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한국학영문용어용례사전
    작성자 한국학중앙연구원
    분류 사전ㆍ공구 사전

    천경림天鏡林Cheon-gyeongnimCh’ŏn’gyŏngnim지리지명기타경상북도 경주시 남천(南川)의 북쪽 언덕에 있는 숲.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eavenly

  • 작성자 임경빈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경주천경림 경주천경림 慶州天鏡林 임경빈 지명/지명 경상북도 경주시 남천(南川)의 북쪽 언덕에 있는 숲.그러나 교량재 공급을 위하여 몇 번인가 벌채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이 숲을 왜 천경림으로 호칭하였는가에 대한 유래는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이 숲의 북쪽에 흥륜사지(興輪寺址)의 초석이있어서 예로부터 이 일대의 숲을 천경림으로 불렀던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즉, 흥륜사의 건립에 관하여 『삼국유사』에, “신라 법흥왕 때 천경림을 크게 벌채하여 가공하여 동량재로 생산하였다.”라는 대목이 있으므로, 천경림 임수라는 것은 그 때의 유물을 말하는 것인 듯 싶다.그리고 이는 신라시대에는 경주일대에 수림이 많았다는 것을 암시해준다.천경림은 남천이 빈번히 범람하였다는 기록으로 미루어보아, 호안(護岸)과 방수·방풍의 기능을 발휘하였고, 그러한 이유로 베지 못하게 보호된 것으로 생각된다.『삼국유사』『동국여지승람』

  • 작성자 김영준(인하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그리고 흥륜사는 천경림이라는 숲에서 만들어진 신라 최초의 불교 사찰인데, 이 지역은 신라인들이 성스러운 장소로 여겼던 곳으로 보인다.천경림이 정확히 어떤 성스러운 장소인지는 알 수 없지만, 천경(天鏡)이라는 말이 달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고 가까이에 있는 신라의 도성도 월성(月城), 반월성(半月城)이라고 하는 등을이런 점들을 통해 신라에서는 달을 풍요의 상징으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고 천경림이 달과 관련이 있다면 이러한 점 때문일 것이다.그렇기 때문에 비록 신라 법흥왕이 불교를 공인하고 신라인들이 성스러운 장소라고 할 수 있는 천경림에 흥륜사를 세웠지만 기존의 전통신앙을 신라인들이 완전히 버리지 못했을 것이다.

  • 작성자 이도흠(한양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교시로 내릴 정도로 불심이 깊었던, 사탁부ㆍ불교도ㆍ지증왕계의 수장인 법흥왕이 왕위에 오르고서 15년이 되도록 불교를 공인하지 못했던 것이다.이런 양자의 대립은 풍류도의 성지였던 天鏡林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