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 제 436호] 콜레라를 막자 콜레라 발생 상황과 예방운동. -신문보도자료. -콜레라 발생 상황, 서울과 부산에서 발생, 총 335명.-콜레라 발생 환자 진료 모습. -콜레라 발생지역 격리시킴. -콜레라 감염경로 설명, 환자의 배설물과 오물 -> 손, 파리, 쥐 -> 음식-> 섭취.-콜레라 예방접종 실시. -...대한뉴스 1963.09.27 436 대한뉴스 제 436호 1분 37초 콜레라,콜레라예방운동 https://www.ehistory.go.kr/movie_pds

  • 상위자료 대한뉴스
    분류 멀티미디어자료 동영상자료

    [대한뉴스_KC 제 485호] 콜레라 예방 접종 콜레라 예방 접종(9.5) -콜레라 전염지역 출입금지 조치 -콜레라 예방 접종 미공개대한뉴스 1964.09.13 485

  • 작성자 허정
    분류 사전ㆍ공구 기타

    콜레라 콜레라 허정 개념용어 비브리오 콜레라균에 의한 급성 세균성 장내감염증.그 뒤 1899년 9월에 내부령(內部令) 제20호로 <호열자(虎列刺) 예방규칙>이 반포되었는데, 이를 통하여 콜레라를 한자어로 호열자라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의학적으로 볼 때 콜레라의그 뒤 콜레라는 1822년 8월부터는 일본의 시모노세키(下關)에서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수많은 사망자를 내었다.그 뒤 우리 나라에서는 콜레라의 유행이 여러 번 있었으나, 대개는 중국을 거쳐 요동반도로부터 들어오는 경로와 일본을 경유하여 들어오는 경우로 나누어졌다.콜레라의 참상은 1821년 8월그 뒤 우리 나라에는 짧은 간격을 두고 콜레라의 유행이 더욱 늘어나기 시작하였다.

  • 상위자료 근대질병의료연표
    작성자 국사편찬위원회
    분류 사전ㆍ공구 연표

    ch_003_1899_08_23내부령 제20호로써 호열자(콜레라)예방규칙 반포(콜레라)≪구한국관보≫, 1899년 9월 1일질병1899. 08. 23내부령 제20호로써 호열자(콜레라)예방규칙 반포(콜레라)≪구한국관보≫, 1899년 9월 1일근대질병의료연표

  • 작성자 임종명(전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전라북도 지역 콜레라 만연과 정치・경제학임종명(전남대학교)전북사학회전북사학, 0(61), , pp.241-280ART0027025880Y1229-2001Article1946년 콜레라가하지만 6월 말 홍수로 말미암아 그 지역에서는 콜레라 발병이 폭증해 7월 상반기에 전북 지역은 남한 9개 시・도 단위 지역 중에서 수위(首位)의 발병세를 보여주었다.그렇다 하더라도, 전북 지역의 인구 대비 발병세는 경남・북 지역의 그것보다도 악성의 것이었다.1946년 전북 지역의 콜레라 유행과 관련해 주목되는 곳은 군산이었다.이러한 점에서 군산은 주요 콜레라 발병지가 될 잠재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군산의 콜레라 발병세는 상대적으로 미약했다.동진강 연안 지역의 콜레라 만연 현상은 기본적으로 농촌 지역의 의료 및 사회 기반 시설 부족과 관련된 것이다.

  • 작성자 임종명(전남대학교)
    분류 연구성과 기타

    대전과 조치원의 콜레라 발병 사례는 전국적인 콜레라 확산 초기 철도 연선(沿線) 지역이 주요 콜레라 발병지였음을 보여주었다.발병 직후 대전역에서는 콜레라의 전국적 확산을 방지하고자그렇지만, 6월 중·하순의 대홍수 이후 콜레라 발병 규모가 급증해 충남 지역에서도 콜레라가 만연하였다.홍수 이후 날씨가 무더워지는 7월에 콜레라 발병 규모가 증대되었다.하지만 이후, 충북 지역에서는 계속해서 ‘미약한’ 콜레라 발병세가 유지되면서, 찬 바람 부는 가을에 지역 콜레라 발병 역시 종식되었다.이처럼, 근대 산업화의 산물이자 식민지 근대화의 표현인 철도 체계는 1946년 콜레라 유행 시기 전국적·지역적 차원 모두에서 콜레라 확산의 주요 계기였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

확인

내 서재에 보관하시겠습니까?

확인

자료등록이 완료되었습니다. 내 서재로 이동하시겠습니까?

확인

오류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나의 오류목록으로 가시겠습니까?

확인

확인

수정하시겠습니까?

확인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확인

외부데이터베이스는 지원하지 않는 기능입니다.