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대동야승(大東野乘)
    작성자 이덕형(李德泂)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죽창한화(竹窓閑話)이민수이덕형(李德泂)이민수(李民樹) 조선 인조(仁祖) 때의 이덕형(李德泂)의 수필집이다.저서에는 이 《죽창한화》 외에 《송도기이(松都記異)》 1권이 있다.《죽창한화》의 죽창(竹窓)은 저자의 호 죽천(竹泉)을 딴 것이요, 한화(閑話)는 한담(閑談)과 마찬가지로서 심심풀이로 하는 이야기다.이상에서 설화문학에 대한 가치를 대강 알아 보았는데, 이 《죽창한화》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이 글 내용이 말해 줄 것이므로 여기에는 사족을 달지 않는다.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구성 및 내용 『죽창한화(竹窓閑話)』(동양문고본)은 표지와 본문 첫 장에 ‘죽창한화(竹窓閑話)’라는 제목이 명기되어 있다.제목은 ‘죽창한화’이지만 수록 단편들은 기존 『죽창한화(竹窓閑話)』와 『송도기이(松都記異)』에서 선별된 것들이다.『죽창한화(竹窓閑話)』는 크게 두 계열로 존재한다.)가 한 계열이라면, 『죽창한화(竹窓閑話)』(동양문고본)와『죽창한화(竹窓閒話)』(국립중앙도서관본)이 다른 한 계열이라고 할 수 있다.반면『죽창한화(竹窓閑話)』(동양문고본)와『죽창한화(竹窓閒話)』(국립중앙도서관본)는 『송도기이』를 포함하는 ‘죽창한화’이다.

  • 상위자료 한국사료총서 제29집 [日新]
    작성자 미상(未詳)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除大臣原任外, 自從二品, 至正二品, 僅十五六人, 文官嘉善, 未滿二十人, 祖宗朝愼重名器, 故宰相稀貴如此矣, 今則家家金石, 此實官方淆亂之致, 大將軍告身, 纔易一醉, 不幸近之也云, 竹窓閑話

  • 상위자료 竹窓閒話
    작성자 李德泂(1566-1645) 著者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竹窓閒話竹窓閒話 / 李德泂(1566-1645) 著者筆寫本[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發行年不明]1冊(38張): 無界, 12行字數不定 註雙行; 30.1 X 21.8 cm裝訂: 日本改裝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조사한 자료임 竹窓閑話 表題 주제: 죽천(竹泉) 이덕형(李德泂)(1566-1645)이 지은 잡록집이다

  • 상위자료 竹窓閑話
    작성자 李德泂 著
    분류 사전ㆍ공구 목록·해제

    竹窓閑話竹窓閑話 / 李德泂 著筆寫本[刊寫地未詳]: [刊寫者未詳], [刊寫年未詳]1冊(78張): 無界, 11行28字 註雙行, 無魚尾; 29.4 x 18.0 cm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