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대동야승(大東野乘)
- 작성자 이덕형(李德泂)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이상에서 설화문학에 대한 가치를 대강 알아 보았는데, 이 《죽창한화》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이 글 내용이 말해 줄 것이므로 여기에는 사족을 달지 않는다.
-
- 분류 고전자료 고도서
반면『죽창한화(竹窓閑話)』(동양문고본)와『죽창한화(竹窓閒話)』(국립중앙도서관본)는 『송도기이』를 포함하는 ‘죽창한화’이다.
옛한글은 한글과 마찬가지로 각 자음 혹은 모음을 순서대로 입력하며, 자판으로 입력이 불가한 옛한글 낱자는 다음 방법으로 입력합니다.
화면 안내에 표시된 키보드 조합으로 검색할 옛한글을 입력 합니다. 옛한글 입력시에는 키보드의 ‘한/영’ 키를 한글 상태로 두어야 합니다. 입력한 옛한글이 검색창에 복사 됩니다.이상에서 설화문학에 대한 가치를 대강 알아 보았는데, 이 《죽창한화》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이 글 내용이 말해 줄 것이므로 여기에는 사족을 달지 않는다.
반면『죽창한화(竹窓閑話)』(동양문고본)와『죽창한화(竹窓閒話)』(국립중앙도서관본)는 『송도기이』를 포함하는 ‘죽창한화’이다.
죽창한화와 송도기기의 비교연구죽창한화와 송도기기의 비교연구이강옥(영남대학교)한국어문학회어문학, 0(74), , pp.301-327ART0009241702G704-000112.2001
attempts a philological analysis of Yadam-style novel Kamyeokieong(堪輿奇應) as it appears in Jukchanghanhwa(竹窓閑話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수정하시겠습니까?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수정하시겠습니까?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