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상위자료 매천야록(국역)(梅泉野錄)|『梅泉野錄』 제5권|光武 11년 丁未(1907년) ②
- 작성자 黃玹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일진회의 崔濟愚 伸雪 懇請黃玹KH.NIKH.sa_001r|KH.NIKH.sa_001r_0050|KH.NIKH.sa_001r_0050_0080매천야록(국역)(梅泉野錄)|『梅泉野錄』 제5권|光武 11년 丁未(1907년) ②2text/xml2012-01-12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2-12-04 00:00:00.000崔濟愚|崔濟愚|趙重應|李容九|최제우, 法部
-
- 상위자료 매천야록(국역)(梅泉野錄)|『梅泉野錄』 제6권|隆熙 4년 庚戌(1910년) ②
- 작성자 黃玹
- 분류 고전자료 고전국역서
최치원의 최제우 출생 예언黃玹KH.NIKH.sa_001r|KH.NIKH.sa_001r_0060|KH.NIKH.sa_001r_0060_0120매천야록(국역)(梅泉野錄)|『梅泉野錄』 제6권|隆熙 4년 庚戌(1910년) ②2text/xml2011-04-06 00:00:00.0002006-11-30 00:00:00.0002011-04-07 00:00:00.000최치원|최제우|崔孤雲|崔濟愚
-
- 상위자료 동학농민혁명 국역총서 3권 : 소모일기
- 작성자 鄭宜默(정의묵)
- 분류 근현대자료 도서(사료)
prd_081r동학(東學)이라는 명칭은 경주(慶州) 최제우(崔濟愚)가 주창鄭宜默(정의묵)1894. 99. 99(음)2014. 04. 16.소모일기(召募日記)동학(東學)이라는 명칭은경주(慶州) 최제우(崔濟愚)가 주창하였다.그런데 무자(戊子, 1888)년부터 경인(庚寅, 1890)년 사이에 사설이 다시 성행하여 최제우의 무리인 최시형(崔時亨)은 팔도도접주(八道都接主)라고 칭하였다.
-
- 상위자료 每日申報
- 분류 근현대자료 연속간행물
崔濟愚의 遷化紀念日每日申報社KH.NLOP.nlop_misb每日申報21920-03-11image2018-11-03 00:00:00.0001900-01-01 00:00:00.0002019-03-07 00:00:00.000위치 : 3면 7단 기사구분 : 기사 초록 : 천도교, 崔濟愚 국립중앙도서관 분류번호 : 84
-
- 상위자료 대한뉴스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461호] 최제우 선생 동상 동학을 창도한 최제우 선생 동상 제막식. -천도교 교조 최제우 선생 순교 100주년을 기념한 대구 달성공원에서 동상 제막식.-최제우 선생의 활동사항을 그림으로 설명. -동상 제막식, 헌화.대한뉴스 1964.03.27 461 대한뉴스 제 461호 1분 11초 최제우,동학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ImageRoot
-
- 상위자료 봉황각
- 작성자 대한민국역사박물관
-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이미지
정치행정_독립운동;문화예술_종교봉황각봉황각 최제우 초상화http://archive.much.go.kr/data/01/folderView.do?jobdirSeq=258&idnbr=20160122912014현대사_1014. small.jpg사단법인 한국역사문화원2010년대2010년대봉황각 내부에 최제우의 초상화가 전시되어 있다.최제우
-
- 작성자 신광철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수운최제우유허지 수운최제우유허지 水雲崔濟愚遺虛址 신광철 천도교|최제우|을묘천서 유적 울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천도교 제1대 교조 최제우 관련 성지(聖地).울산광역시 중구 원유곡길 106 외 울산광역시 시도기념물 제12호 1997년 10월 09일 [정의]울산광역시 중구에 있는 조선후기 천도교 제1대 교조 최제우[내용]수운 최제우가 초가를 짓고 수도생활을 한 터이다.최제우는 1855년 이 곳에서 이승(異僧)으로부터 천서(天書)를 받아 사흘만에 그 뜻을 깨치고 그 때부터 본격적인 구도에 정진하였다고 한다.이 때 받은 천서를 을묘천서(乙卯天書)라
-
- 상위자료 디지털울산문화대전
- 작성자 정의필, 박충구
-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수운최제우유허지 수운최제우유허지 水雲崔濟愚遺墟地 Historical Sites of Suwun Choe Je-woo여시바윗골 을묘천서 수지처|동학 천도교 모태지 최제우|을묘천서|여시바윗골|최제우 유허비|최제우 초가|최제우 초당|최제우 생활공원|동학|천도교 종교/신종교(水雲崔濟愚遺墟址) 수운최제우유허지 [정의] 울산광역시 중구 유곡동에 있는 동학 교주 최제우의 유허지.1997년 10월 9일 ‘전 수운 최제우 유허지’로 지정된 후 1998년 최제우의 종고손녀인 최말란[천도교 교인]의 기부채납으로 수운 최제우 유허비가 건립되었으며, 1999년 비각비석 측면 수운 최제우 유허지 비석 뒷면 수운 최제우 유허지 비석 측면 수운 최제우 유허지 최제우
-
- 작성자 차남희(이화여자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최제우의 하늘님과 귀신Choi Je-Wo's 'Hanulnim' and 'Gwisin'최제우의 하늘님과 귀신차남희(이화여자대학교)한국사회역사학회담론201, 11(1), , pp.43이러한 위기 상황의 해결을 위해 최제우는 새로운 가치관과 질서에 기반을 둔 새로운 공동체의 창설을 필요로 하였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의 종교사상은 ‘위기의 정치사상’이기도 했다.최제우는 민심을 통합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존의 모든 종교를 포괄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의 하늘님은 유교의 상제였으며, 천주교의 천주였고, 무교의 하늘님이었으며, 귀신이었다.최제우는 귀신이야말로 이 모든 신들을 통합할 수 있는 접점이라고 생각하였다.그러나 주희의 리와 기, 모두가 기로 통합됨으로써 최제우의 하늘님은 주희의 귀신과 결별하게 된다. 19세기 ‘근대적인’ 서구 세력의 침입에 대항하여 최제우가 제시한 대안은, 조선사회의
-
- 작성자 나동광(경성대학교)
- 분류 연구성과 기타
최제우의 성장기The Formative Period of Ch'oe Che-u's Life최제우의 성장기나동광(경성대학교)한국동학학회동학연구, 0(19), , pp.157-170ART0011228520G704-000450.2005..19.009Y1226-6140Article동학의 창시자 최제우는 가부장적 양반 중심의 사회 속에서 출생신분의 차이로 말미암아 어린시절부터 반항아로 성장했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