는 ‘異次頓殉敎碑’ 또는 ‘異次頓供養幢’이라고도 한다.신라 法興王 14년(527) 불교공인을 위해 순교한 이차돈을 추모하고자 건립하였는데, 비의 조성연대는 「元和帖」에 의하면 818년(憲德王 10년)이며, 『三國遺事』原宗興法條에 의하면석당은 6면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면에는 이차돈이 순교할 때 목에서 흰 피가 솟구치고 하늘에서 꽃비가 내리는 장면이 음각되어 있으며, 제2~6면은 면마다 井間을 치고 7행×25자씩이차돈순교도: 제1면 제2면 결락 ?~제3면 1행 建釋遺法: 법흥왕의 불교흥포 의도 時有一子~제4면 5행 王之□□ □□必然: 법흥왕과 이차돈의 대화 □□衣□~제5면 6행 二百五十三: 군신간의 토론과 이차돈의 죽음.
-
- 상위자료 삼천리
- 작성자 李光洙, 朴花城, 金末峯, 方仁根, 沈薰, 李泰俊, 李無影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를 보고 「異次頓의 死」(朝鮮日報)의 作者로서 春園 나는 순교자를 좋아합니다.그래서 나는 순교자를 테마로 글을 써보러는 생각이 늘 있어서 예전 순교자라는 脚本도 하나 써보고 또 天主敎祖의 순교도 소설로 써보고 또 사정있어 끝은 못내고 말았지만은 東亞日報에 金十字架라는 소설도 썼읍니다.異次頓을 쓰게 된 것도 그런 동기에서 입니다.異次頓은 조선의 역사에서는 첫 순교자었읍니다. 그것이 내 흥미를 끈 것이었읍니다. 나는 천주교도의 數萬명 순교자들을 존경합니다.그 역사를 잘 알 수 없음이 恨이어니와 조선인 수만의 순교자를 내었다는 것은 不朽의 자랑으로 알며 내 혈관에도 이러한 순교자의 피가 흐르거니하면 마음이 든든하고 큰 긍지를 느낌니다.
-
- 상위자료 동광
- 작성자 文一平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다만 3國文明의 中闃인 佛敎를 敍述할 때에 그의 最初 殉敎者로서 寶血을 흘리어 法運을 열은 新羅 異次頓의 그 受刑하는 刻像이 慶州 博物館에 今日까지 依然히 보존되어 잇슴에 불구하고
-
- 상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유물
- 작성자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이차돈순교비 탁본 국립중앙박물관 건판-17064 유리 미디어-기록물-필름- 이 자료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중앙박물관이 e뮤지엄(https://www.emuseum.go.kr
-
- 상위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 작성자 임재해, 강선일, 이정욱, 정은지, 차수정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음성자료
한국구비문학대계(2차) 05_05_FOT_20160311_LJH_BSB_0001 경상북도 김천시 설화 이차돈 순교로 인정받은 불교 임재해, 강선일, 이정욱, 정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